서민 경제의 발전

 
1. 양반 지주의 경영 변화
1. 토지 확대 : 양난 이후 토지 개간, 농토 확대에 주력→ 토지를 소작 농민에게 빌려 주고 소작료를 받는 지주 전호제로
    경영(18세기 지주 전호제 일반화
2. 지주 전호제 변화 :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소작인의 저항으로 소작권 인정, 소작료 인하→신분적 관계에서 경제적 관계로 변화

3. 경제 활동

 

(1) 소작료 징수, 미곡 판매, 대지주 출현
(2) 물주로서 상인에게 자금 투자 · 고리대로 부를 축적 → 경제적 변동 과정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몰락 양반도 출현

     
 
2. 농민 경제의 변화
1. 농민들의 노력 : 황폐한 농토를 재개간, 수리 시설의 복구, 농기구와 시비법 개량, 새로운 영농 방법 시도
2. 모내기법 확대 : 벼와 보리의 이모작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 증가
    →소득 증대에 기여(보리 농사는 모두 소작농의 몫→ 보리 농사 선호)

3. 광작 실시

 

(1) 광작 : 모내기법으로 제초 노동력이 감소하여 한 농가에서 이전보다 넓은 농토를 경작할 수 있게 된 현상
(2) 효과 : 농가 소득 증대, 부농 출현, 농민층의 분화 현상 발생

4. 상품 작물의 재배 : 장시 증가→쌀, 목화, 채소, 담배, 약초 등 판매 증가(쌀의 상품화→밭을 논으로 바꿈)

5. 소작농의 변화

  (1) 권리 향상 : 소작 쟁의 전개→소작권 인정(지주가 함부로 소작지를 뺏지 못함), 소작료의 정액화(타조법에서 도조법으로 변
      화), 소작료를 화폐로 내는 변화가 나타남
 

(2) 지주로 성장 : 상품 작물 재배, 시장 경제 활용을 통해 소득 증가→토지 개간, 매입으로 지주로 성장

 
6. 농민층의 분화
  (1) 농민의 부농화 : 농민 일부는 소득을 증대시켜 부자가 됨
(2) 농민의 임노동자화
    ① 토지 상실 : 부세의 부담, 고리채의 이용, 관혼상제의 비용 부담으로 토지를 헐값에 매각 → 양반 관료, 토호, 상인 토지
      매입
   

② 광작 영향 : 지주의 토지 직접 경영 → 소작농의 소작지 상실
③ 대부분의 농민은 토지를 잃고 몰락 → 도시의 상공업자, 광산 · 포구의 임노동자로 전락

     
 
3. 민영 수공업의 발달
1. 배경 : 도시 인구 급증, 대동법 실시로 인한 관수품 수요의 증가→상품 화폐 경제의 진전

2. 민영 수공업의 발달 상황

 

(1) 수공업 형태의 변화 : 관영 수공업 쇠퇴→민간 수공업자들은 장인세 부담 후 자유롭게 생산 활동에 종사
(2) 점(店) : 민간 수공업자들의 작업장을 의미→ 철기 수공업체(철점), 사기 수공업체(사기점)

3. 선대제 수공업

 

(1) 배경 : 민간 수공업자들은 작업장과 자본의 규모가 소규모 → 원료의 구입과 제품의 처분에서 상업 자본의 지배를 받음
(2) 내용 : 민간 수공업자들이 공인이나 상인에게서 주문과 함께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

4. 독립 수공업자 출현 : 18세기 후반 독자적으로 생산하고 직접 판매하는 수공업자 등장
5. 농촌 수공업의 변화 : 자급 자족을 위한 부업의 형태 → 소득 증대를 위한 상품 생산 형태로 변화 → 전문적 생산 농가 출현(옷감 ·
  그릇 중심)
     
 
4. 민영 광산의 증가
1. 광산 정책의 변화
  (1) 조선 초기 : 정부가 독점하여 필요한 광물 채굴
(2) 17세기 중엽 : 민간인의 채굴 허용하고 세금을 받는 정책 실시 → 민간인에 의한 광업 활기
(3) 18세기 후반 이후 : 자유로운 채굴 허용
2. 활발한 광업 활동

 

(1) 은광 개발 : 청과의 무역으로 은의 수요가 증가→17세기 말 70개소의 은광 개발
(2) 금광 개발 : 18세기 말 상업 자본 유입으로 금광 개발(채굴과 제련이 쉬운 사금 채굴 위주)
(3) 잠채 성행 : 광산은 막대한 이익 창출이 가능→불법 채굴인 잠채 성행
 

4. 조선 후기 광산 경영

  (1) 경영의 전문화 : 광산 경영 전문가인 덕대가 상인 물주에게서 자본을 조달받아 채굴업자, 채굴 노동자, 제련 노동자 등을 고
                             용하여 광물을 채굴하고 제련
        (2) 작업 과정의 특징 : 분업에 토대를 둔 협업으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