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신라의 경제 체제
-
- 관료전 지급 및 녹읍 폐지와 정전의 지급 :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신문왕 7년 하5월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신문왕 9년 춘1월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성덕왕 21년 추8월 ║『삼국사기』권9, 「신라본기」9 경덕왕 16년 3월
-
- 궁중 수공업 : 『삼국사기』권39, 「잡지」8 직관(중) 내성 ║『삼국유사』권2, 「기이」2 48 경문대왕
-
- 장인(수공업자)의 생활과 신분 : 『삼국유사』권3, 「탑상」4 황룡사종⋅분황사약사⋅봉덕사종 ║『삼국유사』권3, 「탑상」4 무장사 미타전 ║『삼국유사』권3, 「탑상」4 흥륜사 벽화보현 ║『일본삼대실록』권18, 청화천황 정관 12년 9월 15일
-
- 민간 수공업 : 『삼국유사』권5, 「감통」7 광덕 엄장 ║『삼국사기』권46, 「열전」6 강수 ║『삼국유사』권3, 「탑상」4 황룡사종⋅분황사약사⋅봉덕사종
-
- 신라의 촌락 지배 : 신라촌락문서
-
- 동시⋅서시⋅남시의 개설 : 『삼국사기』권38, 「잡지」7, 직관 상
-
- 수리시설의 정비 : 「영천청제비」(정원명)
통일 신라의 활발한 국제 교류
-
- 민간 무역업자의 활약 : 『삼국유사』권3, 「탑상」4, 민장사
-
- 장보고의 해상 활동 : 『삼국사기』권44, 「열전」4 장보고⋅정년 ║『삼국사기』권11, 「신라본기」11 문성왕 8년 춘
-
- 『입당구법순례행기』 에 기록된 장보고 : 『입당구법순례행기』권2, 839년 4월 20일 ║『입당구법순례행기』권2, 839년 6월7일
-
- 장보고와 정년 : 『번천문집』권6, 장보고⋅정년전
-
- 신라의 교역 물품들 : 이븐 쿠르다지마, 『제도로 및 제왕국지』 ║조여괄, 『제번지』권상, 신라국
-
- 재당 신라인의 교역 활동 : 『입당구법순례행기』권1, 개성 4년 정월 8일 ║『속일본후기』권13, 인명천황 10년 12월(계해) ║『일본삼대실록』권8, 청화 천황 6년 정월 14일 ║『입당구법순례행기』권2, 개성 4년 6월 7일
-
- 일본과의 교역 활동 : 『일본서기』권29, 천무 천황 8년 10월(갑자) ║『일본서기』권30, 지통 천황 2년 2월(신묘) ║『속일본기』권18, 효겸 천황 4년 6월(기축) ║『속일본기』권29, 칭덕 천황 2년 10월(갑자)
-
- 869년 신라인 해적 사건 : 『일본삼대실록』권16, 청화천황 정관 11년 6월 15일 신축 ║『일본삼대실록』권16, 청화천황 정관 11년 추7월 2일 무오
발해의 국제 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