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기술의 발달
전시과 제도와 조세 제도
경제생활
-
- 귀족의 경제 생활 : 『고려사』권100, 「열전」13 [제신] 최세보 ║『고려 묘지명 집성』, 「함유일 묘지명」 ║『고려 묘지명 집성』, 「이보여 처 이씨 묘지명」
-
- 농민의 경제 생활 : 『선화봉사고려도경』권23, 잡속2 종예 ║『악장가사]』「청산별곡」 ║『고려사절요』권11, 의종장효대왕 21년 3월 ║『동국이상국집』후집 권1, 「고율시」 농부를 대신하여
-
- 수공업자의 활동 : 『고려사』권80, 「지」34 [식화3] 녹봉 제아문공장별사
-
- 고려의 조운 제도 : 『고려사』권79, 「지」33 [식화2] 조운 서
-
- 소금 전매제의 시행 : 『고려사』권79, 「지」33 [식화2] 염법 충선왕 원년 2월
-
- 외국과의 무역 활동 : 『고려사』권5, 「세가」5 현종 15년 9월 ║『고려사』권6, 「세가」6 정종 6년 11월 병인 ║『고려사』권69 「지」23 [예11] 중동팔관회의 덕종 3년 11월
농장의 확대와 상업
-
- 통도사 사령과 장생표 : 『통도사지(한국사지총서 제5집)』(아세아문화사, 1979), 「사지사방산천비보」
-
- 승려들의 상공업 활동 : 『고려사절요』권2, 성종문의대왕 임오 원년 6월 ║『고려사』권7, 「세가」7 문종 10년 9월 갑신
-
- 수취체제의 문란 : 『고려사절요』권4, 문종인효대왕 1 병신 10년 9월
-
- 화폐의 사용 : 『고려사』권79, 「지」33 [식화2] 화폐 목종 5년 7월 ║『대각국사문집』권12, 주전론 ║『고려사』권79, 「지」33 [식화2] 화폐 공민왕 5년 9월
-
- 고려 후기의 화폐 사용과 상업 : 『고려사』권79, 「지」33 [식화2] 화폐 공민왕 5년 9월 ║『고려사』권79, 「지」33 [식화2] 화폐 공양왕 3년 3월
-
- 권문 세족의 횡포 : 『고려사절요』권25, 충혜왕 후 계미 4년 9월 ║『고려사절요』권32, 신우 3 을축 11년 11월
-
- 농장 확대와 농민층의 몰락 : 『동문선』권7 「칠언고시」 상률가
-
- 조준의 전제개혁안 : 『고려사절요』권33 신우 4 무진 14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