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벌 귀족 사회의 모습
- - 장화왕후와 왕건 : 『고려사』권88, 「열전」1 [후비1] 장화왕후 오씨
- - 경원 이씨의 영화 : 『보한집』 상
- - 문벌 귀족의 생활 : 『고려사』권98, 「열전」11 [제신] 김부식 부 김돈중
- - 처사 곽여 : 『파한집』 중
- - 청평산 문수원기 : 『동문선』권64 「기」 청평산문수원기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 - 승려와 무신 정권의 충돌 : 『고려사』권129, 「열전」42 [반역3] 최충헌
- - 최우의 호화로운 강화 생활 : 『고려사절요』권16, 고종안효대왕 3 을사 32년 5월
- - 무신 정변과 문인의 수난 : 『고려사』권110, 「열전」23 [제신] 이제현
- - 죽림칠현과 이규보 : 『고려사』권102, 「열전」15 [제신] 이규보
- - 고려 후기의 권문 세족 : 『고려사』권33, 「세가」33 충선왕 1년 11월 신미 ║『고려사』권105, 「열전」18 [제신] 조인규
- - 신진 사대부의 성장 : 『도은집』 서
백성들의 생활 모습
- - 고려도경에 나타난 민생 : 『선화봉사고려도경』권19, 민서 서
- - 몽골의 침입으로 황폐해진 백성의 삶 : 『고려사절요』권17, 고종안효대왕 42년 3월 ║『고려사』권121, 「열전」34 [효우] 김천
- - 노비 신분의 세전 : 『고려사』권 85 「지」39 [형법2] 노비 충렬왕 26년 10월 ║『고려사』권104, 「열전」17 [제신] 나유 부 나익희
- - 노비 평량의 신분 상승 : 『고려사』권20, 「세가」20 명종 18년 5월 계축
- - 사천 매향비 : 『한국금석전문』 중세하편(허흥식, 아세아문화사, 1983), 「사천매향비」
고려의 사회 시책과 풍속
- - 의창, 상평창, 대비원, 혜민국, 각종 보 : 『고려사』권80, 「지」34 [식화3] 상평의창 현종 14년 윤9월 ║『고려사』권80, 「지」34 [식화3] 상평의창 성종 12년 2월 ║『고려사』권77, 「지」31 [백관2] 제사도감각색
- - 무당의 풍속이 크게 행해짐 : 『고려사』권16, 「세가」16 인종 9년 8월 병자
- - 금성산신에 대한 관직 수여 : 『고려사』권105, 「열전」18 [제신] 정가신
- - 고려에서 유행한 몽골 풍속, 원에서 유행한 고려 풍속 : 『성호사설』권5, 만물문 생채괘배 ║『성호사설』권21, 경사문 호복
혼인과 여성의 지위
- - 고려 시대의 호적 : 『여주 이씨 세보』, 여주 이씨 준호구
- - 균등 상속의 관습 : 『고려사』권102, 「열전」15 [제신] 손변
- - 자유로웠던 여성의 재혼 : 『역주 고려묘지명집성』 상(김용선 편저,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3), 이승장묘지명
- - 염경애 묘지 : 『역주 고려묘지명집성』 상(김용선 편저,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3), 최루백 처 염경애 묘지명
- - 처첩제도에 대한 여인들의 반발 : 『고려사』권106, 「열전」19 [제신] 박유
농민과 천민의 봉기
- - 전주 관노의 난 : 『고려사』권20, 「세가」20 명종 12년 3월
- - 망이⋅망소이의 난 :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6년 1월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6년 3월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6년 6월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6년 9월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6년 11월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6년 12월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7년 3월 신해
- - 김사미의 난 : 『고려사』권20, 「세가」20 명종 23년 7월 ║『고려사』권20, 「세가」20 명종 23년 8월 ║『고려사』권20, 「세가」20 명종 23년 11월 ║『고려사』권20, 「세가」20 명종 23년 12월
- - 만적의 난 : 『고려사』권129, 「열전」42 [반역3] 최충헌
- - 제주 농민의 봉기 : 『고려사』권18, 「세가」18 의종 22년 11월 정축 ║『익재난고』권4, 「시」 작견곽충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