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건국
-
- 조선 왕조의 성립 : 『태조실록』권1, 1년 7월 28일(정미)
-
- 국호론 : 『삼봉집』권7, 『조선경국전』상, 국호
-
- 국왕 중심의 국정 운영 : 『삼봉집』권7, 『조선경국전』상, 정보위
-
- 정도전의 재상론 : 『삼봉집』권7, 『조선경국전』상, 치전, 총서
-
- 한양 천도에 관한 논의 : 『태조실록』권6, 3년 8월 11일(무인) ║『태조실록』권6, 3년 8월 12일(기묘)
중앙 집권 체제의 정비
-
- 왕자의 난 : 『태조실록』권14, 7년 8월 26일(기사)
-
- 사병의 혁파와 군권의 정비를 건의하는 상소 : 『정종실록』권4, 2년 4월 6일(신축)
-
- 육조의 권한 강화를 주청하는 상소 : 『태종실록』권15, 8년 1월 3일(임자)
-
- 의정부 서사제 : 『세종실록』권72, 18년 4월 12일(무신)
-
- 수양 대군의 왕위 찬탈-계유정난 : 『단종실록』권8, 1년 10월 10일(계사)
-
- 단종 복위 운동-사육신 사건 : 『세조실록』권4, 2년 6월 2일(경자) ║『추강집』권8, 속록, 전, 육신전
-
- 유교적 국가의 완성 : 『경국대전』서
-
- 승정원의 기능과 역할 : 『경국대전』권1, 「이전」, 경관직 정삼품아문 ║李裕元, 『林下筆記』卷22 文獻指掌編 喉院之緊
유교적 통치 질서의 확립
지방 제도의 정비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
- 무오사화 : 『연산군일기』권30, 4년 7월 17일(신해)
-
- 갑자사화 : 『연산군일기』권63, 12년 9월 2일(기묘)
-
- 조광조의 개혁 정치 : 『중종실록』권34, 13년 8월 1일(무진)
-
- 기묘사화 : 『중종실록』권37, 14년 11월 18일(무신)
-
- 을사사화 : 『명종실록』권1, 즉위년 8월 28일(무오) ║『명종실록』권1, 즉위년 7월 7일(정묘)
-
- 문묘 배향 운동 : 『선조실록』권4, 3년 4월 23일(경신) ║『선조실록』권4, 3년 4월 25일(임술)
-
- 정여립 모반 사건 : 『연려실기술』권14, 선조조고사본말, 기축정여립지옥
-
- 동⋅서 붕당의 발생 : 『당의통략』 선조조부광해조
-
- 현량과 실시 : 『중종실록』권32, 13년 3월 11일(경술)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왜란의 전개와 그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