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치 체제의 변화
붕당 정치와 탕평 정치
-
- 인조 반정 : 『인조실록』권1, 1년 3월 13일(계묘)
-
- 이괄의 난 : 『인조실록』권4, 2년 1월 21일(병자)
-
- 예송의 전개 : 『현종실록』권2, 1년 3월 21일(병자) ║『현종실록』권2, 1년 4월 10일(갑오)
-
- 구양수의 붕당론 : 『붕당론』, 군자소인변
-
- 박세채의 탕평론 : 『숙종실록보궐정오』권14, 9년 2월 4일(병자)
-
- 영조의 탕평론 : 『영조실록』권3, 1년 1월 3일(임인)
-
- 이인좌의 난 : 『영조실록』권16, 4년 3월 15일(계유)
-
- 정조의 탕평론 : 『정조실록』권1, 즉위년 5월 16일(병술) ║『홍재전서』권10, 서인3, 만천명월주인옹자서
-
- 붕당 정치에 대한 비판 : 『당의통략』 원론
영⋅정조의 개혁 정치
조선 후기 청과의 관계
-
- 광해군의 중립 외교 : 『광해군일기』(중초본)권128, 10년 5월 1일(무자)
-
- 인조 반정과 친명 배금 정책 : 『인조실록』권1, 1년 3월 14일(갑진)
-
- 후금에 대한 주전론 : 『인조실록』권33, 14년 11월 8일(무신)
-
- 후금에 대한 주화론 : 『지천집』권11, 차, 병자봉사 제3
-
- 삼전도의 항복 : 『인조실록』권34, 15년 1월 30일(경오)
-
- 나선 정벌 : 『효종실록』권20, 9년 3월 3일(경자)
-
- 송시열의 북벌론 : 『송자대전』권5 봉사 기축봉사
-
- 북벌론에 대한 비판 : 『북학의』외편, 존주론
-
- 백두산 정계비 : 『만기요람』, 군정편5, 백두산정계, 군려대성
-
- 북학론의 대두 : 『연암집』卷7, 별집, 종북소선 「북학의서」
조선 후기 일본과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