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취 제도의 문란과 개편
-
- 왜란 직후의 경지 면적 변화 : 『반계수록』권6, 전제교설 하, 국조전제부
-
- 영정법 시행 : 『만기요람』, 재용편2, 수세, 각도수세
-
- 공납제 개혁론-대공수미법 시행 : 『선조수정실록』권28, 27년 4월 1일(기유)
-
- 대동법 시행 : 『만기요람』, 재용편3, 대동작공, 대동법
-
- 양역의 폐단 : 『영조실록』권75, 28년 1월 13일(을해)
-
- 균역법 시행 : 『영조실록』권71, 26년 7월 9일(기유)
-
- 균역청 사목 : 『만기요람』, 재용편3, 균역
-
- 환곡제의 폐단 : 『여유당전서』제1집 제5권 시집, 하일대주
농업 생산력의 증대
-
- 모내기의 장점 : 『임원경제지』, 본리지 권5, 종예 상, 도류
-
- 견종법의 보급 : 『임원경제지』, 본리지 권5, 종예 상, 속류
-
- 대전법의 도입 : 『임원경제지』, 본리지 권1, 전제, 제전, 대전
-
- 경영형 부농 : 『정조실록』권50, 22년 11월 30일(기축)
-
- 간척 사업 : 『비변사등록』권58, 숙종 33년 11월 19일
-
- 상업적 농업 : 『경세유표』권8, 지관수제, 전제11, 정전의3
-
- 농업 노동의 새로운 변화 : 『농포문답』 균전제
실학자의 토지 개혁론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
- 난전의 성행 : 『만기요람』, 재용편5, 각전, 난전
-
- 장시의 발달 : 『만기요람』, 재용편5, 각전, 부향시
-
- 개시와 후시 : 『만기요람』, 재용편5, 중강개시 ║『만기요람』, 재용편5, 책문후시
-
- 공인의 활동 : 『경국대전』권2, 「호전」, 세공 ║『속대전』권2, 「호전」 세공
-
- 도고의 폐단 : 『영조실록』권126, 51년 12월 29일(임신)
-
- 상평통보의 유통 : 『숙종실록』권7, 4년 1월 23일(을미)
-
- 전황 : 『정조실록』권16, 7년 11월 29일(병진)
-
- 신해통공 : 『정조실록』권22, 15년 1월 25일(경자)
-
- 상공업 진흥책 : 『우서』권7, 논선혜대동
-
- 박제가의 해외 통상 주장 : 『북학의』외편, 통강남절강상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