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의 교조화와 그에 대한 비판
-
- 조선 성리학의 집대성-주자언론동이고 : 『주자언론동이고』권1, 권두, 주자언론동이고서
-
- 호락논쟁 : 『외암유고』권12, 잡저, 이통기국변
-
- 윤휴의 성리학 비판 : 『백호전서』권36, 잡저, 독서기, 중용주자장구보록
-
- 박세당의 성리학 비판 : 『사변록』, 서
-
- 양반들의 유교적 생활 : 『초려전집』(중간본), 정훈, 서 ║『초려전집』(중간본), 정훈, 사당지의 ║『초려전집』(중간본), 정훈, 묘제지의 ║『초려전집』(중간본), 정훈, 상장지의 ║『초려전집』(중간본), 정훈, 관혼지의 ║『초려전집』(중간본), 정훈, 부우지비
-
- 대중화된 유교 윤리 : 『사례편람』, 범례
-
- 양명학의 수용 : 『하곡집』권9, 존언 하, 학문자양심지방
실학의 발달과 국학 연구의 확대
-
- 이익의 삼한정통론 : 『성호집』권17, 잡저, 삼한정통론
-
- 안정복의 삼국 인식 : 『동사강목』 범례 통계
-
- 홍대용의 과학 사상 : 『담헌서』내집 권4, 보유, 의산문답
-
- 유득공의 발해사 연구 : 『영재집』권7, 서, 발해고서
-
- 정약용의 지리 인식 : 『여유당전서』제1집 제14권 문집, 서, 제강역고권단
-
- 유희의 한글 연구 : 『문통』권19, 언문지서
-
- 김정희의 금석문 연구 : 『완당집』권1, 고, 진흥이비고
서양 문물의 수용과 과학의 발달
-
- 동의보감의 간행 : 『월사선생집』권39, 서, 동의보감서
-
- 시헌력의 도입 : 『잠곡선생유고』권7, 계사, 논역법계사
-
- 홍대용의 지전설 : 『담헌서』내집 권4, 보유, 의산문답
-
- 배다리의 설치 : 『홍재전서』권59, 잡저6, 주교지남
-
- 거중기의 발명과 화성 축조 : 『여유당전서』제1집 제10권 문집, 설, 총설
-
- 정약용의 종두설 : 『여유당전서』제1집 제10권 문집, 설, 종두설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 서당의 보급과 확산 : 『효종실록』권21, 10년 2월 16일(정축)
-
- 판소리의 유행 : 『풍고집』권2, 시, 지정. 청우령배곡희부
-
- 꼭두각시 놀이와 탈놀이 : 「남성관희자」
-
- 한글 소설의 유행 : 『홍길동젼』
-
- 가사 문학의 발달 : 「춘면곡」
-
- 윤선도의 시조-오우가 : 『고산유고』권6 별집, 가사, 산중신곡, 오우가
-
- 박지원의 양반 풍자 : 『연암집』권8, 별집, 양반전
-
- 박지원의 문학론 : 『연암집』권1, 서, 초정집서
-
- 김홍도의 풍속화 : 『표암고』권4, 기, 단원기
-
- 김정희의 서예론 : 『완당집』권7, 잡저, 서시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