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의 통치
서양 세력의 접근과 대응
개항과 불평등 조약
-
-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 : 『고종실록』권13, 13년 2월 3일(을축)
-
- 조⋅일 수호 조규 부록, 조⋅일 무역 규칙 :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입법참고자료. 16-20』 v. 18. 구한말조약휘찬 상, 1964, 20~23쪽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입법참고자료. 16-20』 v. 18. 구한말조약휘찬 상, 1964, 114~117쪽
-
- 제물포 조약과 조⋅일 수호 조규 속약 : 『고종실록』권19, 19년 7월 17일(신축)
-
- 조⋅일 통상 장정 :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입법참고자료. 16-20』 v. 18. 구한말조약휘찬 상, 1964, 152~174쪽
-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입법참고자료. 26-30』 v. 27. 구한말조약휘찬 하, 1964, 398~406쪽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고종실록』권19, 19년 4월 6일(신유)
-
- 한성 조약과 톈진 조약 : 『고종실록』권21, 21년 11월 24일(갑자) ║『고종실록』권22, 22년 3월 4일(계묘)
개화와 자주 운동
-
- 동도서기론-곽기락 상소 : 『일성록』, 고종 18년 6월 8일
-
- 고종의 동도서기론 : 『고종실록』권19, 19년 8월 5일(무오)
-
- 개화 정치의 이상-박영효 건백서 : 일본 외무성, 『일본외교문서』21권, 292~311쪽
-
- 개화의 등급-서유견문 : 『유길준전서』1 『서유견문』, 제14편, 개화의 등급
-
- 개화파의 형성-오세창의 회고 : 하야시 기로쿠 편저, 고균기념회 편찬, 『김옥균전』상, 동경, 1944, 48~51쪽
-
- 최익현의 강화도 조약 체결 반대 상소 : 『면암집』, 『면암선생문집』권3, 소, 지부복궐척화의소
-
- 황준헌의 조선책략 : 『수신사기록』(국사편찬위원회, 1958), 『수신사일기』권2
-
- 위정 척사 운동-영남 만인소 : 『일성록』, 고종 18년 2월 16일
-
- 임오군란 : 『매천야록』권1, 갑오이전 상
-
- 갑신정변의 정령 14개조 : 『갑신일록』
-
- 유길준의 한반도 중립화 주장 : 『유길준전서』4 정치경제편, 외교론, 중립론
동학 농민 운동
-
- 고부의 사발통문 : 『나라사랑』15집, 1974
-
- 동학 농민군의 무장 포고문 : 『동학난기록』상(국사편찬위원회, 1971), 『취어』, 무장동학배포고문
-
- 폐정 개혁 12개조 : 오지영, 『동학사』(초고본) 3, 집강소의 행정, 1926
-
- 집강소의 향촌 통치 : 『오하기문』 2필
-
- 황현의 동학 농민 운동 인식-갑오평비책 :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8(역사문제연구소 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1996), 「갑오평비책」
-
- 전봉준 공초 : 『동학난기록』하(국사편찬위원회, 1971), 『전봉준공초』
갑오 개혁
일제의 침략과 의병 항쟁
-
- 기리노 도시아키(桐野利秋)의 정한론 : 『서남기전』제1책 상권1, 부록 제1장, 기리노 도시아키의 정한론에 관한 실화
-
- 청일 전쟁 당시 일본의 대한 정책 : 『건건록』
-
- 청⋅일 강화 조약(시모노세키 조약) : 일본 외무성, 『일본외교연표병주요문서』, 1966
-
- 명성황후 시해 사건 : 『대한계년사』권2, 고종 32년 을미
-
- 단발령 : 『관보』제214호, 1896년(건양 1년) 1월 4일 ║『매천야록』권2, 고종 32년 을미
-
- 을미 의병 항쟁-유인석의 격고 팔도 열읍 : 『의암집』권45, 격, 격고팔도열읍
-
- 활빈당 선언서 : 〈한성신보〉, 1900년 10월 8일 ; 노부오 준페이, 『한반도』, 1905, 76~79쪽
독립 협회와 대한제국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국권 회복 운동
-
- 한⋅일 의정서 : 『고종실록』권44, 41년(광무 8년) 2월 23일
-
- 제2차 영⋅일 동맹 :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입법참고자료. 26-30』 v. 26. 구한말조약휘찬 중, 1964, 206~208쪽
-
- 을사늑약(을사조약, 한⋅일 협상 조약) : 『고종실록』권46, 42년(광무 9년) 11월 17일
-
-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 〈황성신문〉, 1905년 11월 20일
-
- 민영환의 유서 : 〈대한매일신보〉, 1905년 12월 1일
-
- 대한 자강회 취지서 : 〈황성신문〉, 1906년 4월 2일
-
- 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에 고하는 글 : 『나라사랑』20집, 1975
-
- 정미 7조약 : 『한일협약』, 1907년 7월 24일
-
- 정미 의병 전쟁-맥켄지가 기록한 의병 : F. A. 맥켄지 저, 김창수 역, 『조선의 비극』, 을유문화사, 1984
-
- 신민회 결성 취지문 : 『통감부문서』6권 헌기 제501호, 1909년 3월 5일, 대한 신민회 취지서 및 동회 통용 장정 등 보고 건 ║〈대한매일신보〉, 1909년 8월 17일
-
- 기유각서 : 『관보』제3325호, 1905년(광무 9년) 12월 16일
-
- 안중근 의사의 최후 진술 : 『나라사랑』34집, 1979
-
-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 윤병석 역편, 『안중근전기전집』, 국가보훈처, 1999, 184~186쪽
-
- 한⋅일 병합 조약 : 『관보』호외, 1910년(융희 4년) 8월 29일
독도와 간도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다양하게 전개된 민족 운동
-
- 조선 물산 장려회 취지서 : 조선물산장려회 취지서
-
-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비판 : 〈동아일보〉, 1923년 3월 20일 ║〈동아일보〉, 1923년 3월 31일
-
- 6⋅10 만세 운동 격문 : 大正 15年 第二次朝鮮共産黨事件檢擧ニ關スル報告綴
-
- 조선 민흥회 선언 : 〈시대일보〉, 1926년 7월 11일
-
- 정우회 선언 : 〈조선일보〉, 1926년 11월 17일
-
- 신간회 강령 : 〈동아일보〉, 1927년 1월 20일
-
- 신간회의 해산 : 『삼천리』제14호, 1931년 4월 ║〈조선일보〉, 1931년 4월 17일
-
- 근우회 강령 : 〈동아일보〉, 1929년 7월 25일
-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격문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9권 : 학생독립운동사』, 1977, 561~562쪽
일제의 식민 정책과 민족의 수난
-
- 조선 태형령 시행 규칙 : 『조선 총독부 관보』호외, 1912년 3월 18일 ║『조선 총독부 관보』호외, 1912년 3월 19일
-
- 조선 총독 사이토의 문화 정책 : 조선 총독부, 『사이토 마코토 문서』1, 고려서림, 1990
-
- 조선 총독 사이토가 구상한 부일 세력 양성책 : 조선 총독부, 『사이토 마코토 문서』1, 고려서림, 1990, 419~430쪽
-
- 사이토의 조선 민족 운동에 대한 대책 : 조선 총독부, 『사이토 마코토 문서』9, 고려서림, 1990, 143~158쪽
-
- 치안 유지법 : 『조선 총독부 관보』제3807호, 1925년 4월 27일 ║『조선 총독부 관보』제454호, 1928년 7월 4일 ║『조선 총독부 관보』제4278호, 1941년 5월 1일
-
- 신사 참배 문제 확대 : 〈동아일보〉, 1935년 12월 1일
-
- 국가 총동원법 : 『조선 총독부 관보』제3391호, 1938년 5월 10일 ║『조선 총독부 관보』제3391호, 1938년 5월 10일
-
- 황국 신민 서사 : 조선 총독부, 『시정30년사』, 1940, 790쪽
-
- 내선 일체 : 조선 총독부, 『조선에서의 국민정신총동원』, 1940년 3월, 90~104쪽 ║조선총독관방 문서과 편찬, 『유고⋅훈시⋅연술총람』, 38~44쪽
-
- 이광수와 윤치호의 내선 일체 옹호 : 〈매일신보〉, 1940년 9월 4일 ║『동양지광』, 1939년 4월
-
- 일본식 성명 강요 : 조선 총독부, 『조선법령집람』, 1940 ║조선 총독부 법무국, 『씨제도의 해설』, 1940
-
- 일본으로 가는 노동자들 : 〈조선일보〉, 1929년 8월 11일
-
- 일본군 위안부의 증언-내가 또다시 이리 되는구나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신대연구회 편,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1(증언집), 한울, 1993
국내외의 민족 운동
-
- 청산리 전투에 대한 대한 군정서 보고 : 〈독립신문〉, 1921년 2월 25일
-
- 의열단과 조선 혁명 선언 : 『단재 신채호 전집』
-
- 무정부주의 운동-허무당 선언서 : 경상북도 경무부, 『경상북도 고등경찰요사』, 1934
-
- 한인 애국단 선서문 :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 『도록 윤봉길 의사』, 1992
-
- 독립군 아내들의 고통 :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16~17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18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19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23~24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26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27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28~31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36~37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40~41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53~54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61~62쪽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 : 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75, 74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49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51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52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96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100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116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120쪽 ║허은 구술, 변창애 기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2000, 174~176쪽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한국 광복군
-
- 한국 광복군의 행동 준승 9개항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자료1 임정편』, 1970, 451쪽
-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일 선전 성명서 : 백범김구선생전집편찬위원회, 『백범김구전집』 제5권, 서울신문사, 1999, 102~103쪽(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8에 재수록)
-
- 대한민국 건국 강령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조소앙편(3)』, 1997, 188~194쪽(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제1권, 2005에 재수록) ║〈진찰기일보〉, 1942년 8월 25일(국가보훈처,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Ⅴ 중국편①, 1992, 250쪽에 재수록) ║이만규, 『여운형투쟁사』, 총문각, 170쪽, 1946년 5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