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광복
광복 직후의 국내 정세
-
- 미국과 소련의 38선 분할 점령-미국 러스크 대령의 진술 : 송건호 등,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한길사, 1979
-
- 남한 점령 태평양 주둔 미군사령관 포고 제1호 : 시사연구소 편, 『(시사자료) 광복30년사』, 세문사, 1977
-
- 북한 점령 치스차코프 대장의 포고문 : 김준엽 외, 『북한연구자료집』 1(아세아문제연구소 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9
-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의 선언⋅강령 : 민주주의민족전선사무국 편, 『조선해방연보』, 문우인서관, 1946
-
- 조선 공산당의 정치 노선-8월 테제 : 이정 박헌영 전집편집위원회 편, 『이정 박헌영 전집』2(미군정기 저작편), 역사비평사, 2004
-
- 미 군정의 일제 식민지 시기 법률 폐기-미군정법령 제11호 : 내무부 치안국, 『미군정법령집』, 1956
-
- 아놀드 미 군정 장관의 조선인민공화국 부인 성명 : 〈매일신보〉, 1945년 10월 11일
-
- 이승만과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의 연합군에 대한 감사 결의 : 〈자유신문〉, 1945년 11월 3일
-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요인의 환국 : 〈자유신문〉, 1945년 11월 24일 「김구 주석의 성명」
-
- 민주주의임시정부 수립과 신탁 통치에 대한 모스크바3국 외상회의 결정서 : 김남식 외, 『한국현대사 자료 총서』: 1945-1948. 10-15(단행본 편 제3부, 제1-6권 v.13, 돌베개, 1994
-
- 신탁 통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의 반탁 선언과 결의문 : 〈중앙신문〉, 1946년 1월 1일
-
- 모스크바 3국 외상회담 결정에 대한 조선 공산당의 지지 담화문 : 〈해방일보〉, 1946년 1월 6일
-
- 군정 반대를 처벌하기 위한 미군정법령 제72호 : 내무부 치안국, 『미군정법령집』, 1956
-
- 이승만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 주장(정읍 발언)과 한국 민주당의 성명 : 〈서울신문〉, 1946년 6월 4일 ║〈동아일보〉, 1947년 12월 20일
-
- 좌우 합작 위원회의 좌우 합작 7원칙 : 〈동아일보〉, 1946년 10월 8일
-
-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 친일 민족 반역자 처벌을 위한 특별 조례 제정 : 〈동아일보〉, 1947년 5월 7일
냉전 체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 국제 연합의 창설 : 국제 연합 헌장(http://www.un.org)
-
- 국제 연합 총회에서 채택된 남북한 총선거 결의안 : 외무부 정무국, 『국제연합한국관계결의문집』, 1954
-
- 국제 연합 소총회에서 채택된 남한만의 총선거 결의안(1948. 2. 26) : 외무부 정무국, 『국제연합한국관계결의문집』, 1954
-
-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반대-김구의 성명 발표 : 〈서울신문〉, 1948년 2월 11일~13일
-
- 제헌 국회 의원 선거법-미군정법령 제175호 : 내무부 치안국, 『미군정법령집』, 1956
-
- 제헌 국회에서 제정된 제헌 헌법 : 대한민국 『관보』 제1호, 1948년 9월 1일
-
- 헌법의 경제 조항의 변천 : 「대한민국헌법」 [헌법 제1호, 1948.7.17. 제정, 1948.7.17. 시행], 국가 법령 정보 센터 ║「대한민국헌법」 [헌법 제3호, 1954.11.29. 일부 개정, 1954.11.29. 시행], 국가 법령 정보 센터 ║「대한민국헌법」 [헌법 제6호, 1962.12.26. 전부 개정, 1963.12.17. 시행], 국가 법령 정보 센터
-
- 제1대 국회,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 대한민국 『관보』 제5호, 1948년 9월 22일
-
- 제1대 국회, 국가보안법을 제정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www.law.go.kr)
한미 행정 협정과 주한 미군
4⋅19 혁명과 민주당 정부
-
- 3⋅15 부정 선거 지시 : 〈동아일보〉, 1960년 3월 4일
-
- 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의 4.19 선언문 : 시사연구소 편, 『(시사자료) 광복30년사』, 세문사, 1977
-
- 4⋅19 혁명 때 대학 교수단의 시국 선언문 : 시사연구소 편, 『(시사자료) 광복30년사』, 세문사, 1977
-
-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http://www.pa.go.kr/)
-
- 민주당 정부 장면 국무총리의 국회 시정연설 : 〈동아일보〉, 1960년 10월 1일
-
- 이승만 정부에 의해 자행된 반민주행위 처벌을 위한 제4차 헌법개정 : 시사연구소 편, 『(시사자료) 광복30년사』, 세문사, 1977
박정희 정부와 민주화 운동
-
- 5⋅16 군사 정변시 내세운 혁명 공약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편, 『한국군사혁명사』제1집 상, 1963
-
- 1961년 중반 『사상계』의 5⋅16 군사 정변에 대한 입장 : 『사상계』 1961년 6월호, 「권두언. 5⋅16 혁명과 민족의 진로」 ║『사상계』 1961년 7월호, 함석헌, 「5⋅16을 어떻게 볼까?」
-
- 제5대 박정희 대통령 취임사 :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http://www.pa.go.kr/)
-
- 한⋅일 기본 조약과 부속 협정 : 동아일보사 편집부, 『동아연감』, 동아일보사, 1967
-
- 6⋅3 한일 회담 반대 시위에 대한 박정희 정부의 비상 계엄 선포 : 〈동아일보〉, 1964년 6월 4일
-
- 1965년 서울 소재 대학 교수단의 한⋅일 협정 비준 반대 : 〈동아일보〉, 1965년 7월 12일자
-
-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미국의 한국 지원 약속-브라운 각서 :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입법참고자료. 190-199』 제193호 한국 외교관계 자료집, 1964
-
- 3선 개헌 반대 투쟁 : 김삼웅 편, 『민족⋅민주⋅민중선언』, 일월서각, 1984
-
- 유신 헌법 : 대한민국 『관보』 제6337호, 1972년 12월 27일
-
- 유신 헌법 개헌 논의를 금지한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 : 대한민국 『관보』 제7045호, 1975년 5월 13일
-
- 전국 민주 청년 학생 총연맹의 선언서 :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민중⋅민족⋅민주선언」, 1974년 4월 3일
-
- 인혁당 재건위 사건 : 국정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2007년 10월 24일), 『과거와 대화 미래의 성찰–국정원「진실위」보고서⋅총론(Ⅰ)-』, 「인민혁명당 및 민청학련 사건 발표문」, 166~199쪽
-
- 3⋅1 민주 구국 선언 : 명동천주교회 편, 『한국가톨릭 인권운동사』, 명동천주교회, 1984
-
- 부마 항쟁시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민주 선언문 :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자료편찬위원회,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 자료집』,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1989
전두환 정부와 6월 민주 항쟁
북한의 정치
-
- 1946년 창립된 북조선 노동당 강령 : 김준엽 외 편, 『「북한」연구자료집』제1집,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9
-
- 1948년 제정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헌법 :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연감』, 1950
-
- 1972년 제정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 국토통일원, 『북한최고인민회의자료집』 3, 1988
-
- 2004년 미국 의회가 제정한 북한 인권법 : 국회도서관, 『북한인권법 : 미국』, 국회도서관 입법전자정보실, 2004
남북 관계와 통일을 위한 노력
-
- 진보당 사건의 재심 무죄 판결 : 대법원 대법원종합법률정보 : 2011.1.20.선고 2008재도11 전원합의체 판결
-
- 북한 공작원의 1⋅21 청와대 습격 사건 : 〈중앙일보〉, 1968년 1월 22일
-
- 닉슨 독트린 : 〈동아일보〉, 1969년 7월 26일
-
- 남북 적십자사 회담 : 월간조선, 『사료 해방40년』『월간조선』1985년 신년호 별책부록, 조선일보사, 1985
-
- 7⋅4 남북 공동 성명 : 합동통신사, 『합동연감』, 1975
-
- 6⋅23 평화 통일 외교 정책 선언 : 〈조선일보〉, 1973년 6월 23일
-
-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 〈조선일보〉, 1991년 12월 14일
-
-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남북한 공동 선언 : 신동아 편집실, 『선언으로 본 80년대 민족⋅민주운동』『신동아』1990년 1월호 별책부록, 동아일보사, 1990
-
- 6⋅15 남북 공동 선언 : 대한민국 『관보』 제14546호, 2000년 7월 5일
-
- 남북 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 : 남북 회담 본부, 「남북 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2007년 10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