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로운 건국 이야기의 세계
- - 부여의 건국 이야기 : 『논형』권2, 「길험편」
- - 고구려의 건국 이야기 : 『삼국사기』권13, 「고구려본기」1 동명성왕
- - 백제의 건국 이야기 : 『삼국사기』권13 「백제본기」1 온조왕
- - 신라의 건국과 시조 이야기 : 『삼국사기』권1, 「신라본기」1 혁거세거서간 ║『삼국유사』권1, 「기이」1 제4 탈해왕 ║『삼국유사』권1, 「기이」1 김알지 탈해왕대
- - 금관가야의 건국 이야기 : 『삼국유사』권2, 「기이」2 가락국기
- - 대가야의 건국 이야기 : 『신증동국여지승람』권29 「경상도」 고령현 건치연혁
고구려의 체제 정비와 영토 확장
- - 고구려의 왕실 인식과 왕계 : 『삼국지』권30, 「위서」30 오환선비동이전
- - 국상 을파소의 등용 : 『삼국사기』권16, 「고구려본기」4 고국천왕 13년
- - 소수림왕의 체제 정비 : 『삼국사기』권18, 「고구려본기」6 소수림왕 2⋅3⋅4⋅5년
- - 광개토왕의 영역확장 : 「광개토왕 비문」
- - 평양 천도와 남진 : 『삼국사기』권18, 「고구려본기」6 장수왕 15년 ║『삼국사기』권25, 「백제본기」3 개로왕 21년
- - 충주 고구려비와 중원 지역 : 「충주 고구려비」
- - 귀족 세력의 분열과 갈등 : 『일본서기』권19, 「흠명천황」
- - 한강 유역 상실과 수복 의지 : 『삼국사기』권45, 「열전」5 온달전
- - 연개소문의 집권 : 『삼국사기』권49, 「열전」9 개소문전
백제의 체제 정비와 영토 확장
- - 백제 고이왕의 체제 정비 : 『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고이왕 27년
- - 백제 근초고왕의 영토 확장 : 『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근초고왕 24⋅26⋅30년
- - 개로왕이 위나라에 고구려 정벌을 요청한 외교문서 : 『위서』권100, 「열전」88, 백제
- - 부활하는 백제 : 『삼국사기』권26, 「백제본기」4, 무령왕 21년 ║『삼국사기』권26, 「백제본기」4, 성왕
- - 성왕의 죽음과 백제의 위기 : 『일본서기』권19, 「흠명천황」 16년
신라의 체제 정비와 영토 확장
- - 왕호의 변화로 본 신라의 성장 : 『삼국유사』권1, 「기이」2 제2남해왕
- - 지증왕의 정치 개혁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지증왕 4년
- - 신라의 우산국 정복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지증마립간 13년 ║『삼국유사』권1, 「기이」2 지철로왕
- - 법흥왕의 체제 정비와 금관가야 정복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법흥왕 4⋅7⋅9⋅11⋅18⋅19⋅23년
- - 진평왕의 관제 정비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3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5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6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8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13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44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45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46년
- - 진덕왕의 관제 정비 : 『삼국사기』권5, 「신라본기」5 진덕왕 3년 ║『삼국사기』권5, 「신라본기」5 진덕왕 5년 ║『삼국사기』권5, 「신라본기」5 진덕왕 5년
- - 진흥왕의 영토 확장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흥왕 9⋅11⋅12⋅14⋅15⋅16⋅17⋅18⋅23년
삼국의 귀족회의
- - 고구려의 제가 회의 : 『삼국지』권30, 「위서」30 오환선비동이전
- - 고구려의 대대로 선출 : 『주서』권49, 「이역열전」41 고려 ║『구당서』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고려
- - 백제의 관직 선출과 정사암 : 『삼국유사』권2, 「기이」2 남부여⋅전백제⋅북부여
- - 신라의 화백 회의와 4영지 : 『삼국유사』권1, 「기이」2 진덕왕
삼국의 국제관계
- - 고구려의 천하관 : 「광개토왕 비문」 ║「모두루묘지명」 ║「중원고구려비문」
- - 신묘년조 논쟁 : 「광개토왕 비문」
- - 5세기 전반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 「광개토왕호우」
- - 6세기 말 고구려와 수나라의 관계 : 『수서』권81, 「열전」46 동이열전 고려
- - 백제의 요서진출 : 『송서』권97, 「열전」57, 백제전 ║『양서』권54, 「열전」48 백제전 ║『남제서』권58, 「열전」39, 백제전
- - 백제와 일본의 관계 : 「칠지도명문」
- - 일본의 임나일본부 주장 : 『일본서기』권9, 「신공황후」 49년
- - 6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관계 : 「양직공도」 백제국사조
- - 원광의 걸사표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평왕 30⋅33년
통일로 가는 길
- - 고구려와 수의 전쟁 : 『삼국사기』권44, 「열전」4 을지문덕
- - 고구려와 당의 전쟁 : 『삼국사기』권21, 「고구려본기」9 보장왕(상) 4년
- - 김춘추와 김유신 : 『삼국사기』권41, 「열전」1 김유신 상
- - 백제의 멸망 과정 : 『삼국사기』권5, 「신라본기」5 태종무열왕 7년
- - 멸망 이후의 백제 : 「대당평백제국비명」
- - 백제의 부흥 운동 : 『구당서』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백제전
- - 고구려의 멸망 : 『삼국사기』권22, 「고구려본기」10 보장왕(하) 27년
- - 당나라로 투항한 연개소문의 아들 남생 : 「천남생묘지명」
- - 고구려의 부흥 운동 : 『신당서』권220, 「열전」145 동이열전 고려전
- - 나당전쟁과 김인문⋅의상 : 『삼국유사』권2, 「기이」2 문호왕법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