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통일과 국가 체제 정비
-
- 문무왕의 호국 정신 : 『삼국유사』권2, 「기이」2 문호왕법민
-
- 신문왕 즉위 교서 :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신문왕 원년 추8월 16일
-
- 민족 융합 정책 : 『삼국사기』권40, 「잡지」9 직관 하
-
- 지방 제도의 정비 -9주 5소경 : 『삼국사기』권34, 「잡지」3, 지리 1
-
- 성덕왕 대의 제도 및 문물 정비 :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성덕왕 10년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성덕왕 12년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성덕왕 13년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성덕왕 16년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8 성덕왕 17년
-
- 태평성대의 기원 -만파식적 이야기 : 『삼국유사』권2, 「기이」2 만파식적
발해의 건국과 발전
-
- 발해의 건국 : 『구당서』권199하, 「열전」149하 북적 발해말갈
-
- 발해의 등주 공격 : 『구당서』권8, 「본기」8 현종 상 ║『자치통감』권213, 「당기」29 현종 ║『신당서』권136, 「열전」61 오승체
-
- 발해 무왕이 일본에 보낸 국서 : 『속일본기』권10, 신구 5년(728) 봄 1월(갑인)
-
- 일본이 발해에 보낸 외교 문서 : 『속일본기』권32, 보구 3년 2월(기묘)
-
- 발해 중대성에서 일본 태정관에게 보낸 문서 : 함화 11년(841) 중대성첩 사본
-
- 발해의 전성 : 『송막기문』 ; 김육불 편, 『발해국지장편』권1, 총략 상
-
- 발해와 신라의 경쟁 : 『최문창후문집』권1, 사불허북국거상표
-
- 발해의 중앙 관제 : 『신당서』권219, 「열전」144 북적 발해
신라 말기의 정치 변동
새로운 세력의 성장과 후삼국의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