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의 통일
- - 태조가 예산진에서 내린 조서 : 『고려사』권2, 「세가」2 태조 17년 5월 을사
- - 발해 유민 포섭 : 『고려사절요』권1, 태조신성대왕 을유 8년 12월
- - 태조의 훈요십조 : 『고려사』권2, 「세가」2 태조 26년 4월
통치 체제의 정비
- - 귀족 합의 기구-식목도감과 도병마사 : 『익재집』, 『역옹패설』 전집1
- - 최승로의 시무28조 : 『고려사절요』권2, 성종문의대왕 임오 원년 6월
- - 사심관과 기인제도 : 『고려사』권75, 「지」29 [선거3] 전주 사심관
- - 성종의 12목 설치 : 『고려사』권3, 「세가」3 성종 2년 2월 무자
- - 수령이 지켜야 할 6조목 : 『고려사』권75, 「지」29 [선거3] 전주 선용수령
- - 향⋅소⋅부곡⋅장⋅처에 관한 자료 : 『신증동국여지승람』卷7 「경기」2 여주목 고적
- - 고려의 군사 제도 : 『고려사』권81, 「지」35 [병1] 서문
관리 등용 제도
- - 음서 제도 : 『고려사』권75, 「지」29 [선거3] 전주 범음서
- - 과거제의 실시 : 『고려사』권73, 「지」27 [선거1] 서문
- - 장양수와 장계의 홍패 : 『한국상대고문서자료집성』(이기백, 일지사, 1987), 「장양수 홍패」(58~59쪽)와 「장계 홍패」(115쪽)
- - 문생과 종백 : 『보한집』 상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
- - 북진 정책과 영토 확장 : 『고려사』권1, 세가1 태조 원년 6월 병진 ║『고려사』권1, 세가1 태조 원년 9월 병신 ║『고려사』권2, 「세가」2 태조 25년 10월
- - 서희의 외교 담판 : 『고려사』권94, 「열전」7 [제신] 서희
- - 강감찬의 귀주 대첩 : 『고려사』권94, 「열전」7 [제신] 강감찬
- - 윤관의 여진 정벌 : 『고려사』권96, 「열전」9 [제신] 윤관 ║『고려사절요』권7, 예종문효대왕 1 정해 2년 12월
이자겸의 난과 서경 천도 운동
- - 이자겸의 난 : 『고려사』권127, 「열전」40 [반역1] 이자겸
-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고려사』권127, 「열전」40 [반역1] 묘청
- - 서경 반란군 평정을 고하는 글 : 『동문선』권44 「표전」 평서경헌첩표
- - 신채호의 서경 천도 운동 인식 : 『조선사연구초』, 조선 역사상 1천년래 제일 대사건
무신 정권
- - 무신정변 : 『고려사』권19, 「세가」19 의종 24년 8월 ║『고려사』권128, 「열전」41 [반역2] 정중부
- - 김보당과 조위총의 난 : 『고려사』권19, 「세가」19 명종 3년 8월 경진
- - 최충헌의 봉사10조 : 『고려사』권129, 「열전」42 [반역3] 최충헌
- - 정방의 설치 : 『고려사』권75, 「지」29 [선거3] 전주 선법
몽골의 침략과 저항
- - 김윤후의 활약 : 『고려사』권103, 「열전」16 [제신] 김윤후
- - 강화 천도 : 『고려사절요』권16, 고종안효대왕 3 임진 19년 6월
- - 유승단의 강화천도 반대론 : 『고려사』권102, 「열전」15 [제신] 유승단
- - 박서의 귀주성 전투 : 『고려사』권103, 「열전」16 [제신] 박서
- - 노군잡류별초의 활약 : 『고려사』권103, 「열전」16 [제신] 이자성
- - 삼별초의 대몽항쟁 : 『고려사』권130, 「열전」43 [반역4] 배중손
- - 삼별초가 일본에 보낸 국서 : 『한국상대고문서자료집성』(이기백, 일지사, 1987), 「고려첩장불심조조」
원의 간섭
- - 원과 고려의 일본 원정 : 『고려사』권28, 「세가」28 충렬왕 즉위년 7월 병술 ║『고려사』권28, 「세가」28 충렬왕 즉위년 동10월 을사 ║『고려사』권28, 「세가」28 충렬왕 즉위년 11월 을해
- - 고려 왕실의 격하 : 『고려사』권28, 「세가」28 충렬왕 원년 동10월 경술
- - 이제현의 입성 반대 상서 : 『고려사』권110, 「열전」23 [제신] 이제현
- - 원의 공녀 요구 : 『가정집』권8, 서, 대언관청파취동녀서
- - 충선왕의 즉위 교서 : 『고려사』권33, 「세가」33 충선왕 즉위년 정월 무신
반원 자주 개혁
- - 공민왕의 개혁정책과 신돈 : 『고려사』권39, 「세가」39 공민왕 5년 5월 정유 ║『고려사』권132, 「열전」45 [반역6] 신돈
- - 신돈을 논하는 상소 : 『동문선』권52 「주의」 논신돈소
- - 이색의 시무상소 : 『고려사』권115, 「열전」28 [제신] 이색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
- - 홍건적의 침입 : 『태조실록』총서, 공민왕 10년 ║『태조실록』총서, 공민왕 11년
- - 왜구의 침입 : 『양촌집』권11 「기류」 영해부서문루기
- - 진포 및 황산대첩 : 『태조실록』총서, 신우 6년 경신 8월 ║「황산대첩비」
- - 최무선의 화약 무기 제조 : 『태조실록』권7, 4년 4월 19일(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