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농업생산력 발전
- - 고구려의 농업 생산력 : 『삼국사기』권19, 「고구려본기」7 평원왕 25년
- - 백제의 농업 생산력 : 『삼국사기』권23, 「백제본기」1 다루왕 6년 ║『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구수왕 9년 ║『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고이왕 9년
- - 신라의 수전 확대와 농업 생산력의 발전 : 『수서』권81, 「열전」46 동이열전 신라전 ║『삼국유사』권1, 「왕력」1 제십육걸해이질금 ║『삼국사기』권2, 「신라본기」2 흘해이사금 21년 ║『삼국사기』권3, 「신라본기」3 눌지마립간 13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지증마립간 3년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법흥왕 18년
- - 경제적 부의 축적과 소유권 분쟁 : 「영일냉수리신라비」
삼국의 수취제도와 역역
- - 고구려의 수취 제도 : 『수서』권81, 「열전」46 동이열전 고려전
- - 백제의 수취 제도 : 『주서』권49, 「이역열전」41, 백제전
- - 식읍과 녹읍 : 『삼국사기』권8, 「신라본기」4 법흥왕 19년
- - 신라의 역역 : 『삼국사기』권3, 「신라본기」3 자비마립간 11년 ║『삼국사기』권3, 「신라본기」3 소지마립간 8년 ║『수서』권81, 「열전」46 동이열전 신라전
- - 신라 중고기의 역역 동원 체제 : 「경주 남산신성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