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 제도의 정비
- - 양반의 성립 과정-사재소감 박강전 : 『양촌집』권21 「전류」 사재소감박강전
- - 양인과 천인을 구분하는 법규 : 『태종실록』권27, 14년 4월 2일(을사)
- - 보충군을 노비로 되돌리는 것에 반대하는 상소 : 『세종실록』권9, 2년 9월 1일(병인)
- - 중인에 대한 차별-기술관의 동서반 입사를 반대하는 상소 : 『성종실록』권140, 13년 4월 15일(계축)
- - 서얼 금고법에 대한 비판 : 『패관잡기』권2
유교적 지배 질서의 확립
- - 중국 예법과 조선 풍속의 조화 : 『세조실록』권1, 1년 7월 5일(무인)
- - 삼강행실도 서문 : 『동문선』권93 「서」 삼강행실도서
- - 유교적 전례의 정비-국조오례의 서문 : 『사숙재집』권8, 오례의서
- - 가묘의 설치 : 『태종실록』권2, 1년 12월 5일(기미) ║『세종실록』권35, 10년 9월 19일(무진)
- - 족보의 편찬-안동 권씨 성화보 서문 : 『사가문집』권5, 서, 안동권씨가보서
유교적 사회 윤리의 보급
- - 연등 행사 금지 : 『세종실록』권19, 5년 3월 18일(기해) ║『세종실록』권39, 10년 3월 23일(을사) ║『세종실록』권52, 13년 4월 6일(경자)
- - 상장례의 관습에 대한 규제 : 『세종실록』권10, 2년 11월 7일(신미) ║『세종실록』권76, 19년 2월 14일(갑술)
- - 여성의 재혼 금지 : 『성종실록』권82, 8년 7월 17일(임오) ║『성종실록』권82, 8년 7월 18일(계미)
- - 여성에 대한 유교 규범의 강화-어우동 사건 : 『대동야승』권1, 「용재총화」5
- - 지속되는 처가살이 전통 : 『태종실록』권27, 14년 1월 4일(기묘) ║『성종실록』권10, 2년 5월 20일(임진) ║『성종실록』권206, 18년 8월 6일(계유) ║『성종실록』권241, 21년 6월 27일(무신)
- - 조선 전기의 재산 상속 : 「율곡선생남매분재기」
- - 격몽요결 : 『율곡전서』권27, 『격몽요결』 지신장 제3
향약의 보급
- - 퇴계 향약 약문 : 『퇴계선생문집』권42, 서, 향입약조서
- - 해주 향약 : 『율곡전서』권16, 잡저, 해주향약
- - 여씨 향약의 보급 : 『중종실록』권28, 12년 6월 30일(갑술) ║『중종실록』권32, 13년 4월 1일(기사)
사회 정책과 사회 제도
- - 신문고 설치 : 『태종실록』권2, 1년 8월 1일(정사) ║『태종실록』권3, 2년 1월 26일(기유)
- - 굶주린 사람을 구휼하는 법 : 『세종실록』권107, 27년 2월 3일(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