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교육 제도
- - 고구려의 경당 : 『구당서』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고려 ║『신당서』권220, 「열전」145 동이열전 고려전
- - 신라의 화랑도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흥왕 37년
- - 신라의 유학 : 「임신서기석」
삼국의 불교 수용
- - 고구려의 불교 공인 : 『삼국사기』권18, 「고구려본기」6 소수림왕
- - 백제의 불교 공인 : 『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침류왕
- - 신라의 불교 수용 : 『삼국유사』권3, 「흥법」3 아도기라
- - 신라의 불교 공인 : 『삼국유사』권3, 「흥법」3 원종흥법 염촉멸신
- - 이차돈 순교비 : 「이차돈 순교비」
불교사상의 전개
- - 백제의 석가불 신앙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 백제의 미륵신앙과 미륵사 : 『삼국유사』권2, 「기이」2 무왕
- - 원광과 세속오계 : 『삼국유사』권4, 「의해」5 원광서학
- - 황룡사 9층탑의 건립과 신라불국토설 : 『삼국유사』권3, 「탑상」4 황룡사구층탑
- - 미륵신앙의 유행과 신라의 화랑도 : 『삼국유사』권3, 「탑상」4 미륵선화⋅미시랑⋅진자사
- - 혜숙과 정토신앙 : 『삼국유사』권5, 「감통」7 욱면비염불서승 ║『삼국유사』권4, 「의해」5 이혜동진
삼국의 불교 유물
-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 - 건흥5년명 금동불 : 「건흥5년명 금동불」
- - 정지원명 금동불상 :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감 명문 : 「왕흥사지 사리기 명문」
- - 익산 미륵사지 출토 금제탑지문 : 「미륵사지 출토 금제 사리봉안기」
도교 사상의 전파
- - 연개소문의 도교 수용 : 『삼국사기』권21, 「고구려본기」9 보장왕(상) 2년
- -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에 보이는 도교사상 : 「무령왕릉지석」
- - 신라의 도교 수용 : 『삼국사기』권48, 「열전」8 백결선생 ║『삼국사기』권45, 「열전」5 김후직 ║『삼국사기』권44, 「열전」4 김인문
사상의 복합
- - 밀교로 질병 치료하기 : 『삼국유사』권5, 「신주」6 밀본최사
- - 최치원의 「난랑비」 서문과 삼교 융회 : 『삼국사기』권4, 「신라본기」4 진흥왕 37년
- - 선도산 성모 설화와 불교-도교 신앙 : 『삼국유사』권5, 「감통」7 선도성모수희불사
- - 관음신앙과 지모신 신앙의 결합 : 『삼국유사』권3, 「탑상」4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
토착신앙
삼국의 예술과 문화
- - 삼국의 악기와 음악가 : 『삼국사기』권32, 「잡지」1 악
- - 신라의 음악 : 『삼국사기』권32, 「잡지」1 악
- - 삼국의 한시-황조가- : 『삼국사기』권13, 「고구려본기」1 유리명왕 3년
- - 혜성가와 삼국시대 향가의 등장 : 「혜성가」
- - 연오랑 세오녀 이야기 : 『삼국유사』권1, 「기이」2 연오랑 세오녀
- - 쇼토쿠 태자의 스승 혜자 : 『일본서기』권22, 「추고천황」 1년
- - 일본에 문화를 전해 준 담징 : 『일본서기』권22, 「추고천황」 18년
- - 일본에 문화를 전수한 아직기와 왕인 : 『일본서기』권10, 「응신천황」 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