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발달과 유교 진흥
- - 국학의 설립과 독서삼품과 실시 : 『삼국사기』권38, 「잡지」7, 직관 상
- - 신라인의 당나라 유학 : 『삼국사기』권10, 「신라본기」10 원성왕 5년 9월
- - 강수 이야기 : 『삼국사기』권46, 「열전」6 강수
- - 설총의 화왕계 : 『삼국사기』권46, 「열전」6 설총
- - 녹진 이야기 : 『삼국사기』권45, 「열전」5 녹진
교종의 전개
- - 명랑의 신인종 : 『삼국유사』권5, 「신주」6 명랑신인
- - 원효의 행적과 불교사상 : 『삼국유사』권4, 「의해」5 원효불기
- - 의상의 전기와 화엄일승법계도 : 『삼국유사』권4, 「의해」5 의상전교
- - 진표와 점찰계법 : 『삼국유사』권4, 「의해」5 진표전간
- - 불국사와 석불사 축조 : 『삼국유사』권5, 「효선」9 대성효이세부모 신문대
-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인쇄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 화엄경 사경 : 신라 백지묵서 『대방광불화엄경』
불교의 대중화
- - 혜숙과 혜공의 불교 대중화 운동 : 『삼국유사』권4, 「의해」5 이혜동진
- - 정토신앙의 대중화 : 『삼국유사』권5, 「감통」7 욱면비념불서승
- - 신라 하대 철조 불상의 유행 :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좌상 조상기
선종과 풍수지리설의 유행
- - 도의와 신라의 선종 :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 - 신라 말기의 선종의 계승 의식 : 보림사보조선사탑비
- - 사굴산파의 범일 이야기 : 『조당집』권17, 명주굴산고통효대사
- - 서운화상 순지 이야기 : 『조당집』권20, 오관산서운사화상 ║서운사요오화상비
- - 도선과 풍수 사상 : 옥룡사선각국사비
- - 백좌강회 : 불공 한역,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하, 호국품 5
- - 처용설화에 담긴 신앙이야기 : 『삼국유사』권2, 「기이」2 처용랑 망해사
통일 신라의 문학과 예술
- - 계원필경 서문 : 『계원필경집』, 계원필경서
- - 최치원의 격황소서 : 『계원필경집』권11, 격서, 격황소서
- -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삼국유사』권2, 「기이」2 수로부인 ║『삼국유사』권2, 「기이」2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 ║『삼국유사』권2, 「기이」2 처용랑 망해사 ║『삼국유사』권5, 「감통」7 월명사도솔가 ║『삼국유사』권5, 「감통」7 융천사혜성가 진평왕 대
- - 신라의 한시선 : 『동문선』권19, 오언절구 ║『삼국사기』권11, 「신라본기」11 진성왕 2년
- - 솔거와 신라의 회화 : 『삼국사기』권48, 「열전」8 솔거
- - 김생과 신라의 서예 : 『삼국사기』권48, 「열전」8 김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