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발달
- - 유교에 입각한 국가 경영 : 『보한집』 상
- - 유교 사상의 장려 : 『고려사』권3, 「세가」3 성종 9년 9월 병자
- - 최충과 문헌공도 : 『고려사』권74, 「지」28 [선거2] 학교 ║『고려사』권95, 「열전」8 [제신] 최충
- - 관학의 진흥-칠재와 양현고 설치 : 『고려사』권74, 「지」28 [선거2] 학교
- - 유교 정치 사상의 발전-천인 합일 사상 : 『고려사』권98, 「열전」11 [제신] 임완
불교 사상과 신앙
- - 태조의 개태사 화엄법회소 : 『신증동국여지승람』卷18 「충청도」 연산현 불우 개태사
- - 연등회와 팔관회 : 『고려사』권69 「지」23 [예11] 상원연등회의 ║『고려사』권69 「지」23 [예11] 중동팔관회의
- - 팔관회 행사-도이장가 : 『평산신씨 고려대사장절공유사』, 「도이장가」
- - 대각국사 의천의 해동 천태종 창시 : 『대각국사문집』 외집 권12, 비명 영통사비
- - 거사불교의 유행 : 『고려사』권96, 「열전」9 [제신] 윤관 부 윤언이 ║『한국금석전문』중세상편, 윤언민묘지명
- - 예천 개심사지 5층 석탑 명문 : 「예천 개심사5층석탑 명문」
- - 대장각을 각판하면서 기도하며 올리는 글 : 『동국이상국집』전집 권25, 「잡저」 대장각판군신기고문
- - 균여의 전법 : 『균여전』, 입의정종분자
- - 정혜 닦음을 권하며 결사하는 글 : 『한국불교전서』 4(동국대학교 출판간행위원회 편), 권수정혜결사문
- - 요세의 백련결사와 천태사상 : 『동문선』권117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명 병서
- - 유교와 불교는 같은 뿌리다 : 『조계진각국사어록』, 서장, 답최참정홍윤
도교와 풍수지리설
- - 선풍을 따르고 숭상하라는 의종의 교서 : 『고려사』권18, 「세가」18 의종 22년 3월 무자
- - 고려 후기의 국선 : 『고려사』권108, 「열전」21 [제신] 민종유 부 민적
- - 고려 도교의 내력 : 『선화봉사고려도경』권18, 도교
- - 김위제의 풍수지리설과 남경 : 『고려사』권122, 「열전」35 [방기] 김위제
- - 임완의 풍수지리설 비판 : 『고려사』권98, 「열전」11 [제신] 임완
- - 도교 사원의 모습-복원관 : 『선화봉사고려도경』권17, 사우
- - 신륵사 대장각 건립기 : 『동문선』권76 「기」 여흥군 신륵사 대장각기
성리학의 전래와 불교 비판
- - 원나라 학자들과의 학문 교류 : 『고려사』권34, 「세가」34 충선왕 5년 3월
- - 안향의 성리학 수용 : 『고려사』권105, 「열전」18 [제신] 안향
- - 성균관 중영과 성리학 연구 : 『고려사』권115, 「열전」28 [제신] 이색
- - 성리학의 확산 발전-정몽주 : 『고려사』권117, 「열전」30 [제신] 정몽주
- - 정도전의 불씨잡변 : 『삼봉집』권9, 『불씨잡변』
- - 박초의 척불론 : 『고려사』권120, 「열전」33 [제신] 김자수
역사서의 편찬과 역사관
- - 삼국사기를 올리는 글 : 『동문선』권44 「표전」 진삼국사기표
- - 이규보의 동명왕편 서문 : 『동국이상국집』전집 권3, 「고율시」 동명왕편
- - 일연의 삼국유사 집필 동기 : 『삼국유사』권1, 「기이」1 서
- - 성리학적 유교 사관의 대두 : 『제왕운기』 하, 동국군왕개국연대 ║『제왕운기』 하, 본조군왕세계연대
귀족 문화의 발달
- - 예종 대의 시 모임-죽림고회 : 『파한집』 상
- - 한문학의 성장-정지상의 시구 : 『익재집』, 『역옹패설』 후집2
- - 새로운 문학 경향-최자의 삼도부 : 『동문선』권2 「부」 삼도부
- - 장가 속요의 유행-가시리 청산별곡, 한림별곡, 쌍화점 : 「가시리」 ║「청산별곡」 ║「쌍화점」 ║「한림별곡」
- - 중국인 눈에 비친 고려청자 : 『선화봉사고려도경』권32, 기명3
- - 고려의 화가 이령 : 『고려사』권122, 「열전」35 [방기] 이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