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현전
부제학 최만리(崔萬理) 등이 상소
하기를, “신 등이 엎드려 살펴보건대, 언문(諺文)
을 제작하신 것이 지극히 신묘하시어 만물을 창조하시고 지혜를 운전하심이 천고에 뛰어나지만, 신 등의 구구한 좁은 소견으로는 오히려 의심되는 것이 있어서 감히 간곡한 정성을 펴서 삼가 뒤에 열거하오니 엎드려 성상이 재단하시기를 바랍니다.
'집현전' 관련자료
'상소' 관련자료
'언문(諺文)' 관련자료
1. 우리 조선은 조종 때부터 내려오면서 지극한 정성으로 대국(大國)을 섬기어 한결같이 중화(中華)의 제도를 따랐는데, 이제 글을 같이하고 법도를 같이하는 때를 만나서 언문
을 창작하신 것은 보고 듣기에 놀라움이 있습니다. 설혹 말하기를, ‘언문
은 모두 옛 글자를 본뜬 것이고 새로운 글자가 아니다’라고 하지만, 글자의 형상은 비록 옛날의 전문(篆文)을 모방하였을지라도 음을 쓰고 글자를 합하는 것은 모두 옛것에 반대되니 실로 의거할 데가 없사옵니다. 만일 중국에라도 흘러 들어가서 혹시라도 비난하여 말하는 자가 있으면, 어찌 대국을 섬기고 중화를 사모하는 데에 부끄러움이 없겠습니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1. 예로부터 구주(九州)의 안에 풍토는 비록 다르지만 지방의 말에 따라 따로 문자를 만든 경우가 없고, 오직 몽고(蒙古)⋅서하(西夏)⋅여진(女眞)
⋅일본(日本)과 서번(西蕃)의 종류가 각기 그 글자가 있지만, 이는 모두 이적(夷狄)의 일이므로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옛글에 말하기를, ‘중화의 가르침을 써서 이적(夷狄)을 변화시킨다. 이적에게 변화당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노라’라 하였고, 역대 중국 조정에서 모두 우리나라는 기자(箕子)의 남긴 풍속이 있다고 하여 문물과 예악을 중화에 견주어 말하기도 하는데, 이제 따로 언문
을 만들어 중국을 버리고 스스로 이적과 같아지려는 것은 이른바 소합향(蘇合香)
'여진(女眞)'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조롱나무 과에서 추출하는 침출액으로 매우 귀한 약재
을 버리고 당랑환(螗螂丸)
말똥구리가 만든 말똥이나 소똥으로 만든 흔한 약재
을 취함이오니, 어찌 문명의 큰 흠절이 아니겠습니까. 1. 신라 설총(薛聰)의 이두(吏讀)는 비록 비루한 이언(俚言)
민간에서 쓰는 말
이지만, 모두 중국에서 통행하는 글자를 빌려서 어조(語助)에 사용하였기에, 문자가 원래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므로, 비록 서리(胥吏)나 복예(僕隷)의 무리에 이르기까지라도 반드시 익히려 하면, 먼저 몇 가지 글을 읽어서 대강 문자를 알게 된 연후라야 이두를 쓸 수 있게 되니, 이두를 쓰는 자는 모름지기 문자에 의거하여야 능히 의사를 통하게 되는 까닭에, 이두로 인하여 문자를 알게 되는 자가 자못 많사오니, 또한 학문을 흥기하는 데에 한 도움이 되었습니다. 만약 우리나라가 원래부터 문자를 알지 못하여 결승(結繩)
을 빌려서 한때의 사용에 이바지하는 것은 그래도 괜찮지만 바른 의논을 고집하는 자는 반드시 말하기를, ‘언문
을 시행하여 임시방편을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더디고 느릴지라도 중국에서 통용하는 문자를 습득하여 길고 오랜 계책을 삼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할 것입니다. 하물며 이두는 시행한 지 수천 년이나 되어 장부를 적거나 모임의 일을 기록하는 등의 일에 방해됨이 없는데, 어찌 예로부터 시행하던 폐단 없는 글을 고쳐서 따로 비루하고 상스러운 무익한 글자를 창조하십니까. 만약에 언문
을 시행하오면 관리된 자가 오로지 언문
만을 습득하고 학문하는 문자를 돌보지 않아서 이원(吏員)이 둘로 나누어질 것이옵니다. 만일 관리 된 자가 언문
을 배워 입신한다면, 후진(後進)이 모두 이러한 것을 보고 생각하기를, 27자의 언문
으로도 족히 세상에 입신(立身)할 수 있다고 할 것이오니, 무엇 때문에 노심초사하며 성리(性理)의 학문을 궁리하려 하겠습니까.
문자를 알지못하는 시대에 노끈을 이용하여 표기하던 방식
하는 세대라면 우선 언문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이렇게 되면 수십 년 후에는 문자를 아는 자가 반드시 적어질 것입니다. 비록 언문
으로써 능히 이사(吏事)를 집행한다 할지라도, 성현의 문자를 알지 못하면 배우지 않아서 담을 대하는 것처럼 사리의 옳고 그름에 어두울 것이니, 언문
에만 능숙한들 장차 어디에 쓰겠습니까. 우리나라에서 오래 쌓아 내려온 우문(右文) 의 교화가 점차로 땅을 쓸어 버린 듯이 없어질까 두렵습니다. 전에는 이두가 비록 문자 밖의 것이 아닐지라도 유식한 사람은 오히려 비루하게 여겨 이문(吏文)으로써 바꾸려고 생각하였는데, 하물며 언문
은 문자와 조금도 관련됨이 없고 오로지 시골의 상말을 쓴 것이 아닙니까. 가령 언문
이 전조(前朝, 고려) 때부터 있었다 해도 오늘의 문명한 정치에 변로지도(變魯至道)1)
하려는 뜻으로서 오히려 그대로 물려받을 수 있겠습니까. 반드시 고쳐 새롭게 하자고 의논하는 자가 있을 것이니 이는 환하게 알 수 있는 이치입니다. 옛것을 싫어하고 새것을 좋아하는 것은 고금에 통하는 걱정거리인데, 이번의 언문
은 새롭고 기이한 한 가지 기예(技藝)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학문에 방해됨이 있고 정치에 유익함이 없으므로, 아무리 되풀이하여 생각해도 그 옳은 것을 볼 수 없습니다.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1)
변로지도(變魯至道) : 중국 춘추시대 선왕(先王)의 유풍만 있고, 그것이 행하여지지 않던 노(魯)나라를 변화시켜 도(道)에 이르게 한다는 것에서 유래된 말.
'언문' 관련자료
1. 만일에 말하기를, ‘형살(刑殺)에 대한 옥사(獄辭) 같은 것을 이두 문자로 쓴다면, 문리(文理)를 알지 못하는 어리석은 백성이 한 글자의 착오로 혹 원통함을 당할 수도 있겠으나, 이제 언문
으로 그 말을 직접 써서 읽어 듣게 하면, 비록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모두 다 쉽게 알아들어서 억울함을 품을 자가 없을 것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중국은 말과 글이 같아도 옥송(獄訟) 사이에 원왕(冤枉)
을 쓴다 할지라도 지금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이것은 형옥(刑獄)의 공평하고 공평하지 못함이 옥리(獄吏)가 어떠하냐에 있고, 말과 문자의 같고 같지 않음에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니, 언문
으로써 옥사를 공평하게 한다는 것은 신 등은 그 옳은 줄을 알 수 없습니다.
'언문' 관련자료
억울함, 억울한 누명을 씀
한 것이 심히 많습니다. 가령 우리나라로 말하더라도 옥에 갇혀 있는 죄수로서 이두를 해득하는 자가 친히 초사(招辭)를 읽고서 허위인 줄을 알면서도 매를 견디지 못하여 그릇 항복하는 자가 많사오니, 이는 초사의 글 뜻을 알지 못하여 원통함을 당하는 것이 아님이 명백합니다. 만일 그렇다면 비록 언문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1. 무릇 사공(事功)을 세움에는 가깝고 빠른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데, 국가가 근래에 조치하는 것이 모두 빨리 이루는 것에 힘쓰니, 정치하는 체제가 아닐까 두렵습니다. 만일에 언문
은 할 수 없어서 만드는 것이라 한다면, 이것은 풍속을 변하여 바꾸는 큰일이므로, 마땅히 재상으로부터 아래로는 백료(百僚)에 이르기까지 함께 의논하되, 나라 사람이 모두 옳다 하여도 오히려 심사숙고하여 다시 세 번을 더 생각하고, 제왕(帝王)에 질정하여도 어그러지지 않고 중국에 상고하여도 부끄러움이 없으며, 백세(百世)라도 성인(聖人)을 기다려 의혹됨이 없는 연후라야 이에 시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 넓게 여러 사람의 의논을 채택하지도 않고 갑자기 이배(吏輩) 10여 명으로 하여금 가르쳐 익히게 하며, 또 가볍게 옛사람이 이미 이룩한 운서(韻書)를 고치고 근거 없는 언문
을 부회(附會)하여 공장(工匠)
수십 명을 모아 각본(刻本)하여서 급하게 널리 반포하려 하시니, 천하 후세의 공의(公議)
에 어떠하겠습니까. 또한 이번 청주 초수리(椒水里)에 거동하시는 데도 특히 연사가 흉년인 것을 염려하시어 호종하는 모든 일을 힘써 간략하게 하셨으므로, 전일에 비교하오면 10에 8, 9는 줄어들었고, 계달하는 공무(公務)에 이르러도 또한 의정부
에 맡기시어, 언문
같은 것은 국가의 급하고 부득이하게 기한에 미쳐야 할 일도 아닌데, 어찌 이것만은 행재(行在)에서 급급하게 하시어 성궁(聖躬)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공장(工匠)' 관련자료
'공의(公議)' 관련자료
'의정부'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임금의 몸을 높여 부르는 말
을 조섭하시는 때에 번거롭게 하십니까. 신 등은 더욱 그 옳음을 알지 못하겠습니다. 1. 선유(先儒)가 이르기를, ‘여러 가지 완호(玩好)는 대개 지기(志氣)를 빼앗는다’ 하였고, ‘서찰(書札)에 이르러서는 선비의 하는 일에 가장 가까운 것이나, 외곬으로 그것만 좋아하면 또한 자연히 지기가 상실된다’ 하였습니다. 이제 동궁(東宮)이 비록 덕성이 성취되셨다 할지라도 아직은 성학(聖學)에 잠심(潛心)하시어 더욱 그 이르지 못한 것을 궁구해야 할 것입니다. 언문
이 비록 유익하다 이를지라도 특히 문사(文士)의 육예(六藝)의 한 가지일 뿐이옵니다. 하물며 만에 하나도 정치하는 도리에 유익함이 없는데, 정신을 연마하고 사려를 허비하며 날을 마치고 때를 옮기시니, 실로 시민(時敏)의 학업에 손실되옵니다. 신 등이 모두 문묵(文墨)의 보잘것없는 재주로 시종(侍從)에 대죄(待罪) 하고 있으므로, 마음에 품은 바가 있으면 감히 침묵할 수 없어서 삼가 폐부(肺腑)를 다해 우러러 성총을 번거롭게 합니다” 하였다.
'언문' 관련자료
임금이 소(疏)를 보고 최만리 등에게 이르기를, “너희들이 이르기를 ‘음(音)을 사용하고 글자를 합한 것이 모두 옛 글에 위반된다’ 하였는데, 설총(薛聰)의 이두(吏讀)도 역시 음이 다르지 않으냐. 또 이두를 제작한 본뜻이 백성을 편리하게 하려 함이 아니겠느냐. 만일 그것이 백성을 편리하게 한 것이라면 이제의 언문
은 백성을 편리하게 하려 하는 것이 아니냐? 너희들이 설총은 옳다 하면서 군상(君上)의 하는 일은 그르다 하는 것은 어째서이냐. 또 네가 운서(韻書)를 아느냐. 사성칠음(四聲七音)에 자모(字母)가 몇이나 있느냐. 만일 내가 그 운서를 바로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잡을 것이냐. 또 소(疏)에 이르기를, ‘새롭고 기이한 하나의 기예(技藝)라’ 하였으니, 내 늘그막에 날[日]을 보내기 어려워서 서적으로 벗을 삼을 뿐인데, 어찌 옛것을 싫어하고 새것을 좋아하여 하는 것이겠느냐. 또는 전렵(田獵)으로 매사냥을 하는 예도 아닌데 너희들의 말은 너무 지나침이 있다. 그리고 내가 나이 늙어서 국가의 서무(庶務)를 세자에게 오로지 맡겼으니, 비록 조그마한 일일지라도 참여하여 결정함이 마땅하거든, 하물며 언문
이겠느냐. 만약 세자로 하여금 항상 동궁(東宮)에만 있게 한다면 환관(宦官)에게 일을 맡길 것이냐. 너희들이 시종(侍從)하는 신하로서 내 뜻을 밝게 알면서도 이러한 말을 하는 것이 옳단 말인가?” 하였다.
'언문'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최만리 등이 대답하기를, “설총의 이두는 비록 음이 다르다 하나, 음에 따르고 해석에 따라 어조(語助)와 문자가 원래 서로 떨어지지 않는데, 이제 언문
은 여러 글자를 합하여 함께 써서 그 음과 해석이 변하고 글자의 형상이 아닙니다. 또 새롭고 기이한 한 가지의 기예(技藝)라 한 것은 다만 문세(文勢)에 따라 말 한 것일 뿐 다른 뜻이 있어서 한 말은 아닙니다. 동궁은 공사(公事)라면 비록 세미한 일일지라도 참여하여 결정하지 않을 수 없지만, 급하지 않은 일을 무엇 때문에 시간을 허비하며 심려하십니까” 하였다.
'언문' 관련자료
임금이 말하기를, “전번에 김문(金汶)이 아뢰기를, ‘언문
을 제작함에 불가할 것은 없습니다’ 하였는데, 지금은 도리어 불가하다 하고, 또 정창손(鄭昌孫)은 말하기를,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반포한 후에 충신⋅효자⋅열녀
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자질(資質) 여하(如何)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언문
으로 번역한 후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 하였으니, 이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이치를 아는 말이겠느냐.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용속(庸俗)한 선비이다” 하였다.
'언문' 관련자료
'열녀' 관련자료
'언문' 관련자료
먼젓번에 임금이 정창손에게 하교하기를, “내가 만일 언문
으로 삼강행실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효자⋅열녀
가 반드시 무리로 나올 것이다” 하였는데, 정창손이 이 말로 계달(啓達)
'언문' 관련자료
'열녀' 관련자료
임금에게 의견을 아룀
하였기 때문에 이제 이러한 하교가 있은 것이었다. 임금이 또 하교하기를, “내가 너희들을 부른 것은 처음부터 죄 주려 한 것이 아니고, 다만 소(疏) 안에 한두 가지 말을 물으려 하였던 것인데, 너희들이 사리를 돌아보지 않고 말을 바꿔 대답하니, 너희들의 죄는 벗기 어렵다” 하고, 드디어 부제학 최만리(崔萬理), 직제학 신석조(辛碩祖), 직전(直殿) 김문(金汶), 응교(應敎) 정창손(鄭昌孫), 부교리(副校理) 하위지(河緯之), 부수찬(副修撰) 송처검(宋處儉), 저작랑(著作郞) 조근(趙瑾)을 의금부에 하옥시켰다가 이튿날 석방하라 명하였는데, 오직 정창손만은 파직시켰다.
그로 인하여 의금부에 전지하기를, “김문이 앞뒤에 말을 변하여 계달한 사유를 국문하여 아뢰라” 하였다.
『세종
'세종'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