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입국 조서
짐(朕)이 생각해 보면 우리 조종(祖宗)이 나라를 세우고 정통(正統)을 물려준 것이 이제 504년이 지났으니, 실로 우리 선왕들의 교화와 은덕이 사람들 마음속에 깊이 스며들고 또 우리 신하와 백성들이 충성과 사랑을 능히 다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짐은 한없는 큰 대운(大運)를 물려받고 밤낮으로 공경하고 두려워하면서 오직 조종의 가르침을 이어 나갈 뿐이다. 너희들 신하와 백성은 짐의 마음을 깨달아라. 오직 너희들 신하와 백성의 선조는 우리 조종이 돌보고 키워 준 어진 신하와 백성이었으니, 너희들 신하와 백성들도 너희 선조의 충성과 사랑을 능히 이어서 짐의 돌봄과 키움을 받는 어진 신하와 백성들이다. 짐은 너희들 신하와 백성들과 함께 조종의 큰 기반을 지켜 억만 년의 아름다운 운수를 이어 나갈 것이다.
백성을 가르치지 않으면 나라를 굳건히 하기가 매우 어렵다. 세상 형편을 돌아보면 부유하고 강성하여 독립하여 웅시(雄視)하는 여러 나라는 모두 그 나라 백성의 지식이 개명(開明)했다. 지식이 개명함은 교육이 잘됨으로써 말미암은 것이니, 교육은 실로 나라를 보존하는 근본이다. 그러므로 짐이 임금과 스승의 자리에 있으면서 교육하는 책임을 스스로 떠맡고 있다. 교육에는 또한 그 방도가 있으니, 허명(虛名)과 실용(實用)의 분별을 먼저 세워야 할 것이다. 책을 읽고 글자를 익히어 고인(古人)의 찌꺼기만 주워 모으고 시대의 큰 형국에 어두운 자는 문장이 고금보다 뛰어나더라도 쓸모가 전혀 없는 서생(書生)이다.
이제 짐은 교육하는 강령을 제시하여 허명을 제거하고 실용을 높인다. 덕양(德養)은 오륜(五倫)의 행실을 닦아 풍속의 기강을 문란하게 하지 말며, 풍속과 교화를 세워 인간 세상의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의 행복을 증진시킬 것이다. 체양(體養)은 동작에는 일정함이 있어서 부지런함을 위주로 하고 안일을 탐내지 말며 고난을 피하지 말아 너의 근육을 튼튼히 하며 너의 뼈를 건장하게 하여 병이 없이 건장한 기쁨을 누릴 것이다. 지양(智養)은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데서 지식을 지극히 하고 도리를 궁리하는 데서 본성을 다하여 좋아하고 싫어하며 옳고 그르며 길고 짧은 데 대하여 나와 너의 구별을 두지 말고 상세히 연구하고 널리 통달하여 한 개인의 사욕을 꾀하지 말며 대중의 이익을 도모하라. 이 세 가지가 교육하는 강령이다.
짐이 정부(政府)에 명하여 학교를 널리 세우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너희들 신하와 백성의 학식으로 나라를 중흥(中興)시키는 큰 공로를 이룩하기 위해서이다. 너희들 신하와 백성은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심정으로 너의 덕성, 너의 체력, 너의 지혜를 기르라. 왕실의 안전도 너희들 신하와 백성의 교육에 달려 있고 나라의 부강도 너희들 신하와 백성의 교육에 달려 있다. 너희들 신하와 백성에 대한 교육이 훌륭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면 짐이 어찌 나의 정사가 성공했다고 하며 짐의 한국 정부가 어찌 감히 그 책임을 다하였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너희들 신하와 백성들도 교육하는 방도에 마음을 다하고 힘을 협조하여 아버지는 이것으로 그 아들을 이끌어 주고, 형은 이것으로 그 동생을 권하며, 벗은 이것으로 도와주는 도리를 실행하여 그치지 않고 분발해야 할 것이다. 나라의 한에 대적할 사람은 오직 너희들 신하와 백성이요, 나라의 모욕을 막을 사람도 너희들 신하와 백성이며, 나라의 정치 제도를 닦아 나갈 사람도 너희들 신하와 백성이다. 이것은 다 너희들 신하와 백성의 당연한 직분이지만 학식의 등급에 따라 그 효과의 크기가 결정된다. 이러한 일을 하는 데서 조그마한 결함이라도 있으면 너희들 신하와 백성도 오직 우리의 교육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상하가 마음 합치기에 힘쓰라. 너희들 신하와 백성의 마음은 또한 짐의 마음인 만큼 힘써야 할 것이다. 이러해야 짐은 조종의 덕을 드러내어 천하에 빛내고 너희들 신하와 백성도 너희 조상의 효성스러운 자손이 될 것이니, 힘써야 할 것이다. 너희들 신하와 백성이여, 짐의 이 말대로 하라.
『관보』, 1895년 2월 2일
朕惟我祖宗이 業을 創사 統을 垂시미 玆에 五百四年을 歷有시니 實我列朝의 敎化와 德澤이 人心에 浹洽시미며 亦我臣民이 厥忠愛 克殫호믈 由호미라. 이러므로 朕이 無疆 大歷服을 嗣야 夙夜에 祇懼야오작 祖宗의 遺訓을 是承노니 爾臣民은 朕衷을 體지어다. 오작 爾臣民의 祖先이 我祖宗의 保育신 良臣民이니 爾臣民도 亦爾祖先의 忠愛 克紹야 朕의 保育 良臣民이라. 朕이 爾臣民으로 더브러 祖宗의 丕基 守야 萬億年의 休命을 迓續노니
嗚呼라 民을 敎치 아니면 國家를 鞏固케기 甚難니 宇內의 形勢 環顧건 克富며 克强야 獨立雄視 諸國은 皆其人民의 知識이 開明고 知識의 開明홈은 敎育의 善美므로 以홈인 則敎育이 實로 國家保存 根本이라. 是以로 朕이 君師의 位에 在야 敎育 責을 自擔노니 敎育도 其道가 有지라. 虛名과 實用의 分別을 先立미 可니 書 讀고 字 習야 古人의 糟粕만 掇拾고 時勢의 大局에 矇昧 者 文章이 古今을 凌駕야도 一無用 書生이라.
今에 朕이 敎育 綱領을 示야 虛名을 是祛고 實用을 是崇노니 曰德養은 五倫의 行實을 修야 俗綱을 紊亂치 勿며 風敎 扶植야 人世의 秩序 維持고 社會의 幸福을 增進라. 曰體養은 動作에 常이 有야 勤勵므로 主고 惰逸 貪치 勿며 苦難을 避치 勿야 爾筋을 固케 며 爾骨을 健케 야 康壯無病 樂을 享受라. 曰智養은 物을 格호 知 致고 理 窮 性을 盡야 好惡, 是非, 長短에 自他의 區域을 不立고 詳究博通야 一己의 私 經營치 勿며 公衆의 利益을 跂圖라. 曰此三者 敎育 綱紀니
朕이 政府 命야 學校 廣設고 人材 養成호믄 爾臣民의 學識으로 國家의 中興大功을 贊成기 爲미라. 爾臣民은 忠君, 愛國 心性으로 爾德⋅爾體⋅爾智 養라. 王室의 安全홈도 爾臣民의 敎育에 在고 國家의 富强홈도 爾臣民의 敎育에 在니 爾臣民의 敎育이 善美 境에 抵치 못면 朕이 엇지 ‘朕의 治가 成다’며 朕의 政府가 엇지 敢히 其責을 盡다리오. 爾臣民도 敎育 道에 心을 盡며 力을 協야 父가 是로 其子에게 提誘고 兄이 是로 其弟에게 勸勉며 朋友가 是로 輔翼 道 行야 奮發不已지어다. 國家의 愾 敵 이 惟爾臣民이며 國家의 侮 禦 이 惟爾臣民이며 國家의 政治制度 修述 이 亦惟爾臣民이니 此皆爾臣民의 當然 職分이어니와 學識의 等級으로 其功效의 高下 奏니 此等事爲上에 些少 欠端이라도 有거든 爾臣民도 亦惟曰호‘爾等의 敎育이 不明 然故라’야 上下同心기 務라. 爾臣民의 心은 朕의 心이니 勖지어다. 若玆진 朕이 祖宗의 德을 揚야 四表에 光홀지며 爾臣民도 亦惟爾祖先의 肖子孝孫이 되리니 勖지어다. 爾臣民이여 惟朕此言.
『官報』, 1895年 2月 2日
이 사료는 갑오개혁기 여러 개혁 조치 중에서 고종(高宗, 재위 1863~1907)이 조선의 인민을 위해 새로운 교육 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1895년(고종 32년) 2월 2일 발표한 「교육 입국 조서(敎育立國詔書)」이다.
조선 정부는 1894년(고종 31년) 7월 이후 갑오개혁이 시작되면서 교육을 전담했던 예조를 포함한 육조를 폐지하고 대신 8아문을 설치했으며, 교육은 학무아문이 전담도록 하였다. 직제는 학무대신 밑에 협판을 두고, 그 아래에 총무국⋅성균관상교서원사무국(成均館庠校書院事務局)⋅전문학무국(專門學務局)⋅보통학무국(普通學務局)⋅편집국⋅회계국(會計局)의 6국을 두었다.
학무아문(학부) 제도가 시행된 직후 군국기무처가 주도하는 조선 정부는, 학무아문 명의로 조선의 영재 교육이 시급하기 때문에 서울에 소학교와 사범 학교를 세울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고, 이어 본 사료인 「교육 입국 조서」라고 알려진 문건을 고시하였다. 본 조칙은 신식 교육에 관한 조선 정부의 본격적인 입장 표명인데, 이는 1895년 1월에 발표한 「홍범 14」의 제11조에서 외국 유학과 새로운 학문 도입에 관해 언급한 것보다 훨씬 더 자세하고 본격적이다.
「교육 입국 조서」는 교육이 국가 보존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며, 그 모델로 “부유하고 강성하여 독립하여 웅시(雄視)하는 여러 나라”를 언급하고 있다. 이는 사실상 청국에 종속되어 있는 조선의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한편, 중국에서 전래된 유학의 허명(虛名)을 지양하고 실용(實用)을 추구할 것을 주장한 것이다. 그 내용에서 단 한 줄도 ‘외국 학문’을 지칭하진 않지만 당시 〈관보〉를 통해 이 조칙을 확인한 사람들은 외국에서 수입된 신학문을 중심으로 교육 방향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겠다는 선언으로 이해했을 것이다.
이후 조선 정부는 1895년 3월 법관 양성소, 4월 관립 한성 사범 학교, 외국어 학교, 각 동별 소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한편 성균관은 3년제 경학과(經學科)가 설치되어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교육하되 역사학⋅지리학⋅수학 등의 근대적 학문을 함께 교육시키는 형태로 개혁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사료는 1895년부터 급속히 추진된 조선 정부의 근대 교육 개혁의 방향성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