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총설
  • 고대
  • 고려
    시대
  • 조선
    시대
  • 근대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