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8권 삼국의 문화Ⅳ. 문학과 예술6. 건축1) 사원건축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1. 고구려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2. 백제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3. 신라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4.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관계
          • 1)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갈등
          • 2)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융화
          • 3) 토착신앙과 불교의 교대
      • Ⅱ. 불교와 도교
        • 1. 불교
          • 1) 고구려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교학의 발전
            • (3) 불교신앙
            • (4)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승려들
            • (5) 백제·신라에서 활약한 승려들
          • 2) 백제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교학의 발전과 불교신앙
            • (3) 백제불교의 일본 전파
          • 3) 신라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불교공인의 실상
            • (3) 진흥왕대의 불교
            • (4) 미륵신앙의 양상
            • (5) 신라 불국토설의 내용과 대두 시기
            • (6) 중고시대의 고승
            • (7) 불교의 대중화
          • 4) 가야의 불교
        • 2. 도교
          • 1) 도교의 전래와 수용기반
          • 2) 도교사상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Ⅲ. 유학과 역사학
        • 1. 역사개념의 출현
        • 2. 유학과 역사학의 관련
        • 3. 삼국의 유학
        • 4. 삼국의 역사편찬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Ⅳ. 문학과 예술
        • 1. 언어와 문학
          • 1) 언어
            • (1) 고구려어·백제어·신라어
            • (2) 삼국 언어의 상호관계
          • 2) 시가
            • (1) 한국시의 생성과 노래의 집단성
            • (2) 창작적 노래의 출현과 민족의 발견
            • (3) 삼국의 시가와 한국시의 전통
        • 2. 회화
          • 1) 고구려의 회화
          • 2) 백제의 회화
          • 3) 신라와 가야의 회화
        • 3. 서예
          • 1) 고구려의 서예
          • 2) 백제의 서예
          • 3) 신라의 서예
        • 4. 조각
          • 1) 청동기시대의 조각
          • 2) 삼국시대의 조각
            • (1) 일반 조각
            • (2) 불교조각
        • 5. 공예
          • 1) 금속공예
            • (1) 금속공예의 종류
            • (2) 금속공예의 기법과 공예품
            • (3) 금속제 그릇들
            • (4) 삼국시대의 동경
          • 2) 유리공예
          • 3) 도자공예
            • (1) 고구려의 토기와 도기
            • (2) 백제의 토기
            • (3) 신라의 토기
          • 4) 목칠공예
        • 6. 건축
          • 1) 사원건축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2) 궁실·연못
            • (1) 궁실
            • (2) 연못
          • 3) 성곽
            • (1) 고구려 성곽
            • (2) 백제 성곽
            • (3) 신라 성곽
            • (4) 가야 성곽
            • (5) 삼국 및 가야 성곽의 성격
        • 7. 고분
          • 1) 고구려 고분
            • (1) 적석총
            • (2) 봉토석실분
          • 2) 백제 고분
            • (1) 토광묘
            • (2) 토축묘
            • (3) 주구토광묘
            • (4) 적석총
            • (5) 석곽묘
            • (6) 옹관묘
            • (7) 화장묘
            • (8) 석실분
            • (9) 전축분
          • 3) 신라 고분
            • (1) 토광묘
            • (2) 석곽묘
            • (3) 적석목곽분
            • (4) 횡혈식 석실분
          • 4) 가야고분
            • (1) 토광묘
            • (2) 석곽묘
            • (3) 석실분
          • 5) 원방형분
        • 8. 음악
          • 1) 향악의 기원과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1) 한민족의 기원문제와 향악
            • (2)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2) 삼국시대의 음악문화
            • (1) 고구려
            • (2) 백제
            • (3) 가야와 신라
          • 3) 삼국시대의 해외음악활동
            • (1) 중국에서의 고려악
            • (2) 일본조정에서의 삼국악
        • 9.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 무예
            • (2) 놀이
      • Ⅴ. 과학기술
        • 1. 한국 과학기술의 형성
        • 2. 고구려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1) 천문도를 만들다
            • (2) 천문관측제도와 활동
            • (3) 기상 관측
          • 2) 산업기술 및 생활과학
            • (1) 고구려척과 축조기술
            • (2) 금속기술
            • (3) 연단술
            • (4) 도구와 기계장치
          • 3) 의약학
          • 4) 지도의 제작
        • 3. 백제의 과학과 기술
          • 1) 천문학과 역산학
          • 2) 지리학과 의약학
          • 3) 산업기술
            • (1) 농업기술의 혁신
            • (2) 토목기술
            • (3) 금속기술
            • (4) 요업기술
        • 4. 신라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를 세우다
            • (2) 천문기상 관측
          • 2) 의약학
          • 3) 산업기술
            • (1) 농업기술
            • (2) 금속기술
            • (3) 요업기술
            • (4) 그 밖의 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의생활의 기본구조
            • (1) 관모와 머리모양
            • (2) 저고리(유)
            • (3) 바지(고)
            • (4) 치마(상)
            • (5) 두루마기(포)
            • (6) 대
            • (7) 신(이·화)
          • 2) 고구려의 의생활
            • (1) 관모
            • (2) 의복
          • 3) 백제의 의생활
            • (1) 왕복
            • (2) 관인 복식
          • 4) 신라의 의생활
          • 5) 가야의 의생활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1. 선사시대 문물의 일본 전파
        • 2. 학문과 사상
        • 3. 역학·의약·기술
        • 4. 예술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신라

 목조건축:신라에서의 발달된 새로운 건물은 늦어도 5세기 초 고구려를 통해서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天馬塚 발굴과 皇龍寺址 발굴에서 眞平王 6년(584) 금당을 중건하여 善德王 12년(643) 목탑을 건립할 즈음 일단락 된 것으로 보이는 중건가람의 건물 유구들에서 짐작하게 되었다. 천마총의 목곽 짜임새와 副葬品 收藏櫃의 가공기법에 새로운 건축기법이 보였고, 황룡사 중건가람의 배치형식이 고구려 가람의 변형형식이며, 세금당의 기단형식이 고구려 청암리사지의 탑과 세 금당의 기단과 같았고, 동금당 초석 밑의 기단 보강을 위한 여러 층으로 된 円形積心이나 강당 밑과 그 좌우에 전개된 연속 口자형 敷石 등도 고구려 유적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짐작할 수 있었다.417) 따라서 목조건물의 모습도 지금 그것을 확실하게 입증할 구체적인 자료는 없으나 고구려의 목조건물을 바탕으로 시작하였을 것이고, 점차 신라적으로 변형·정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백제와의 친교를 통해 백제 건물의 영향도 9층목탑 건립 경위 등으로 보아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닌 듯 하다.

 신라 목조건물의 기단 형식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던 것은 황룡사지에서 조사된 이 시기의 건물 유구들 뿐이었다. 기단 구축방법이 굴광판축으로 된 것은 세 금당기단이었으며, 탑기단은 굴광하여 그 속에 직경 20㎝ 내외의 냇돌을 한 겹 깔고 그 위에 진흙을 덮어서 다지고 다시 냇돌을 까는 일을 여러 번 되풀이하여 기단을 구축하는 굴광판축기법의 변형방법으로 만들고 있었다. 또 세 금당은 낮은 하층기강 위에 비교적 높은 상층기단을 쌓은 이중기단이며, 하층기단 상면에는 차양의 기둥을 받치는 초석을 배치한 것으로 고구려 청암리사지와 백제 정림사지에서 볼 수 있었던 형식과 같은 것이었다. 기단 외장은 하층기단에서는 지대석·면석·갑석의 구분이 없는 장대석을 돌리고, 그 상면에 전돌을 깔고 있었다. 상층기단은 지대석과 면석·갑석을 갖춘 석조기단이며 지대석의 상면 외각과 갑석 하면 외각에 한 단의 깎임이 있는 형식이었다. 기단 전면 세 곳과 후면 한 곳에 석조계단을 설치하였고, 이 계단 側石은 지대석과 직각삼각형의 면석, 그리고 갑석이 각기 별석으로 만들어졌다. 탑기단은 지대석·면석·갑석을 갖춘 단층기단이며, 기단 전면의 세 곳, 양 측면과 후면 중앙에 각각 석조계단이 설치되어 있었고, 기단 주위에는 폭 1m, 높이의 차 20㎝ 정도의 이중으로 돌린 塔區가 있었다. 탑구는 갓돌을 돌린 안쪽에 전돌을 깔고 있었다. 이와 같은 탑구는 고구려나 백제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며,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건립된 석탑기단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것으로 이중기단인 금당에 대하여 격식이 한 급 더 높은 삼중기단을 상징하는 시설인 듯 하다. 강당과 그 좌우의 건물, 그리고 회랑들의 기단은 지대석·면석·갑석의 구별이 없는 장대석을 돌린 형식이며 기단 상면에는 전돌을 깔고 있었다.

 석탑:신라의 석탑은 芬皇寺石塔이 유일한 것이다. 이 탑은 석재를 전돌 모양으로 잘라서 쌓아올린 전탑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탑은 분황사가 건립된 선덕왕 3년(634)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3층으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9층탑이라고도 하며 확실치 않다. 현존 탑은 1915년에 해체수리 된 것이나 초층탑신 4면에 만들어진 감실 입구 좌우의 仁王像은 이 탑 건립시의 것이다.

 고구려나 백제에서는 그 말기에 본격적인 석탑이 건립된 데 반해 신라에서는 비록 석재로 만들어지기는 하였으나 전탑형식의 탑을 만들었다는 점이 매우 주목된다. 이 탑의 옥개와 옥개받침 형식은 그 뒤 통일신라에서 나타난 석탑형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가람배치:고신라대에 건립된 사원 가운데 興輪寺·永興寺·靈妙寺 등의 옛터로 전하는 곳이 발굴된 바 있으나 이 시기의 가람배치 형식을 짐작할 만한 자료를 얻지 못했다. 다만 사역 전역을 발굴한 황룡사지와 현존하는 건물 사이를 발굴한 분황사에서는 이 시기의 가람배치형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룡사 창건 가람은 고대 가람형식으로는 특이한 것이었다. 동서 180m, 남북 140m의 장방형 구역을 중앙에 좀 넓은 세 구역으로 나누어, 그 동·서변에 승방으로 보이는 건물을 배치하고 남변과 중앙구역 동·서 경계에 회람을 돌리고, 남변 중앙에 중문을 두고, 북변에는 강당과 승방의 구별이 되지 않은 건물을 배치하고 있었다. 탑과 금당의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그것은 중건가람의 탑과 금당의 굴광기단에 의해 흔적이 없어진 것으로 보였다(<그림 10>).

<그림 10>황룡사 창건 가람 추정도     + 참고이미지

 황룡사는 진흥왕 35년(574)에 丈六尊像을 주조하고 진평왕 6년(584)에 새로 금당을 건립하게 되는데, 이때 비로소 본격적인 가람이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이 계획에 따라 새로 건립된 중문을 창건중문보다 6m정도 남쪽으로 옮기고, 회랑을 複廊으로 중금당 좌우에 동·서금당을, 강당과 그 좌우에 승방으로 보이는 건물을 배치하고, 선덕왕 14년에 중금당 남쪽에 구층목탑을 완공함으로써 중건가람이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이때 아직 동·서 회랑은 복랑으로 만들지 못하고 창건가람의 동·서 승방을 개조하여 회랑으로 사용했다. 이와 같은 가람배치형식은 고구려의 일탑삼금당식 가람 탑 좌우에서 탑을 향했던 동·서금담을 중금당 좌우로 옮겨 남향시키는 변화를 보인 가람으로 이해할 수 있고 신라적 일탑삼금당식 가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가람은 통일기에 들어서 다시 탑 앞 좌우에 鐘樓와 經樓가 배치되는 변화를 보이게 된다418)(<그림 11>).

<그림 11>황룡사 중건 가람계획도(推定)

 분황사 가람은 1975년에 금당지 일부를 발굴하여 굴광판축기단을 확인한 바 있었고, 1990년에서 92년까지 3차에 걸쳐서 분황사 동쪽 담장 부근과 사역내 공지를 발굴하여 창건가람 중심부의 모습을 확인했다. 이에 의하면 현 석탑 북쪽에 중금당을 두고, 탑과 중금당 사이 동서에 남향한 동·서금당을 배치한 형식이었다.419)

 이와 같은 배치형식은 단순한 비교로는 황룡사 가람보다 고구려 가람에 더 가까운 형식으로 보이며 황룡사에 선행하는 것으로 보이기 쉽다. 그러나 분황사 창건시기로 보아 이와 같은 생각은 불합리하고 사역의 폭이 좁아 황룡사와 같이 동·서금당을 중금당 좌우에 배치하기 어려워서 이를 앞으로 옮겨 사역의 동서 폭을 줄이려고 한데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어떻든 신라의 두 가람이 약간의 형식적인 차이는 있으나 일탑삼금당식이었던 점은 매우 주목되는 사실이다(<그림 12>).

<그림 12>분황사 법당 변천도

417)輯安東坮子유적의 규모가 큰 주택건물 유구에서 초석 밑 보강 부석과 벽선 밑 보강 부석이 확인되고 있다.
418)≪皇龍寺≫(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1984), 371∼398쪽.
419)文明大,<芬皇寺發掘調査略報告>(≪考古美術≫112, 1979).

―――,<분황사발굴조사>(≪年報≫3, 경주문화재연구소, 1992), 158∼17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