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8권 삼국의 문화Ⅳ. 문학과 예술8. 음악2) 삼국시대의 음악문화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1. 고구려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2. 백제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3. 신라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 2) 조상숭배신앙
          • 3) 지신신앙
        • 4.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관계
          • 1)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갈등
          • 2)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융화
          • 3) 토착신앙과 불교의 교대
      • Ⅱ. 불교와 도교
        • 1. 불교
          • 1) 고구려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교학의 발전
            • (3) 불교신앙
            • (4)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승려들
            • (5) 백제·신라에서 활약한 승려들
          • 2) 백제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교학의 발전과 불교신앙
            • (3) 백제불교의 일본 전파
          • 3) 신라의 불교
            • (1) 불교의 전래
            • (2) 불교공인의 실상
            • (3) 진흥왕대의 불교
            • (4) 미륵신앙의 양상
            • (5) 신라 불국토설의 내용과 대두 시기
            • (6) 중고시대의 고승
            • (7) 불교의 대중화
          • 4) 가야의 불교
        • 2. 도교
          • 1) 도교의 전래와 수용기반
          • 2) 도교사상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Ⅲ. 유학과 역사학
        • 1. 역사개념의 출현
        • 2. 유학과 역사학의 관련
        • 3. 삼국의 유학
        • 4. 삼국의 역사편찬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Ⅳ. 문학과 예술
        • 1. 언어와 문학
          • 1) 언어
            • (1) 고구려어·백제어·신라어
            • (2) 삼국 언어의 상호관계
          • 2) 시가
            • (1) 한국시의 생성과 노래의 집단성
            • (2) 창작적 노래의 출현과 민족의 발견
            • (3) 삼국의 시가와 한국시의 전통
        • 2. 회화
          • 1) 고구려의 회화
          • 2) 백제의 회화
          • 3) 신라와 가야의 회화
        • 3. 서예
          • 1) 고구려의 서예
          • 2) 백제의 서예
          • 3) 신라의 서예
        • 4. 조각
          • 1) 청동기시대의 조각
          • 2) 삼국시대의 조각
            • (1) 일반 조각
            • (2) 불교조각
        • 5. 공예
          • 1) 금속공예
            • (1) 금속공예의 종류
            • (2) 금속공예의 기법과 공예품
            • (3) 금속제 그릇들
            • (4) 삼국시대의 동경
          • 2) 유리공예
          • 3) 도자공예
            • (1) 고구려의 토기와 도기
            • (2) 백제의 토기
            • (3) 신라의 토기
          • 4) 목칠공예
        • 6. 건축
          • 1) 사원건축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2) 궁실·연못
            • (1) 궁실
            • (2) 연못
          • 3) 성곽
            • (1) 고구려 성곽
            • (2) 백제 성곽
            • (3) 신라 성곽
            • (4) 가야 성곽
            • (5) 삼국 및 가야 성곽의 성격
        • 7. 고분
          • 1) 고구려 고분
            • (1) 적석총
            • (2) 봉토석실분
          • 2) 백제 고분
            • (1) 토광묘
            • (2) 토축묘
            • (3) 주구토광묘
            • (4) 적석총
            • (5) 석곽묘
            • (6) 옹관묘
            • (7) 화장묘
            • (8) 석실분
            • (9) 전축분
          • 3) 신라 고분
            • (1) 토광묘
            • (2) 석곽묘
            • (3) 적석목곽분
            • (4) 횡혈식 석실분
          • 4) 가야고분
            • (1) 토광묘
            • (2) 석곽묘
            • (3) 석실분
          • 5) 원방형분
        • 8. 음악
          • 1) 향악의 기원과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1) 한민족의 기원문제와 향악
            • (2) 상고사회의 음악문화
          • 2) 삼국시대의 음악문화
            • (1) 고구려
            • (2) 백제
            • (3) 가야와 신라
          • 3) 삼국시대의 해외음악활동
            • (1) 중국에서의 고려악
            • (2) 일본조정에서의 삼국악
        • 9.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 무예
            • (2) 놀이
      • Ⅴ. 과학기술
        • 1. 한국 과학기술의 형성
        • 2. 고구려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1) 천문도를 만들다
            • (2) 천문관측제도와 활동
            • (3) 기상 관측
          • 2) 산업기술 및 생활과학
            • (1) 고구려척과 축조기술
            • (2) 금속기술
            • (3) 연단술
            • (4) 도구와 기계장치
          • 3) 의약학
          • 4) 지도의 제작
        • 3. 백제의 과학과 기술
          • 1) 천문학과 역산학
          • 2) 지리학과 의약학
          • 3) 산업기술
            • (1) 농업기술의 혁신
            • (2) 토목기술
            • (3) 금속기술
            • (4) 요업기술
        • 4. 신라의 과학과 기술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를 세우다
            • (2) 천문기상 관측
          • 2) 의약학
          • 3) 산업기술
            • (1) 농업기술
            • (2) 금속기술
            • (3) 요업기술
            • (4) 그 밖의 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의생활의 기본구조
            • (1) 관모와 머리모양
            • (2) 저고리(유)
            • (3) 바지(고)
            • (4) 치마(상)
            • (5) 두루마기(포)
            • (6) 대
            • (7) 신(이·화)
          • 2) 고구려의 의생활
            • (1) 관모
            • (2) 의복
          • 3) 백제의 의생활
            • (1) 왕복
            • (2) 관인 복식
          • 4) 신라의 의생활
          • 5) 가야의 의생활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1. 선사시대 문물의 일본 전파
        • 2. 학문과 사상
        • 3. 역학·의약·기술
        • 4. 예술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고구려

 대륙과 인접했던 고구려는 삼국 중에서 가장 일찍 한민족의 음악문화를 발전시킨 나라였다. 고구려가 백제나 신라보다도 일찍 음악문화를 꽃피운 이유는 대륙과의 밀접한 문화교류에 힘입었기 때문이었다. 수나라와 당나라 때 중국대륙에서 음악으로 국위를 선양한 나라가 고구려였지만, 신라에 의해서 멸망됨으로써, 고구려의 음악문화에 관한 기록은 중국문헌에 나타날 뿐이고, 또 화려했던 음악문화의 일부분이 수많은 고분벽화에서 확인될 뿐이다. 고구려의 음악문화에 관해서는≪隋書≫·≪舊唐書≫·≪新唐書≫의 음악지와 동이전에 전하고, 악기의 그림을 전하는 고고학자료로 안악 3호분·집안 17호분·무용총·삼실총·장천 1호분 등이 있다.

 고구려의 악기는 역사적 유래에 따라서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으니, 첫째는 국내에서 창제된 것으로 보이는 거문고이고, 둘째는 西域에서 기원된 피리·횡적·오현비파이다. 셋째는 문헌과 고고학자료에 나타난 고구려의 악기들이다. 이제 문헌기록 및 고고학자료에 의거하여 고구려악기의 내력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할텐데, 다음은 거문고의 유래에 관한 기록이다.

⑥ 新羅古記에는 “처음 晉나라 사람이 七絃琴을 高句麗에 보냈는데, 高句麗에서 그것이 樂器인 줄은 알았지만, 그 聲音과 치(타)는 법을 몰랐다. 國人 중에서 능히 그 音律을 알아서 탈 수 있는 사람을 (널리) 구하여 후히 상을 주게 하였다. 이때 第二相인 王山岳이 그 본모양을 보존하면서 자못 그 제도를 고쳐 만들고, 겸하여 백여 곡을 지어 연주하였다. 그 때에 玄鶴이 와서 춤을 추었으므로 드디어 玄鶴琴이라고 하였는데, 후에 와서는 단지 玄琴이라고 하였다(≪三國史記≫권 32, 志 1, 樂).

 중국의 七絃琴을 보냈다는 晉나라를 東晉(316∼419)으로 해석할 경우, 거문고와 王山岳의 연대는 대략 4세기경으로 추정될 수 있다. 왕산악이 개량했다는 고구려의 현악기는 ⑤에 언급된 변진의 瑟 모양의 고대 현악기와 관련되었을지도 모른다. 고고학자료에 나타난 거문고의 원형으로 보이는 고대 현악기가 안악 3호분(357)·무용총·장천 1호분(5세기경) 등에서 발견되는데,618) 모두가 長方形의 몸통을 가졌다는 점 및 악기를 무릎 위에 올려 놓고서 연주한다는 점에서 서로 공통적이다.

 舞踊塚의 그림에 의하면,619) 거문고의 원형은 첫째 줄이 4현이라는 점, 둘째 4현이 모두 괘 위에 놓인 점, 셋째 열여섯 개가 아닌 열네 개의 棵가 몸통에 박힌 점에서 지금의 거문고와 서로 구분된다. 이런 형태의 거문고 원형이 언제부터 지금의 거문고와 같이 6현과 16괘의 현악기로 발전됐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략 통일신라시대에 文絃과 武絃이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620) 중국문헌에서는 琴으로 그리고 일본문헌에서는 로 알려진 고구려의 거문고는 백제에 소개되어 일본에까지 군후라는 명칭으로 전했고, 삼국통일 이후에는 신라사회에 수용되어 가야금·향비파와 함께 三絃의 하나로서 중요한 향악기였다.

 고구려사회에 불교가 유입된 이후 고구려는 더욱 중국 北朝와 빈번하게 문화를 교류하였고, 따라서 西域樂器의 수입은 필수적이었다. 4세기 이후 북조를 통해서 유입된 대표적인 서역악기가 피리·횡적·五絃琵琶인데, 이 세 종류는 모두 5세기 무렵의 장천 1호분에서 확인되었다.621) 중국문헌에 오현·오현비파·直頸琵琶로 기록된 다섯줄 짜리의 비파가≪樂學軌範≫에서는 鄕琵琶로 알려졌다.622) 고구려의 오현비파는 삼국통일 이후 신라사회에 수용되어 거문고와 함께 삼현의 하나로 향악연주에 사용되었다.

 고구려의 피리가 중국문헌에서 篳篥 또는 觱篥로 기록되었고, 橫笛은 橫吹 또는 笛으로 불리었는데, 이 둘 모두가 서역에서 유래된 관악기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두 관악기가 장천 1호분의 벽화에 나타나는 점으로 미루어623) 5세기에는 고려사회에 수용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 고구려의 피리와 횡적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관현합주에서 주요 선율을 담당했을 것이므로, 그런 관악기에 의한 5세기 고구려의 음악문화가 그 이전보다 음향적으로 크게 발전되었다. 고구려의 횡적은 백제에 전래되었고, 그것이 백제 음악인들에 의해서 일본에 전래됨으로써 高麗笛(고마부에)으로 불렸으며, 멸망 이후에는 신라사회에 수용됨으로써 三竹의 모태가 되었다.

 거문고·피리·횡적·오현 이외 고구려 악기로 북(鼓 또는 腰鼓)·簫·阮咸·뿔피리(角) 등이 있는데, 모두가 중국문헌이나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확인되는 악기들이다. 장고처럼 허리가 잘룩한 腰鼓는624) 고구려의 대표적인 타악기로서 중국문헌에서는 鼓로 기록되었다. 소는 작은 관을 가지런히 묶어서 세로 세워서 부는 관악기의 일종인데, 흔히 排簫라고 불렸다. 이 관악기가 중국문헌에서는 소로 기록되었고 삼국시대 백제에 소개되었다. 서역의 밴죠(banjo)처럼 둥근 몸통에 긴 목을 지닌 완함은 안악 3호분 및 삼실총 등 여러 고분벽화에 나타나므로625) 4세기경부터 고려사회에서 널리 연주된 현악기였고, 후에 백제에 소개되었으며, 후대에 내려와서는 月琴으로 알려졌다.626) 角은 무용총·집안 17호분 등의 여러 고분벽화에 나타나므로,627) 고구려사회에서 널리 사용된 관악기의 하나였다.

 고구려의 노래로 來遠城·延陽·溟州가≪高麗史≫악지에 전하는데,628) 모두가 그 지방사람의 희로애락을 담은 민요의 일종으로 추정되고 있다. 왜냐하면 이런 고구려의 노래들이 백제의 無等山이나 井邑 또는 신라의 東京이나 利見臺처럼 어느 특정한 지방의 민요와 관련된 성악곡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고구려는 삼국 중에서 가장 빠르게 거문고와 같은 독창적인 현악기를 바탕으로 대륙의 음악문화를 자주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백제나 신라보다 일찌기 음악문화의 꽃을 피웠다. 중국 북조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고구려의 음악문화가 국내적으로는 백제에 큰 영향을 미쳤고, 국외적으로는 고구려 음악인들이 일본과 중국에 파견됨으로써 해외 음악활동을 통해서 국위를 선양하였다. 특히 고구려 음악인들이 중국 수나라와 당나라의 궁중에서 또 고려악사와 고려악생들이 일본궁중에 머물면서 오랜동안 국위를 선양했는데, 뒤에서 상세하게 거론될 것이다.

618)宋芳松,≪韓國音樂通史≫(一潮閣, 1984), 사진 2-가(安岳 3號墳)·사진 4(長川 1號墳)·사진 5(舞踊塚) 참조.
619)宋芳松, 위의 책, 사진 5-나(舞踊塚) 참조.
620)李惠求·張師勛·成慶麟,≪國樂史≫(韓國國樂學會, 1965), 3쪽.
621)宋芳松,<長川1號墳의 音樂史學的 點檢>(≪韓國學報≫35, 1984, 2∼36쪽 ;≪韓國古代音樂史硏究≫, 一志社, 1985, 2∼38쪽).
622)≪樂學軌範≫권 7, 鄕琵琶.
623)宋芳松, 앞의 책(1985), 사진 1·사진 3(長川 1號墳) 참조.
624)宋芳松, 위의 책, 사진 17(輯安 17號墳)·사진 18(집안 4호분) 참조.
625)宋芳松, 앞의 책(1984), 사진 2-가(安岳 3號墳)·사진 6(三室塚).

―――, 앞의 책(1985), 사진 7-다(輯安 17號墳)·사진 9(江西大墓)·사진 16(八淸里 古墳) 참조.
626)≪樂學軌範≫권 7, 月琴.
627)宋芳松, 앞의 책(1984), 사진 5-다(舞踊塚)·사진 7-가(輯安 17號墳).

―――, 앞의 책(1985), 사진 8(平壤驛前 古墳)·사진 14(大安里 1號墳)·사진 16 (八淸里 古墳)·사진 19(江西大墓).
628)≪高麗史≫권 71, 志 25, 樂 2, 三國俗樂, 高句麗.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