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8권 고려 무신정권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1.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1.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 1) 무신란의 주도세력
          • 2) 이의방 정권
          • 3) 정중부 정권
          • 4) 경대승 정권
          • 5) 이의민 정권
        • 2. 최씨무신정권의 성립과 전개
          • 1) 최씨정권의 성립
          • 2) 최씨가의 권력세습
          • 3) 최씨정권의 붕괴
        • 3. 무신란과 최씨무신정권의 역사적 성격
          • 1) 무신란의 역사적 의의
          • 2) 최씨무신정권의 성격
        • 4. 무신정권의 붕괴와 그 역사적 성격
          • 1) 김준 정권
            • (1) 김준의 출세
            • (2) 김준의 집권
          • 2) 임연·임유무 정권
            • (1) 임연의 출세
            • (2) 임연·임유무의 집권
          • 3) 붕괴기 무신정권의 성격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1. 사병의 형성과 도방
          • 1) 사병의 형성
          • 2) 도방
        • 2. 중방과 교정도감
          • 1) 중방
          • 2) 교정 도감
        • 3. 진양부와 정방 및 서방
          • 1) 진양부
          • 2) 정방
          • 3) 서방
        • 4. 별초군의 조직
          • 1) 마별초
          • 2) 지방별초
          • 3) 삼별초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 국왕의 권위
          • 1) 중방정치와 국왕
          • 2) 국왕의 권위
          • 3) 국왕과 문반·민중
        • 2. 무신정권과 문신
          • 1) 무신란과 문신의 동향
            • (1) 은거문사
            • (2) 소외문인
            • (3) 등용문신
          • 2) 초기 무신정권과 문신의 정치활동
        • 3. 최씨정권과 문신
          • 1) 최씨정권의 문신정책
          • 2) 최씨정권하 문신의 역할과 정치적 지위
        • 4. 무신정권기 문신의 정치의식과 그 성향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1.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1) 무신란의 주도세력

 무신란은 고려사회에 커다란 변동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동은 정치·경 제·사회에 걸친 전반적인 것이었다. 무신란을 기점으로 시대를 구분한 개설서가 적지 않은 사실도 이를 말해 준다. 궁금한 것은 어떻게 무신란이 이처럼 커다란 변동을 초래했는가 하는 점인데, 이는 무신란의 성격이 드러나야 해결될 성질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무신란의 성격을 밝히는 데에 우선 서술의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001)

 무신란의 성격을 밝히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필자는 무신들과 무신란의 관계를 검토하려고 한다. 즉 어떠한 인물들이 무신란을 주도하였으며, 난에 적극적이었던 인물들은 누구였는가. 그리고 난에 대해 냉담한 반응을 보인 무신들은 없었는가 하는 점 등을 알아 보려는 것이다. 그들이 무신란을 주도했거나 적극적이었던 이유, 그리고 냉담했던 까닭을 알 수 있게 되면 무신란의 성격은 자연스럽게 드러나지 않을까 생각되기 때문이다.

 흔히 무신란을 일으킨 장본인은 鄭仲夫로 이해되어 왔다.≪高麗史≫에 무신란이 정중부의 난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만큼 무리가 아니다. 일찍이 문신인 金富軾의 아들 金敦中이 촛불로 그의 수염을 태운 데에 앙심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는 이해가 상당히 일반화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당시의 기록들을 자세하게 검토해 보면, 이와는 상당히 다른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무신란은 의종의 普賢院 행차 도중에 일어났다. 起居注 韓賴가 大將軍 李紹膺의 뺨을 때린 것이 난의 발단이었다. 문반 5품인 기거주가 무반 3품인 대장군을 모욕한데 대해 정중부 등이 크게 격분했고, 드디어는 다수의 문신들을 살해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렇다고 무신란을 우발적인 사건의 결과로 이해하려 한다면 이는 큰 잘못이다. 무신란은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되어 있었던 것이다. 사실 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세워져 있지 않았다면, 이소응이 한뢰에게 당한 모욕은 개인적인 것으로 그쳤을런지도 모른다.

 이 사건이 일어나기 이전, 국왕이 和平齋에 행차했을 때에 이미 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세워졌다. 왕을 시종한 무신들이 노골적으로 불평을 토로하자, 李義方과 李高는 소변을 보기 위해 자리를 피한 정중부를 뒤쫓아가 난을 일으킬 것을 제의했던 것이다. 정중부가 여기에 동의함으로써 난은 구체화 되었다. 따라서 난을 계획한 인물은 이의방·이고였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난을 모의하고 있었던 것이다. 정중부는 그들의 각본에 따랐을 뿐이었지 그 자신이 직접 난을 모의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이고와 함께 무신란을 주도한 이의방은 全州人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동생 李隣은 후일 조선왕조를 세운 李成桂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002) 이의방은 의종 말에 散員으로서 牽龍行首職을 맡고 있었다. 무신란 당시 그의 직위는 산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는 매우 다양했던 것 같다. 우선 그와 함께 무신란 때 활약한 친형 李俊儀를 비롯하여 명종 3년에 南路宣諭使를 지낸 李椿夫가 그의 종형으로 눈에 띈다. 또한 文克謙은 그와 긴밀한 사이였고, 후에는 사돈으로 인척관계까지 맺고 있었다. 그의 동생 이린이 문극겸의 딸과 혼인했던 것이다. 한편 무인으로는 車仲規, 그리고 尙書 吳挺의 아들인 吳光陟 등과도 친분을 유지하고 있었다. 좋은 가문 출신인 문극겸이나 오광척 등과 친분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그도 상당한 가문의 출신이 아니었나 의심된다. 사실 산원이라는 벼슬 자체가 무관 자제들이 보임 되는 관직이었던 것이다. 또한 그가 소속하고 있던 견룡도 權貴의 자제들이 모두 뽑히기를 원했던 부대였음을 고려해도 그러하다.

 이의방의 경우로 미루어 보면, 여기저기 단편적인 사실만이 전해지며 구체 적인 기록이 없는 이고의 신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추측이 가능하다. 그도 역시 무신란 당시 산원으로서 견룡행수직을 맡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의방·이고와 더불어 무신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또 다른 인물로는 蔡元을 들 수 있다. 그는 무신란 성공 직후의 정권쟁탈전에서 이의방·이고와 겨룰 정도였던 것이다. 또한 그는 명종에 의해 무신란에서의 공을 이의방과 이고 다음으로 평가 받기도 했다. 무신란 이후 그의 직위는 內侍將軍이었는데, 이의방과 이고가 산원에서 무신란 직후 대장군으로 뛰어 오른 것을 감안하면 채원의 무신란 이전 직위도 그다지 높지 않았을 것 같다. 한편 그가 이의방 등과 함께 난을 모의했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그의 신분도 이의방 등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난에 대한 모의는 동일한 신분계층의 인물들로부터 시작됐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결국 이의방과 이고·채원 등은 무신란에 있어서의 주동집단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의방·이고 등과는 달리 정중부는 무신란에 비교적 온건한 태도를 취했다고 생각된다. 무신란의 진행과정 중에 이고가 국왕을 죽이려 하자 정중부가 이를 말렸으며 또한 문신을 살해하려 했을 때도 그가 저지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그러하다. 정중부와 이고의 이처럼 다른 태도를, 난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인 견해 차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견 차이의 배후에는 난에 대한 정중부의 온건한 태도가 잠재되어 있었다고 해석하는 편이 더욱 타당해 보인다.

 무신란에 대한 정중부의 온건한 태도는 어디서 연유하는 것일까. 무신란 당시 그의 직위가 대장군이었다는 사실은 이와 관련하여 주목된다. 그가 어떠한 가문의 출신인가는 분명치 않지만, 적어도 무신란 당시 그는 무반 고위층으로서 안정된 지위를 누리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지위가 그로 하여금 무신란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무반 고위직에 올라 있던 인물들이 무신란에 소극적이었음은 梁淑·陳俊·奇卓誠·李紹膺·洪仲方 등의 경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양숙은, 의종 19년에 大府卿神虎衛大將軍에 임명되었던 것으로 미루어, 무신란 직전인 의종 24년에는 그 이상의 고위직에 올라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무신란 직후의 인사발령에서 정중부와 함께 參知政事에 임명됨을 보아도 그러하다. 그는 명종의 즉위와 더불어 무신란에서의 공을 정중부와 이의방 다음으로 평가받았는데, 이러한 사실은 무신란 당시 그의 역할이 무시될 수 없었음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고·채원 등이 의종을 시해하려 한 것을 양숙이 말렸다는 기록을 대하면, 그 역시 정중부와 같이 온건한 입장에 선 인물이었던 것 같다.

 진준은 청주 呂陽縣人이었는데, 용력에 힘입어 출세하였다. 行伍로부터 시작한 그는 의종 말에 대장군에 올랐던 것이다. 무신란에 대한 그의 태도는 이의방 등이 문신들의 집을 철거하려 하자, “우리가 미워하고 원망하는 자들은 이복기·한뢰를 비롯한 4∼5인이다”고 하면서 이를 만류한 데서 잘 드러난다. 즉 그는 누구보다도 무신란의 확대를 싫어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무신란 당시 그의 힘에 의지하여 살아 남은 문신이 많았다는 것도 무신란에 대한 그의 온건한 태도를 엿볼 수 있게 한다.

 幸州人인 기탁성은 용모가 아름다웠다. 그는 활을 잘 쏘고 말을 잘 탔기에 등용되었다. 의종 때에 견룡에 뽑혀 항상 왕의 측근에 있으면서 권귀를 잘 섬겨 빠른 출세의 길을 밟았다. 권귀를 잘 섬겨 빨리 출세했다는 그가 무신란에 적극적이었을 것 같지는 않다. 실제로 그는 후일 韓彦國의 사위인 金平을 등용했는데, 한언국은 무신정권에 반기를 든 金甫當의 난에 협력함으로써 살해된 인물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무신란에서의 논공행상적인 성격을 띤 명종 즉위년의 인사발령에서 기탁성이 知御史臺事에 임명된 것을 보면, 무신란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힘들다.

 종3품인 대장군으로서 종5품에 지나지 않는 문신 기거주 한뢰에게 뺨을 맞아 무신란의 도화선과 같은 역할을 했던 이소응에 관해서는, 그로 인해 야기된 엄청난 결과에 비해 그에 대한 기록은 극히 소략하다. 다만 그가 한뢰에게 뺨을 맞아 무신란을 일으킨 그 날 이의방·이고 등과 함께 날래고 용감한 군사들을 뽑아 서울로 가서, 난에 장애가 될 인물들을 제거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그가 난에 가담한 것은 이 사건 이후의 일로서 그 이전부터 모의에 참여했던 것 같지는 않다.

 홍중방은 行伍에서 일어났으나 정중부가 의종을 폐위시키고 명종을 옹립하는데 공이 커 대장군에 임명되었다. 명종 7년 武散官들이 東班의 權務官職을 빼앗으려는 논의가 일어났을 때, 홍중방은 죽어도 따를 수 없다고 하여, 강하게 반대의사를 표명하였다. 선왕의 제도와는 다른 것이라는 것이 그가 내세운 반대 이유였다. 따라서 그는 기존 질서에 대한 집념이 상당히 강했던 인물로 여겨지므로, 무신란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태도를 견지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무신란 당시 온건한 태도를 취한 인물로는 이들 외에도 慶珍이나 李光挻을 꼽을 수 있다. 경진은 그의 아들 慶大升이 의종 말에 校尉에 蔭補된 것으로 미루어 무신란 직전 그의 직위는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무신란에 대한 그의 태도가 어떠했는지 자세히 알 수는 없다. 다만 무신란 이후 정중부 집권기에 그가 知門下省事, 中書侍郎平章事 등을 역임했던 것으로 보아 정중부와 견해를 달리한 인물이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한편 이광정은 항오에서 입신한 인물이었다. 그는 홍중방처럼 무신란 때 정중부를 도왔기 때문에 무신란 직후 대장군에 올랐다. 무신란 당시의 그의 행동을 알려 주는 기록은 없으나, 정중부를 도와 출세한 점이나 정중부전에 그의 열전이 부록된 것으로 보아 정중부와 크게 다른 태도를 취한 인물은 아니었을 것이다.

 정중부에서 이광정에 이르는, 무신란에 소극적이었던 인물들과는 달리 무신란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인물들이 있었다. 이러한 인물로는 曺元正·李英搢·石隣, 그리고 李義旼이 있다.

 조원정은 옥장이(玉工) 아들이었다. 또한 그의 어머니와 할머니는 모두 관기였다. 따라서 조원정은 7품 이상의 관직에는 오를 수 없는 신분적 제약을 안고 있었으나 무신란 당시 이의방을 도운 공으로 이후 출세하였다. 그는 무신란에서의 공으로 낭장에 임명되었는데, 이로 미루어 무신란 이전에는 낭장 이하의 하급장교였음이 분명하다.

 이영진의 처음 이름은 寵夫였다. 집안이 대대로 보잘 것 없어서 고기를 팔아 생계를 유지해야 했던 그는 邏卒이 되어 무신란에 참여하였다. 그는 무신란에서 이의방과 이고에 붙어 흉포를 마음대로 했는데, 후일 벼슬이 갑자기 刑部尙書에 뛰어 올랐다 한다. 따라서 이영진은 미천한 출신으로 무신란을 통해 출세의 계기를 잡은 인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창고 곁에서 쌀을 주어 먹고 살았다는 석린은 禁軍으로 무신란에 참여하였다. 그는 이의방의 휘하에서 활약한 공으로 난 후에 낭장에 오르고, 이어 상장군까지 승진하여 東·西北面兵馬使를 역임하였다. 한편 이의민에 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서술할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언급은 피할 생각인데, 그는 賤系의 출신으로 무신란에서의 공으로 크게 출세한 인물이었다.

 이렇듯 무신란으로 인해 출세했다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는 이들 외에, 朴純弼·白任至·鄭邦祐 등도 무신란 당시 적극적으로 활약했던 인물들로 보여진다. 박순필은 출신이 미천하였으나 무신란 이후 금군의 지휘관에 보임되었다. 그가 금군의 지휘관에 임명된 것은 무신란에서의 활약 때문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또한 이후 그가 글씨를 잘 써서 크게 출세했다는 사실도 무신란에 대한 그의 태도를 추측할 수 있게 해 준다. 만일 문신 집권 아래였다면, 글씨를 잘 썼다는 사실만으로 출세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처럼 그가 무신란의 덕을 톡톡히 본 인물임을 감안하면, 무신란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해서 무리는 없을 것이다.

 백임지는 농사를 지어 먹고 살았으나, 날쌔고 용맹스러워 군인에 선발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무신란 이전 內巡檢軍이었다. 그가 무신란에 참여하였는가의 여부를 알려 주는 기록은 없다. “御駕의 출입을 호종하는 데 있어서 (항상) 그 곁을 떠나지 않았다”는 것으로003) 보아서는 오히려 난에 가담하지 않았으리라는 느낌도 든다. 그러나 이의방과 이고가 이복기·한뢰 등을 죽이는데 순검군을 이용하였고, 그가 난 후에 ‘크게 출세해서 귀해졌음’을 고려하면, 그가 내순검군으로서 난에 협력한 것으로 이해해도 좋을 것 같다.

 정방우는 잡류에 속한 電吏였다. 잡류는 군공이나 등과에 의하지 않고서는 품관까지 나아갈 수 없었던 것이 고려의 현실이었다.004) 이러한 신분적 제약을 안고 있던 정방우가 무신란 후에 현달한 것은 난에서의 활약이 두드러진 데에 그 원인이 있었지 않았나 생각된다.

 무신란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崔世輔도 정방우 등과 비슷한 성격의 인물로 보여진다. 최세보는 본래 한미한 가문의 출신으로 글을 알지 못했다한다. 그는 의종 21년「丁亥流矢之變」으로005) 유배되었다가, 무신란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자 유배에서 풀려나 舊職에 임명되었다. 만일 무신란이 아니었더라면 그는 유배에서 풀려나기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따라서 무신란에 직접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기존정권의 타도에 앞장설 만한 충분한 소지는 갖추고 있었던 인물로 생각된다. 무신란 후 그가 크게 출세한 것으로도 이러한 성격의 일면을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이제까지 검토한 무인들은 비록 온건한 태도를 취했다고 하더라도 무신란에 가담했던 인물들이다. 그런데 무신란 이후 고위직에 오른 무인들 가운데는 무신란에 가담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냉담한 반응을 보인 인물들도 있었다. 于學儒·宋有仁·吳光陟·文章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우학유는 이의방과 이고가 애초에 무신란의 「主兵者」로서 내정한 인물이었다. 즉 이의방과 이고는 정중부에 앞서 우학유에게 무신란을 지휘해 줄 것을 부탁했던 것이다. 우학유가 “죽어도 따를 수 없다”고 강하게 거절하자,006) 그들은 정중부를 찾아가 자신들의 계획을 알리고 참여를 요청했던 것이다.

 그러면 우학유가 “죽어도 따를 수 없다”고 할 정도로 난에 가담할 것을 꺼렸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는 우학유의 가계나 당시 그의 직위를 살펴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아버지 邦宰는 벼슬이 右僕射에까지 이르렀으며, 그의 당시 직위는 대장군이었다. 이러한 우학유가 난이라는 모험에 쉽게 뛰어 들리라는 것은 생각하기 힘들다. 그에게는 역시 ‘충직하고 근실하여 다른 뜻이 없었다’는 표현이 가장 어울리는 것이다. 설사 난에 참여하는 것이 당시 그가 누리고 있던 지위보다 훨씬 나은 상태를 보장한다 하더라도 여기에는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다. 우학유의 아버지가 항시 그에게 경계하였다는 “문관이 해를 당하면 화는 우리에게 미친다”는007) 말은 불만스럽기는 하지만 현체제에 안주하려는 당시 고위 무신들의 일반적인 태도를 대변해 주는 것이 아닌가 한다.

 송유인은, 인종 때에 부친이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 공을 세운데 힘입어 곧바로 산원을 제수받고 벼슬을 시작했던 인물이다. 음서를 받은 사람의 첫 벼슬이 대부분 同正職이었음을 감안하면,008) 그는 음서 중에서도 특례에 속하는 대우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무신이었으면서도 문신들과 교우를 즐겼기에 무신들로부터 질시를 받았다 한다.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가 무신란에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참여는 커녕 ‘무신란으로 인해 그에게 닥칠 화를 걱정하였다’는009) 정도였으니 난에 대한 그의 태도가 비협조적이었을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겠다.

 문신들과 교우관계가 깊었던 무인은 송유인 외에도 오광척과 문장필이 있었다. 오광척은 벼슬이 상서에 이른 오정의 아들로 문사들과 교유를 즐기고 武를 싫어했다 한다. 한편 문장필은 守司空左僕射·龍虎軍上將軍을 지낸 그의 아버지의 음서로 관도에 진출하였다. 그 역시 오광척과 더불어 문신 자제들과 가까이 지냈다 한다. 이처럼 무신이었으면서도 문신들과 同契를 맺고 무를 싫어했다는 이들도 송유인의 경우와 같이 무신란에 비협조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우학유에서 문장필에 이르는, 무신란에 냉담한 반응을 보였던 무인들은 좋은 가문의 출신으로 대체로 음서에 의해 관도에 진출하였다. 또한 그들은 문신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이들의 무신란에 대한 냉담한 반응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는 변혁에 의하지 않고서도 무신으로서의 특권을 어느 정도 누릴 수 있던 인물들이었다. 이러한 그들이 현재의 지위마저 무너질 위험을 안고 난에 가담했으리라고는 생각하기 힘든 것이다.

 이들 무인들은 무신란에 가담하지 않았으면서도 무신란 이후 정치적으로 건재하였다. 우학유는 이의방의 여동생을 아내로 맞아 들여 이의방과 인척관계를 맺었고, 송유인은 정중부의 딸을 처로 맞이함으로써 무신정권에 참여할 수 있었다. 또한 오광척은 이의방과의 평소 친분에 힘입어 무신란 이후 장군을 제수받았다 한다. 이들은 이처럼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했기 때문에 무신란 이후 그들이 걷는 정치노선도 동일하지만은 않았다. 우학유와 오광척 등이 이의방에 협력했는가 하면 송유인이 정중부정권에 깊이 관여한 사실이 이를 반영한다. 한편 이의방과 정중부의 입장에서도 이들을 정치적으로 소외시키기 보다는 정권에 참여시키는 것이 그들의 정권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그들이 무인으로서는 비교적 좋은 가문 출신이었음을 감안하면 무리가 아니다. 무인들 내부에 끼칠 그들의 영향력을 과소 평가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앞서 무신란의 사실상의 주동인물들은 이의방·이고 등이고, 정중부는「主兵者」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뿐이라고 하였다. 그러면 무신란 당시 이의방·이고 등이 정중부에게「주병자」의 역할을 부탁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무신란 당시에 이의방·이고 등의 직위가 정8품의 산원에 불과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면, 이것은 그다지 풀기 힘든 문제는 아닐 것이다. 산원은 武班의 서열상 고급장교라기보다는 하급장교에 가깝다. 하급장교인 이들이 난을 주도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난을 합리화시키고 더 많은 동조자를 끌어들이는 것이 급선무가 아니었을까 한다. 또한 그들보다 직위가 높았던 무반 고위층의 향배에도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그들은 정중부를 ‘주병자’로 내세웠다고 생각된다.

 정중부는 난의 전면에 내세워도 손색이 없는 인물이었다. 당시 그는 대장군이었을 뿐만 아니라, “모난 눈동자에 이마가 넓었고 피부는 희고 수염이 보기 좋았으며 신장이 7척이 넘었으므로, 바라보면 가히 두려움을 느낄만하였다”는 풍모의 소유자였던 것이다.010) 그가「주병자」의 역할을 수락하여 무신 고위층을 규합했음은 이광정과 홍중방의 경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광정은 “정중부가 의종을 폐할 때 이광정이 그 모의에 참여하였다”고 했으며,011) 홍중방에 관해서는 “정중부가 의종을 폐하고 명종을 옹립할 때 홍중방이 힘을 썼다”는 기록이 있는 것이다.012) 그러나 이들을 규합했던 정중부 자신이 난의 모의가 무르익은 연후에 참여했음을 고려하면, 이들도 정중부와 크게 달랐다고 보기 어렵다.

 이렇듯 난에 대한 모의가 이루어진 이후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이는 정중부 등의 무반 고위층이 무신란에 적극적이지 못했음은, 정중부에서 이광정에 이르는 무인들을 분석하면 알 수 있다. 비록 行伍로부터 일어난 인물이라 하 더라도, 그들은 난 당시 무반 고위직에 올라 있었기 때문에 무신란에 적극적 인 참여를 기대하기는 힘들었던 것이다. 이들의 무신란 참여는 문신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 사실이지만, 무신란과 같은 대변혁을 기도하지는 않았 던 것이다. 이는 이의방 등이 문신을 살륙하려 하자 “우리가 미워하고 원망하는 자들은 이복기·한뢰 등 4∼5인이다”고 하여, 그들의 불만은 특정한 문신 몇 명에 국한되어 있다고 한 陳俊의 말013) 속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무신란에 있어서의 온건집단이라고 불러 무리는 없을 것 같다.

 한편 이의방 등의 휘하에서 커다란 활약을 했던 조원정 이하 최세보에 이르는 무인들은 무신란 이전에는 일반 군인들과 다름 없는 낮은 직위의 무신들이었다. 사실 산원에 불과했던 이의방과 이고가 난에 이용할 수 있었던 병력이라면 산원 이하의 하급장교나 일반군인들이었을 것이다. 조원정·석린·이영진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무신란 당시 이의방을 따랐기 때문에 출세했다고≪高麗史≫에서도 분명히 밝히고 있는 것이다. 즉 무신란에서 온건한 태도를 취한 무인들이 정중부에 협력했다면, 이의방 등은 조원정·정방우 등 하급 무인들을 배경으로 하여 난을 모의하고 수행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이들에게는 무신란에서의 행동집단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수 있을 것이다.

 조원정에서 최세보에 이르는 무인들은 限職의 대상이 되는 신분층을 포함 한, 미천한 신분의 출신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들이 신분상의 제약을 뚫고 나아간 것은 무신란 이후의 일로서 무신란이 그들의 신분적 굴레를 벗겨준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회는 그들의 노력 없이 자동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었다. 이를 위해 그들은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무신란에 뛰어 들었다고 생각된다. 그들은 무신란을 통해 일대 변혁을 기도했음이 분명하다. “文冠을 쓴 자는 비록 胥吏라도 씨를 남기지 말라”는 이들에게 적합한 행동지침이었던 것이다.

 하급 무신들의 이러한 행동에 호응하여 “군졸들이 벌떼처럼 일어났다”고 한다.014) 군졸 즉 일반군인이 봉기했다는 것은 통제가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음을 말해 준다. 그들은 그들의 누적된 불만을 표출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사실 당연히 받아야 할 군인전을 지급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온갖 力役에까지 동원되었던 일반 군인들은 그 이전부터 도피 등의 방법으로 소극적인 반항을 꾀해 오고 있었다.015) 그런데 이제 문신이라면 누구를 막론하고 살륙하라는 상급자의 지시까지 있었고 보면 그들의 행동이 걷잡을 수 없게 된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그들은 문신 50여 인을 살해하는데 협력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가혹하게 굴었던 인물들을 색출하여 처단하기까지 하였다. 다음의 기록이 그러한 사실을 전해 준다.

군사들이 兵部郞中 陳允升의 집에 가서 거짓으로 말하기를 ‘왕이 글을 내려 먼저 대궐에 나오는 사람을 承宣에 임명한다 합니다’라고 하였다. 윤승이 나가니 군사들이 그를 죽이고 그에게 큰 돌을 안겨 놓았다. 이에 앞서 壽星이 보였다 하여 眞觀寺 남쪽에 祠堂을 창건하였다. 윤승이 이 공사를 감독하였는데, 군사들이 운반한 돌을 반드시 저울로 달아서 받았기 때문에 이런 화를 당했던 것이다(≪高麗史節要≫권 11, 의종 24년 9월).

 요컨대 무신란은 일반 군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001)본고는 金塘澤,≪高麗武人政權硏究≫(새문사, 1987) 및 金塘澤,<慶大升의 執權을 통해 본 武臣亂>(≪한국사 전환기의 문제들≫, 지식산업사, 1993)을 참고하여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앞의 책이나 논문에서 이미 밝혀 놓은 전거에 대해서는 따로 註를 달지 않는다.
002)李樹健,<高麗後期 支配勢力과 土姓>(≪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312쪽.
003)≪高麗史≫권 100, 列傳 13, 白任至.
004)洪承基,<高麗時代의 雜類>(≪歷史學報≫57, 1973), 76쪽.
005)이는 의종 21년(1167), 왕의 행차 중에 金敦中이 실수로 의종의 수레 곁에 화살을 떨어뜨린 사건이다. 왕은 이를 亂賊의 소행으로 오인하여 궁중에 계엄을 펴는 한편, 宰樞에게 명하여 적을 잡도록 하였다. 이 때에 왕의 호위를 철저히 하지 않았다 하여, 牽龍·巡檢指諭 14인을 유배보냈다(≪高麗史節要≫11, 의종 21년 정월 참조).
006)≪高麗史≫권 100, 列傳 13, 于學儒.
007)위와 같음.
008)金光洙,<高鹿時代의 同正職>(≪歷史敎育≫11·12, 1969), 140쪽.

金龍善,≪高麗蔭叙制度硏究≫(一潮閣, 1991), 65∼68쪽.
009)≪高麗史≫권 128, 列傳 41, 鄭仲夫 附 宋有仁.
010)≪高麗史≫권 128, 列傳 41, 鄭仲夫.
011)≪高麗史≫권 128, 列傳 41, 鄭仲夫 附 李光挺.
012)≪高麗史≫권 100, 列傳 13, 洪仲方.
013)≪高麗史≫권 100, 列傳 13, 陳俊.
014)≪高麗史節要≫권 11, 의종 24년 8월 정축.
015)李基白,<高麗軍役考>(≪高麗兵制史硏究≫, 一潮閣, 1968), 139∼141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