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4. 유럽 각국과의 조약체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1. 19세기 중반기의 동아시아 정세
          • 1) 한·중·일의 정세
            • (1) 화이사상과 중국의 조공제도
            • (2) 조선왕조와 청조:청한 종속관계
            • (3) 조선왕조와 일본:‘교린’관계
            • (4) 화이질서하의 한국과 일본
          • 2) 서세 동점과 동아시아 제국
            • (1) 서방제국의 동방진출
            • (2)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동방진출
            • (3) 일항 무역:전통적 동서무역 제도
            • (4) 화란과 영국의 진출
            • (5) 중영 무역의 변천:차에서 아편으로
          • 3) 동서 신국제관계의 성립:불평등조약 체제
            • (1) 중영 아편무역 분쟁
            • (2) 중영 개전과 남경조약의 체결
            • (3) 애로우전쟁과 천진조약 및 북경협정
          • 4) 일본의 개항과 미국
        • 2. 구미 열강의 통상요구
          • 1) 러시아의 통상요구
          • 2) 프랑스의 통상요구
          • 3) 영국의 통상요구
          • 4) 미국의 통상요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1. 개화사상의 형성
          • 1) 개화사상의 형성과 배경
          • 2) 개화사상의 형성
          • 3) 1866년 개화사상 비조들의 활동
          • 4) 최초의 개화사상
        • 2. 동학의 창도와 동학사상
          • 1) 동학 창도의 배경
          • 2) 동학의 창도 과정
          • 3) 동학사상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1. 흥선대원군의 집권
        • 2. 대원군의 내정 개혁
          • 1) 대원군의 인재등용
          • 2) 서원 철폐와 경복궁 중건
          • 3) 재정, 군사제도의 개혁
          • 4) 민란 대책
        • 3. 대원군의 대외정책
          • 1) 러시아의 남하 방어책
          • 2) 천주교 탄압:병인사옥
          • 3) 병인양요와 대응책
          • 4) 신미양요와 대응책
          • 5) 대일 강경책
        • 4. 대원군 정치의 성격과 의의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1. 강화도조약과 개항
          • 1) 조약체결 전의 국내외정세
            • (1) 메이지유신과 일본의 조선정책
            • (2) 고종친정과 대외정책
          • 2) 강화도조약의 체결
            • (1) 운요호사건과 조선정부의 대응
            • (2) 조일수호조규의 내용과 성격
          • 3) 개항 이후 조선정부의 대내외정책
            • (1) 수신사파견과 개화정책의 모색
            • (2) 조일수호조규 부록 및 통상장정
        • 2. 개항 초기의 조청관계
          • 1) 청국 북양대신 이홍장의 서양 각국과의 수교권고
          • 2) 제2차 수신사의 파견과 주일청국사절의 연미론
        • 3. 조미조약의 체결
          • 1) 조·청·미 3국의 조미조약 체결 교섭과 속방조관
          • 2) 조미조약의 성립과 속방조회
        • 4. 유럽 각국과의 조약체결
          • 1) 한·영 수호통상조약의 체결
          • 2) 한·독 수호통상조약의 체결
          • 3) 한·러 수호통상조약의 체결
          • 4) 한·불 수호통상조약의 체결
          • 5) 기타 유럽국가들과의 조약체결
        • 5. 개항의 역사적 의의
          • 1) 강화도조약과 자본주의 세계체제
          • 2) 불평등조약체제의 수립과 그 영향
          • 3) 초기 개화정책의 추진배경과 그 성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한·러 수호통상조약의 체결

 韓露 양국이 국경을 접하게 된 것은 1860년 露淸간에 체결된 北京條約에 의해서다. 1854년 이미 영흥만을 측량하고 조선에 대해 관심을 보이던 러시아는 국경을 접하게 된 이후 더욱 빈번하게 두만강을 넘어서 또는 海路를 통해 조선과의 통상수교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당시 대원군 집정하에서 쇄국정책으로 일관한 조선정부는 이를 완강하게 거절하였다.

 이 당시 러시아의 한반도 진출기도는 不凍港獲得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러시아는 본국과 아시아領과의 연결이 육로교통의 험준한 장애 때문에 주로 해로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부동항은 필수적이었다. 대서양과 지중해를 통한 진출이 좌절된 후 러시아는 일단 대마도를 고려했으나 영국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따라서 러시아가 한반도에 관심을 갖게된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그러나 러시아측은 한반도 접근에 신중했다. 왜냐하면 영국과 청국이 강한 의혹의 눈길로 주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러시아는 이 목적을 달성할 만큼 군사력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1888년까지 연해주 주둔병력은 常駐 코사크를 제외하고는 15만 명에 불과하였다.421) 또한 조선측의 러시아에 대한 공포증도 매우 컸다. 대원군 집정기간에 야기된 병인양요도 러시아의 수호·통상요구로 인해 야기되었다. 1876년 조선이 개국된 이후에도 조선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공포감과 기피증을 가지고 있었다. 그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는 영국의 사주를 받은 청국과 일본이 조선으로 하여금 러시아를 두려워하도록 만듦으로서 러시아에 대한 경계심을 갖도록 했기 때문이다. 1880년 수신사 김홍집이 日本使行 때 주일청국공사관 黃遵憲은 러시아의 탐욕과 침략성을 강조하고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親中國’, ‘結日本’, ‘聯美國’하여 ‘防俄’할 것을 권고하는<私擬朝鮮策略>을 그에게 주었다. 일본도 또한 기회있을 때마다 조선에 대해 防俄的 태도를 촉구하였다.422)

 그러나 조선이 러시아에 대한 공포감으로부터 벗어나 양국이 근접할 수 있는 몇 가지 계기가 마련되었다. 그 하나는 고종과 개화파인사들이 청국의 간섭을 배제하고 자주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즉 조선이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후 가장 절실하게 느꼈던 점은 청국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자주·독립을 이룩하려는 열망이었다. 그러한 열망은 임오군란 이후 청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간섭하여 오자 구미세력을 끌어들여 세력균형을 이룸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하여 미국·영국·독일뿐만 아니라 공포와 증오의 대상이던 러시아·프랑스와도 수교를 해야 한다고 인식한 점이다.423) 게다가 고종이 가지고 있던 미국과 영국에 대한 기대도 실망으로 바뀌면서 친러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을 수 없었다.

 둘째는 1883년 해관창설과 外部顧問의 임무를 띠고 조선정부에 초빙되어 온 묄렌도르프(P. G. von Möllendorff, 穆麟德)의 친러정책이다. 묄렌도르프는 이홍장이 추천·파견한 親淸인물로서 조선에서 일본세력의 성장을 견제하고 동시에 러시아 세력의 침투를 저지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그는 부임한 후 친러정책으로 전환하였다. 그가 外部(總理衙門)의 고문으로 취임하여 느낀 것은 조선에 미치는 청·일의 정치적 세력이 너무 강대하여 그것이 조선의 자주·독립을 저해한다고 판단했고 따라서 조선은 러시아에 의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424) 그가 러시아세력을 조선에 끌어들인 데에는 그의 조국 독일로부터 권고를 받았다는 주장을 설득력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425) 여하튼 그는 적극적으로 한·러 수호통상조약을 추진하였다. 나아가 국왕에게 러시아 군사교관을 초빙토록 획책하였으며 그 대가로 元山灣을 러시아에 제공하는 밀약을 도모하기도 하였다.426)

 셋째, 閔泳翊을 중심으로 한 세력도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었다. 즉 遣美使節로서 세계일주를 하고 돌아온 민영익은 “러시아의 강대함이 경탄을 마지못 할 정도이며 조만간에 러시아의 세력이 한반도에도 미칠 것이니 조선은 러시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상책”이라고 건의하였다.427)

 한·미 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에 청국주재 러시아공사는 즉시 이홍장에게 주선을 요청했으나 이홍장은 이를 거부하였다. 따라서 조선과의 조약체결의 임무를 맡은 천진 주재 러시아 영사 베베르(K. I. Carl Waeber)는 이홍장이 추천, 파견하는 묄렌도르프에 착안하고 그가 부임하기 전 벌써 그를 찾아가는 기민성을 발휘하였고,428) 마침내 그를 설득하여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당시 조선정부는 이홍장이 파견한 묄렌도르프의 행동을 중시하였다.429)

 조선정부는 外務督辦 金炳始를 전권에 임명하여 러시아전권 웨베르와 회담한 결과 1884년 7월 7일 13조로 된 한·러 수호통상조약과 3조의 부속통상장정·세칙·세칙장정 및 善後續約에 조인을 완료하였다. 그리고 1885년 10월 6일(음 고종 22년 8월 28일) 베베르는 러시아 대리공사겸 총영사의 자격으로 서울에 와서 10월 14일 外務督辦 金允植과 한러조약의 비준을 교환하였다. 조약의 체제와 내용은 한영조약과 비슷하며 영국의 경우처럼 러시아의 군함도 조선의 모든 항구에 자유롭게 입항하도록 규정하였고 조선영해의 측량, 海圖의 작성 등을 허여하였다. 치외법권 및 관세의 규정도 한영조약과 같았다.430)

 그 후 1888년 9월 20일(음 7월 13일)에는 韓露陸路通商章程이 체결되었고 그 결과 함경도의 慶興이 새로운 開市場으로 지정되었다. 이 때 한국측 전권은 趙秉式, 러시아측 전권은 베베르였다.431)

421)崔文衡,<韓露修交의 背景과 経緯>(≪韓露修交 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 59쪽.
422)禹澈九,<露·日 戰爭前 韓國의 北方關係(1898∼1903)>(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한국정치외교사학회논총≫6, 1989), 132쪽.
423)이광린,≪開化黨硏究≫(一潮閣, 1973), 45∼49쪽.

최문형, 앞의 글(1984), 66쪽.
424)高柄翊,<穆麟德의 手記>(≪震檀學報≫24), 166∼167쪽.
425)崔文衡, 앞의 글(1984), 68쪽.
426)禹澈九, 앞의 글(1989), 133쪽.
427)林毅陸,≪金玉均傳≫(上) 昭和 19年, 282쪽.
428)F. O. 17/900 No. 14. the most confidential, Grosvenor to Granvielle(Peking, November 25, 1882.)
429)李瑄根, 앞의 책, 767쪽.
430)≪舊韓末條約彙纂≫下, 4∼42쪽.
431)≪高宗時代史≫三, 고종 25년 7월 13일, 3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