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2. 해외민족운동3) 중국 관내지역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1. 무단통치체제의 확립
          • 1) 총독지배체제의 형성
          • 2) 조선총독 지배하의 탄압기관
            • (1) 헌병경찰체제
            • (2) 사법기관
            • (3) 군대
        • 2. 식민지 수탈구조의 구축
          • 1) 토지조사사업과 토지수탈기반의 마련
            • (1) 토지조사사업의 전사
            • (2) 토지조사사업의 실시와 그 성격
            •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집적
          • 2) 수탈을 위한 농업정책과 한국농민의 고난
            • (1) 관권의 농사 개입
            • (2) 면화재배의 강요
            • (3) 식민지적 수탈의 강화
            • (4) 몰락 농민의 증가
            • (5) 한국농민의 저항
          • 3) 임야조사사업과 국유림의 창출
          • 4) 광업과 어업의 장악
            • (1) 광업의 장악
            • (2) 어장의 장악
          • 5) 금융·재정의 식민지적 재편
            • (1) 금융의 장악
            • (2) 재정의 재편
          • 6)<회사령>과 기업활동의 억압
            • (1) 한국강점 이전의 일본자본 침투
            • (2)<회사령>의 시행과 기업발흥의 억압
            • (3) 일본자본의 왕성한 침투
            • (4) 노동구조와 노동쟁의
          • 7) 교통·운수·통신의 지배
          • 8) 무역의 대일 종속
        • 3. 식민지 지배체제의 특질
          • 1) 일제의 조선침략과 식민주의
            • (1) 무단통치에 의한 지배체제 구축기(병합∼3·1독립운동)
            • (2) 회유정책에 의한 민족개량화기(3·1독립운동∼중일전쟁)
            • (3) 민족말살을 통한 전시강제동원기(중일전쟁∼패전)
          • 2) 조선 총독의 권력
          • 3) 식민지 통치구조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1. 국내민족운동
          • 1)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배경과 경향
            • (1) 배경
            • (2) 국내민족운동의 경향과 특징
          • 2) 의병계열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독립의군부
            • (2) 풍기광복단
            • (3) 민단조합
            • (4) 이증연의 비밀결사
          • 3) 계몽운동계열의 단체
            • (1) 기성볼단
            • (2) 조선국권회복단
            • (3) 조선산직장려계
            • (4) 단천 자립단
            • (5) 영주 대동상점
            • (6) 송죽회
            • (7) 애국창가집 편찬, 배포와 관련된 민족교육투쟁
          • 4) 혁명적 경향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광복회
            • (2) 선명당
            • (3) 흠치교의 비밀결사
            • (4) 청림교의 비밀결사
            • (5) 조선국민회
          • 5)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성격
        • 2. 해외민족운동
          • 1) 만주
            • (1) 북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2) 서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3) 북만 밀산부지역
          • 2) 러시아
            • (1) 러시아혁명 이전의 독립운동
            • (2) 러시아혁명 이후의 독립운동
          • 3) 중국 관내지역
            • (1) 한인의 이주와 한인사회의 형성
            • (2)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 구축
            • (3) 한인단체의 활동과 독립운동의 기반조성
          • 4) 미주
            • (1) 미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한인단체의 결성과정
            • (2) 통일연합기관 설치와 독립군기지 개척운동
            • (3) ‘합병’ 반대투쟁과 군인양성운동
            • (4) 국민국가 수립론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설립
          • 5) 일본
            • (1) 1910·20년대 재일 조선인의 상태
            • (2) 191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3) 2·8운동
            • (4) 192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Ⅲ. 3·1운동
        • 1. 3·1운동의 배경
          • 1)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국제정세
          • 2) 해방과 평등의 새로운 사조 등장
          • 3) 독립운동의 새 기운
          • 4) 국내 상황
            • (1) 식민지 지배의 압박과 고통
            • (2) 식민지 지배의 모순 격화와 민생 피폐
          • 5) 3·1운동의 태동
            • (1) 상해 신한청년단의 활동과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움직임
            • (2) 2·8독립선언
            • (3) 광무황제의 붕어와 인산
        • 2. 3·1운동의 전개
          • 1) 3·1운동의 초기 조직화
            • (1)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 (2)<독립선언서>준비
            • (3)<독립선언서>의 배포와 최후의 회담
          • 2) 3·1운동의 발발
            • (1)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2) 만세시위운동의 시작
            • (3) 국내의 만세시위운동
        • 3. 3·1운동의 해외 확산
          • 1) 중국 만주
            • (1) 북간도의 시위운동
            • (2) 서간도의 시위운동
          • 2) 러시아 연해주
            • (1) 러시아혁명과 연해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 (2) 파리 강화회의 대표파견
            • (3) 전로국내조선인회의
            • (4)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의 전개
            • (5) 국내진공 계획과 노인동맹단의 독립운동
          • 3) 미주
        • 4.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 1) 3·1운동에 대한 열강의 반응
            • (1) 중국
            • (2) 미국
            • (3) 영국
          • 2)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 (1)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 (2)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 구축

 “중국혁명이 나의 피를 끓인 것은 말할 것도 없었다. 손문·황흥·송교인이란 이름은 마치 일가나 친구의 이름과 같이 익숙하였고, 신문에 오르는 그네들의 사진조차 어려서부터 낯익은 얼굴을 보는 듯 하였다”424)는 이광수의 고백은 1910년대 초반 한인들의 중국관을 보여준다.

 신해혁명에 고무되어 망명해 온 한인들은 한국의 독립이나 혁명을 위한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형성을 희망하였다. 한인들은 중국혁명에의 참여를 통한 한·중연대 구축방안을 중시하였다. 신규식과 조성환은 “목숨이라도 중국혁명에 바쳐 지지의사를 표하고자” 하였다. 남경의 한인유학생 6명은 1911년 말 學生軍에 들어가 북벌에 참여하였으며, 다시 陸軍學堂에 들어가 각종 군사기술을 습득하였다. 또 신규식의 조카 申衡浩는 상해 도착 직후 중국혁명을 지원하기 위하여 中華學生軍團에 자원 입단하였다. 이외에도 혁명군의 군비확충을 목표로 한 기부금 모금 및 의료구호 활동 등에 동참하는 등의 방법으로 중국혁명세력에 대한 지지와 성원을 표시하였다.

 하지만 전체 한국인의 명의로 중국혁명에 대한 지지를 표명할 수 있는 단체의 부재 상황은 한인들로 하여금 안타까움에 젖게 만들었다. 한인들은 자신들의 의지를 대변하고 활동의 중심이 될 수 있는 단체 조직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같은 상황에서 “중국내 각 지방에 한인단체를 만들고, 또 각 지방에 와 있는 한인동지들과 급히 연락하여 서로 보호하고 돕자”는 중국혁명세력측의 제안은 한인연락기관 건립의 형태로 진전되었으며, 동제사와 신아동제사의 결성은 이러한 한·중연대 선상에서 파악된다.425)

 한인들은 중국혁명 성공의 날이 곧 한국의 독립·해방의 때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인식에서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는 한국해방을 위한 첫걸음이 되는 것이었다. 신규식 등은≪民權報≫·≪民立報≫등의 언론기관과 南社·寰球中國學生會 등의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들 단체는 中國同盟會의 주요 지지기반으로서,≪민립보≫는 멕시코·필리핀·인도·터키 등의 민족주의운동 소식을 크게 보도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혁명의식을 진작시켰다.≪민권보≫는 특히 反袁世凱운동의 중심역할을 수행하였다. 남사는 동맹회 회원들에 의해 운영되던 진보적 혁명문학단체를 표방하며, 상해지역 언론기관의 혁명적 논조를 주도하였다. 환구중국학생회는 중국인 유학생의 출입국 사무보조와 취업알선 기관을 표방하며 1905년에 설립되었다. 주요 활동인물인 朱少屛은 신규식과 밀접한 사이였으며,426) 신규식의 주도하에 성사된 박달학원의 설립에는 환구중국학생회의 취지와 역할이 참조되었을 개연성이 높다.

 1918년 2월 당시 중화민국 내무차관인 尹志伊과 신규식의 왕래편지 중의 “국제간에는 서로 최선을 다하여 도우는 것이 도리인줄 압니다. 부탁하신 여러 가지 일은 이미 손문선생과 당계요선생 등 여러분들에게 전달하였습니다. 그러나 마음은 간절하지만, 힘이 부족하니 기회를 기다려서 추진하도록 하여야 되겠습니다. 震懍基本一層(암호로 쓴 용어로, 무기를 지칭하는 것 같음;역자 최종건)도 이미 상의를 하였습니다. 기다려서 숫자가 확보되는 대로 다시 말씀 올리겠습니다”라는 내용은 신규식과 중국혁명세력 간의 연대내용과 수준을 짐작케 한다.427)

 1910년대 한·중 연대활동의 중심인물은 신규식이었다. 신규식이 상해에서 처음 만난 인물은 徐天復이었다. 그는≪민립보≫사원으로 재직하며,≪民呼日報≫·≪民吁日報≫등을 통해 반일 혁명운동의 중심부에서 활동하는 인물이었다. 신규식은 그를 통해 陳其美·宋敎仁·黃興·戴季陶 등 중국혁명의 주요인물과 교유하였으며, 중국혁명세력의 연락기관인 민립보사·민권보사·남사 사옥·환구중국학생회관 등은 한·중 혁명세력의 연대기구 역할도 겸하였다.428)

 “예관의 집에는 매일 한어반과 영어반도 열렸다. 김규식이 영어를 가르쳤다. 그들은 여기서 한어나 영어를 배워 가지고 중국 대학이나 서양에 유학을 가려는 사람이었다”, “예관집 2층방 한쪽 벽에는 태극기가 교차되어 있었다. … 애국가를 부르고 여자들의 독창도 있고 나서, 연회도 있었다. 모두 예관이 차린 것이었다”, “1913년 경 예관댁은 상해 뿐만 아니라, 강남일대 조선인 망명객의 본거였다.”429)

 신규식은 1912년 4월 중순 상해에서 손문을 면담하였다. 그는 손문의 친절한 태도를 ‘동포에 대한 박애’로 받아들였다. 신규식은 손문이나 중국을 같은 동포로 인식하기까지 하였다.430) 이는 국권피탈 직후 한인의 중국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이해하여도 별무리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일제하 한·중간의 국제연대를 지탱해준 동맥과도 같은 것이었지만, 때로는 중화관념과 뒤엉켜 한인독립운동을 제약하는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신규식은 한·중 간의 국제연대를 통한 독립운동의 기반 조성이 선결과제이며, 이러한 유대의 토대 위에서 한인독립운동의 독자적인 행보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의 구상은 한인청년의 중국교육기관 유학 주선으로 구체화되었다. “선생은 4명의 한국청년을 선발하여 운남강무당에 보냈으며, … 청년들과의 작별에 앞서, … 그대들은 모름지기 나라잃은 겨레를 위하여 힘껏 싸워야 할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대들 일개인의 광영은 즉 이천만 겨레의 광영인 것이다”고 당부하였다. 이범석·김종진·김홍일 등의 중국 군벌정권 군사학교 유학이나, 조동호·신성모·민필호·정환범 등의 각급 고등교육기관 진학은 그의 소개와 알선에 의해 성사되었다.431)

 1910년대 중국혁명세력과 한인독립운동세력의 국제연대를 상징하는 단체로는 신아동제사가 대표적이다. 주요 인물은 신규식과 陳其美였다. 진기미의 조카로서, 중국 국민당 조직부장 등으로 활동하는 등, 국민당정부의 유력인물이었던 陳果夫의 “숙부는 조선인 某某 등과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이름하여 新亞同濟社였다. 오로지 조선독립을 위함이었다. 숙부는 이 결사의 감독이 되었고, 물질상·정신상 원조를 제공하였다. 이 일은 극히 비밀리에 진행되었고, 나도 단지 숙부가 말한 것을 들었을 뿐으로, 그 명칭도 알지 못하였다. 15년(1926년)에 이르러 비로소 조선친구들에게 탐문하여 알았다432)”는 회상은 신아동제사가 진기미 등 중국혁명의 중심인물과 신규식을 비롯한 한인망명가들의 국제연대기구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신아동제사는 중국혁명동맹회의 세력이 강성하였던 1912년 말에서 이듬해 초 사이에 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송교인·胡漢民·대계도·廖仲凱·진과부·吳鐵城·黃覺·黃介民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다.433) 신규식과 중국혁명세력을 매개로 형성된 1910년대 한·중간의 연대는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호법정부, 나아가 한인독립운동세력과 국민당정부 간 국제연대의 초석이 되었다.

 이외에 조소앙 등은 1916년 인도·중국·대만·필리핀·월남·파키스탄 민족운동세력과의 반제연대 형성에 적극적이었다.434) 이처럼 1910년대 중국 관내지역 독립운동의 주안점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피압박민족운동세력과의 국제적 연대 구축에 있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 및 중국국민혁명 등을 통한 국제적 환경에 대한 자각과 근대 국제정치사 인식의 결과였으며, 해외독립운동의 기반 설정이라는 측면에서도 기여한 바 적지 않았다.

424) 이광수,<나의 고백>(≪이광수전집≫13), 226쪽.
425) 배경한,<상해·남경지역의 초기(1911∼1913) 한인망명자들과 신해혁명:武昌起義·討袁運動에의 참여와 孫文·혁명당인들과의 교류를 중심으로>(≪동양사학연구≫67, 1999)는 한인의 신해혁명 지지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성과이다.
426) 신규식의 활동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이 참고된다.

신승하,<예관 신규식과 중국혁명당인과의 관계>(≪김준엽교수화갑기념 중국학논총≫, 1983).

강영심,<신규식의 생애와 독립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1, 1987).

특히 신규식의 한·중연대 일화 등은<申圭植先生傳記>·<申公逸話二三事>(김준엽 편, 앞의 책)에 소개되어 있다.
427) 최종건 편,≪대한민국임시정부문서집람≫(지인사, 1976), 56쪽.
428) 단편적인 사실이지만, 정원택은 1913년 초 상해에 도착하여 民權報社를 통해 신규식과 접촉하였는데, 민권보사의 핵심인물은 戴季陶였다. 이해 가을 환구중국학생회관에는 한인유학생을 위한 영어강습소가 설치되었고, 신규식과 申采浩도 이곳에 머문 것으로 파악된다. 또 1919년 봄 정원택은 환구중국학생회관측에 신규식과의 연락을 의뢰하였다(鄭元澤,<志山外遊日志>,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독립운동사자료집≫8, 1974, 364·374·438쪽). 또 1916년 중반 일제 정보자료는 “신규식·조성환·민충식 등에게 오는 서신·전신 등 미국에서 오는 것은 환구중국학생회를 통해 전달”된다고 파악하였다(≪독립운동사자료집≫9, 25쪽). 또 대계도가 이끌던 自由黨의 남경당사에도 한인유학생을 위한 중국어 강습반이 개설되었다(정원택,<지산외유일지>, 366쪽).
429)≪이광수전집≫13, 211·212·329쪽. 이 시기 상해에 머물렀던 洪命熹에 의하면, 신규식이 의식조차 해결하기 어려운 처지의 신채호를 블라디보스톡에서 상해로 데려왔으며, “이때 예관이 상해 조선인 중의 주인격이었습니다”라고 회상하였다(홍명희,<상해시대의 단재>,≪단재신채호전집≫하, 1982, 474쪽).
430) 배경한, 앞의 글, 53쪽.
431) 이에 대해서는 김준엽 편, 앞의 책, 72·291·292쪽.
432) 陳孝儀 主編,≪陳英士先生紀念集≫(臺北, 1977), 128∼129쪽.

莫永明·范然,≪陳英士紀年≫(南京大學出版社, 1991), 202쪽 재인용.
433) 민필호,<申圭植先生傳記>(김준엽 편, 앞의 책), 302쪽.
434) 삼균학회 편,≪소앙선생문집≫하(횃불사, 1979), 489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