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2. 해외민족운동4) 미주(1) 미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한인단체의 결성과정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1. 무단통치체제의 확립
          • 1) 총독지배체제의 형성
          • 2) 조선총독 지배하의 탄압기관
            • (1) 헌병경찰체제
            • (2) 사법기관
            • (3) 군대
        • 2. 식민지 수탈구조의 구축
          • 1) 토지조사사업과 토지수탈기반의 마련
            • (1) 토지조사사업의 전사
            • (2) 토지조사사업의 실시와 그 성격
            •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집적
          • 2) 수탈을 위한 농업정책과 한국농민의 고난
            • (1) 관권의 농사 개입
            • (2) 면화재배의 강요
            • (3) 식민지적 수탈의 강화
            • (4) 몰락 농민의 증가
            • (5) 한국농민의 저항
          • 3) 임야조사사업과 국유림의 창출
          • 4) 광업과 어업의 장악
            • (1) 광업의 장악
            • (2) 어장의 장악
          • 5) 금융·재정의 식민지적 재편
            • (1) 금융의 장악
            • (2) 재정의 재편
          • 6)<회사령>과 기업활동의 억압
            • (1) 한국강점 이전의 일본자본 침투
            • (2)<회사령>의 시행과 기업발흥의 억압
            • (3) 일본자본의 왕성한 침투
            • (4) 노동구조와 노동쟁의
          • 7) 교통·운수·통신의 지배
          • 8) 무역의 대일 종속
        • 3. 식민지 지배체제의 특질
          • 1) 일제의 조선침략과 식민주의
            • (1) 무단통치에 의한 지배체제 구축기(병합∼3·1독립운동)
            • (2) 회유정책에 의한 민족개량화기(3·1독립운동∼중일전쟁)
            • (3) 민족말살을 통한 전시강제동원기(중일전쟁∼패전)
          • 2) 조선 총독의 권력
          • 3) 식민지 통치구조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1. 국내민족운동
          • 1)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배경과 경향
            • (1) 배경
            • (2) 국내민족운동의 경향과 특징
          • 2) 의병계열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독립의군부
            • (2) 풍기광복단
            • (3) 민단조합
            • (4) 이증연의 비밀결사
          • 3) 계몽운동계열의 단체
            • (1) 기성볼단
            • (2) 조선국권회복단
            • (3) 조선산직장려계
            • (4) 단천 자립단
            • (5) 영주 대동상점
            • (6) 송죽회
            • (7) 애국창가집 편찬, 배포와 관련된 민족교육투쟁
          • 4) 혁명적 경향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광복회
            • (2) 선명당
            • (3) 흠치교의 비밀결사
            • (4) 청림교의 비밀결사
            • (5) 조선국민회
          • 5)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성격
        • 2. 해외민족운동
          • 1) 만주
            • (1) 북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2) 서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3) 북만 밀산부지역
          • 2) 러시아
            • (1) 러시아혁명 이전의 독립운동
            • (2) 러시아혁명 이후의 독립운동
          • 3) 중국 관내지역
            • (1) 한인의 이주와 한인사회의 형성
            • (2)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 구축
            • (3) 한인단체의 활동과 독립운동의 기반조성
          • 4) 미주
            • (1) 미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한인단체의 결성과정
            • (2) 통일연합기관 설치와 독립군기지 개척운동
            • (3) ‘합병’ 반대투쟁과 군인양성운동
            • (4) 국민국가 수립론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설립
          • 5) 일본
            • (1) 1910·20년대 재일 조선인의 상태
            • (2) 191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3) 2·8운동
            • (4) 192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Ⅲ. 3·1운동
        • 1. 3·1운동의 배경
          • 1)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국제정세
          • 2) 해방과 평등의 새로운 사조 등장
          • 3) 독립운동의 새 기운
          • 4) 국내 상황
            • (1) 식민지 지배의 압박과 고통
            • (2) 식민지 지배의 모순 격화와 민생 피폐
          • 5) 3·1운동의 태동
            • (1) 상해 신한청년단의 활동과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움직임
            • (2) 2·8독립선언
            • (3) 광무황제의 붕어와 인산
        • 2. 3·1운동의 전개
          • 1) 3·1운동의 초기 조직화
            • (1)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 (2)<독립선언서>준비
            • (3)<독립선언서>의 배포와 최후의 회담
          • 2) 3·1운동의 발발
            • (1)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2) 만세시위운동의 시작
            • (3) 국내의 만세시위운동
        • 3. 3·1운동의 해외 확산
          • 1) 중국 만주
            • (1) 북간도의 시위운동
            • (2) 서간도의 시위운동
          • 2) 러시아 연해주
            • (1) 러시아혁명과 연해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 (2) 파리 강화회의 대표파견
            • (3) 전로국내조선인회의
            • (4)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의 전개
            • (5) 국내진공 계획과 노인동맹단의 독립운동
          • 3) 미주
        • 4.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 1) 3·1운동에 대한 열강의 반응
            • (1) 중국
            • (2) 미국
            • (3) 영국
          • 2)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 (1)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 (2)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가. 하와이지역

 1903년 1월 13일 한인들은 하와이 호놀룰루(Honolulu) 와일루아(Waialua) 사탕농장에 배속된 것을 시작으로 개간·김매기·관개사업·사탕수수베기 등 하루 12시간씩 가혹한 중노동에 투입되었다. 이러한 하와이 사탕농장의 과다한 노동력 착취와 반노예적인 노동조건으로 말미암아 1910년까지 45명의 한인이 사망하였으며, 504명은 다시 한국으로 되돌아갔다.456) 그러나 하와이에 재류할 수밖에 없던 한인들은 가혹한 사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각 농장 단위별로 자치회를 구성하기 시작하였다. 1903년 8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洪承夏·尹炳求·李交倓·林蚩正·安定洙·林炯住·朴允燮·文鴻錫 등이 ‘同族團結·民智啓發·國政刷新’을 목적으로 최초의 정치단체인 新民會를 창립하자, 이후 한인들은 각 지방별로 洞會를 조직하여 친목 유지와 同族相愛에 주력하였다.457)

 1904년 2월 일제는 러일전쟁 도발 직후<韓日議定書>체결을 강제하여 한국을 식민지화하였다. 이어 일제는 4월 8일<한국보호권 확립의 건>을 통해 한국의 외교를 직접 담당하여 한국이 외국과 조약 체결을 못하도록 하고, 해외 한인을 일본의 감독·통제하에 둘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일제가 러시아를 비롯한 구미 열강으로부터 한국에 대한 독점 지배권을 승인·보장받음과 동시에 해외 한인들마저 일제 臣民으로 편입시켜 사전에 항일운동을 봉쇄하려는 정책이었다.458) 이러한 일제의 해외 한인 통치의도를 간파한 하와이 한인들은 한인사회 보호를 위해 1905년 1월 대한제국정부에 영사관 설치를 요구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일제는 대한제국정부에 압력을 가해 호놀룰루 주재 일본총영사를 대한제국 명예총영사로 위임하는 등 하와이 한인사회를 지배하기 위한 의도를 표출시켰다. 이에 분노한 한인들은 일본 영사의 감독을 거부하면서 5월 3일 하와이 오하우(Ohau)지방 에와(Ewa)농장에서 尹炳求·鄭元命·金聲權·姜永韶·金圭燮·이만춘 등이 에와친목회를 조직하고 日貨排斥 등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8월에는 하와이 한인들이 總代 李東鎬를 국내로 파견하여 外部에 영사 파견을 요청하였으나 을사조약으로 말미암아 수포로 돌아갔다.459)

 1905년 11월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일제는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 주재한 주미 한국공사관을 철폐하고 1906년 2월 주미 대리공사 金潤晶을 소환하였다.460) 또한 일제는 대한제국정부에 압력을 가해 “해외 한인은 어느 곳에 있던지 일본 영사의 보호를 받으라”고 명함으로써 사실상 해외 한인에 대한 일제의 통치권을 행사하려 하였다. 이에 에와친목회는 미 본토의 共立協會와 더불어 ‘在美韓人共同大會’를 개최하고 한국정부에<排日決議文>을 발송하는 등 항일운동을 본격화하였다. 이때부터 하와이 한인사회에서는 국권회복운동을 표방한 단체가 연이어 조직되었다. 1906년 3월 10일 하와이 오하우지방 와이파후(Waipahu)농장에서 安元奎·전도원·정상교 등이 患難相救·일화배척을 목적으로 와이파후공동회를 조직하였으며, 5월 10일에는 하와이 올라(Olaa) 3마일(mile) 농장에서 申判錫·공덕화 등이 배일운동과 동족상애를 목적으로 血成團을 조직하였고, 한달 뒤인 6월 4일에는 카와이(Kawaii) 막가윌리농장에서 송건·洪宗杓(후일 洪焉으로 개명)·高錫柱·李觀黙·이형기 등이 실력양성과 교육장려를 표방하며 自强會를 결성하였다. 또한 12월 2일에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閔燦鎬·李來洙·林正洙·任準鎬 등이 共進會를 조직하였다. 하와이 한인사회의 항일단체 조직은 1907년에 들어서도 계속되었다. 1907년 2월 3일 하와이 하비농장에서 정병섭·편성원 등이 동족상애와 일화배척을 목적으로 老少同盟會를 조직하였으며, 이틀 뒤인 5일에는 마우이(Maui) 카일루아(Kailua)농장에서 김재규 등이 항일운동과 일화배척을 목적으로 義成會를 결성하였다.461)

 1907년 7월 일제가 光武皇帝(高宗)를 강제 퇴위시키고 丁未條約을 강제 체결한 뒤<신문지법>·<보안법>·<軍隊解散令>등을 포고하자, 국내에서는 일제에 항거하는 의병전쟁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국내소식은 하와이 한인사회를 다시 격동시켰다. 1907년 7월 17일 마우이 가히기아농장에서 김건호 등이 대동단결·일화배척을 표방하며 國民團合會를 결성하였으며, 같은 해 7월 18일에는 하와이 파하윌로농장에서 金成玉 등이 무예장려·항일운동을 주창하면서 新幹會를 조직하였다. 또한 7월 20일 하와이 힐로(Hilo)지방에서 朴勝烈 등이 무예장려·실업장려·일화배척을 목적으로 實志會를 조직하였고, 22일에는 채극여·김봉기 등이 國民同盟會를 결성하였다. 그리고 8월 5일 마우이 하마구아 복구농장에서는 전백선·서성년 등이 인재양성과 일화배척을 목적으로 復興會를 조직하였고, 9월 3일에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金翊成·朴相夏·趙炳堯·최병현 등 성공회 교인들을 중심으로 대한제국 부흥운동과 교육장려를 목적으로 전흥협회를 조직하였다. 이외에도 하와이의 코나(Kona)·가파아(Kapaa)·하갈라우·호노카·파야·나와이·와일루아 등 7개 지방 동회에서도 항일운동·일화배척을 결의하면서 연이어 항일운동단체를 조직하였다.462)

 이처럼 하와이에서는 1907년 9월까지 항일운동과 동족상애를 목적으로 14개의 정치운동단체와 12개의 동회가 조직되어 한인사회 민족운동의 토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하와이 한인인구 4,000여 명 중 활동회원이 약 800여 명인데 비해 20여 개 이상의 단체가 난립하는 것은 국권회복운동 수행에 많은 걸림돌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공진회·에와친목회 등 한인단체들은 “조국의 국권회복운동을 후원하고, 재류동포의 안녕을 보장하며 교육사업을 증진”하기 위해 분립된 단체를 통합하여 통일기관을 설립하고자 하였다.463)

 1907년 9월 2일 각 지방 24개 단체 대표자 30명이 호놀룰루에서 합동발기대회를 개최하고 5일간의 회의 끝에 4개조의 합동결의안을 통과시킴으로써 하와이 한인의 통일적 정치운동기관인 韓人合成協會를 창립하였다. 한인합성협회는 10월 22일부터 기관지≪韓人合成新報≫를 발행하고, 47개 지방에 지회를 설립하여 1,051명의 회원을 확보하는 등 하와이 한인사회의 구심체로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464)

456) 金元容,≪在美韓人五十年史≫(캘리포니아 리들리, 1959), 8쪽에는 1910년 大韓人國民會에서 조사한 인구통계를 근거로 하와이 총이민자 7,226명 중 귀국자는 983명, 미 본토 이주자는 2,011명, 사망자는 45명으로 하와이에 재류한 한인은 4,187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盧載淵,≪在美韓人史略≫(로스앤젤레스, 1963:국가보훈처,≪獨立運動史資料集≫8집에 수록), 458쪽에 보면 이 중 479인은 하와이 도착시 부적격자로 판정되어 다시 한국으로 환송되었다 한다. 따라서 하와이 이주 후 거주자는 총 6,747명이며, 귀국한 사람은 504명이 된다.
457) 金度勳,<大韓帝國期 韓人의 渡美經緯와 在美韓人團體의 形成過程>(≪北岳論叢≫12, 국민대, 1994), 14∼16쪽.
458) 金度勳,<러일전쟁전후 일제의 조선침략과정>(≪殉國≫, 1993년 1월호), 110∼112쪽.
459) 김도훈, 앞의 글(1999), 92∼93쪽.
460) 盧載淵, 앞의 책, 476쪽.

≪共立新報≫, 1906년 2월 13일,<公使徹歸>.
461) 金元容, 앞의 책, 91∼92·262·310쪽.

≪共立新報≫, 1906년 12월 7일,<布哇共進會>·1907년 7월 12일, 雜報<共進會報 新刊>.
462)≪共立新報≫, 1907년 8월 9일, 雜報<국민동맹회>·9월 20일, 잡보<전흥협회 취지서>.

金元容, 위의 책, 54·92∼94·261∼262쪽.
463)≪공립신보≫, 1908년 2월 12일, 잡보<하와이발달>.
464)≪공립신보≫, 1907년 9월 6일, 잡보<하와이소문>·20일, 잡보<깃븐소식>.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