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2. 해외민족운동4) 미주(3) ‘합병’ 반대투쟁과 군인양성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1. 무단통치체제의 확립
          • 1) 총독지배체제의 형성
          • 2) 조선총독 지배하의 탄압기관
            • (1) 헌병경찰체제
            • (2) 사법기관
            • (3) 군대
        • 2. 식민지 수탈구조의 구축
          • 1) 토지조사사업과 토지수탈기반의 마련
            • (1) 토지조사사업의 전사
            • (2) 토지조사사업의 실시와 그 성격
            •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집적
          • 2) 수탈을 위한 농업정책과 한국농민의 고난
            • (1) 관권의 농사 개입
            • (2) 면화재배의 강요
            • (3) 식민지적 수탈의 강화
            • (4) 몰락 농민의 증가
            • (5) 한국농민의 저항
          • 3) 임야조사사업과 국유림의 창출
          • 4) 광업과 어업의 장악
            • (1) 광업의 장악
            • (2) 어장의 장악
          • 5) 금융·재정의 식민지적 재편
            • (1) 금융의 장악
            • (2) 재정의 재편
          • 6)<회사령>과 기업활동의 억압
            • (1) 한국강점 이전의 일본자본 침투
            • (2)<회사령>의 시행과 기업발흥의 억압
            • (3) 일본자본의 왕성한 침투
            • (4) 노동구조와 노동쟁의
          • 7) 교통·운수·통신의 지배
          • 8) 무역의 대일 종속
        • 3. 식민지 지배체제의 특질
          • 1) 일제의 조선침략과 식민주의
            • (1) 무단통치에 의한 지배체제 구축기(병합∼3·1독립운동)
            • (2) 회유정책에 의한 민족개량화기(3·1독립운동∼중일전쟁)
            • (3) 민족말살을 통한 전시강제동원기(중일전쟁∼패전)
          • 2) 조선 총독의 권력
          • 3) 식민지 통치구조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1. 국내민족운동
          • 1)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배경과 경향
            • (1) 배경
            • (2) 국내민족운동의 경향과 특징
          • 2) 의병계열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독립의군부
            • (2) 풍기광복단
            • (3) 민단조합
            • (4) 이증연의 비밀결사
          • 3) 계몽운동계열의 단체
            • (1) 기성볼단
            • (2) 조선국권회복단
            • (3) 조선산직장려계
            • (4) 단천 자립단
            • (5) 영주 대동상점
            • (6) 송죽회
            • (7) 애국창가집 편찬, 배포와 관련된 민족교육투쟁
          • 4) 혁명적 경향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광복회
            • (2) 선명당
            • (3) 흠치교의 비밀결사
            • (4) 청림교의 비밀결사
            • (5) 조선국민회
          • 5)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성격
        • 2. 해외민족운동
          • 1) 만주
            • (1) 북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2) 서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3) 북만 밀산부지역
          • 2) 러시아
            • (1) 러시아혁명 이전의 독립운동
            • (2) 러시아혁명 이후의 독립운동
          • 3) 중국 관내지역
            • (1) 한인의 이주와 한인사회의 형성
            • (2)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 구축
            • (3) 한인단체의 활동과 독립운동의 기반조성
          • 4) 미주
            • (1) 미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한인단체의 결성과정
            • (2) 통일연합기관 설치와 독립군기지 개척운동
            • (3) ‘합병’ 반대투쟁과 군인양성운동
            • (4) 국민국가 수립론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설립
          • 5) 일본
            • (1) 1910·20년대 재일 조선인의 상태
            • (2) 191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3) 2·8운동
            • (4) 192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Ⅲ. 3·1운동
        • 1. 3·1운동의 배경
          • 1)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국제정세
          • 2) 해방과 평등의 새로운 사조 등장
          • 3) 독립운동의 새 기운
          • 4) 국내 상황
            • (1) 식민지 지배의 압박과 고통
            • (2) 식민지 지배의 모순 격화와 민생 피폐
          • 5) 3·1운동의 태동
            • (1) 상해 신한청년단의 활동과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움직임
            • (2) 2·8독립선언
            • (3) 광무황제의 붕어와 인산
        • 2. 3·1운동의 전개
          • 1) 3·1운동의 초기 조직화
            • (1)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 (2)<독립선언서>준비
            • (3)<독립선언서>의 배포와 최후의 회담
          • 2) 3·1운동의 발발
            • (1)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2) 만세시위운동의 시작
            • (3) 국내의 만세시위운동
        • 3. 3·1운동의 해외 확산
          • 1) 중국 만주
            • (1) 북간도의 시위운동
            • (2) 서간도의 시위운동
          • 2) 러시아 연해주
            • (1) 러시아혁명과 연해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 (2) 파리 강화회의 대표파견
            • (3) 전로국내조선인회의
            • (4)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의 전개
            • (5) 국내진공 계획과 노인동맹단의 독립운동
          • 3) 미주
        • 4.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 1) 3·1운동에 대한 열강의 반응
            • (1) 중국
            • (2) 미국
            • (3) 영국
          • 2)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 (1)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 (2)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국민회의 군인양성운동

 1909년 6월 박용만의 한인소년병학교와 멕시코 崇武學校의 군인양성운동이 전개되는 것과 함께 미주에서도 1909년 6월부터 군인양성운동의 기치가 내걸렸다. 이미 중학교에서 무관학교 과정을 교수하고 있던 국민회 솔트레이크시티(Salt Lake City)지방회 독립군양성을 위한 학생양성소 설립이 그 시발점이었다.481) 그러나 이것은 한 지방회에서 조직한 운동이었으며, 국민회 차원의 군인양성운동이 본격적으로 표명된 것은 1909년 8월부터였다. 즉 국민회 주필 최정익은≪新韓民報≫, 1909년 8월 4일자에<大呼國民>이란 寄書를 통해 조속히 군인양성운동을 전개할 것을 촉구하였다.482) 그러나 당시 국민회는 해삼위지역에 독립군기지 개척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던 탓에 미주지역내 군인양성운동은 1910년 5월 이후에야 본격화되었다. 1910년 5월 국민회 산하 클레몬트(Clarement)학생양성소에서 매주 3일씩 야간 군사훈련을 실시한 것을 시작으로 6월에는 롬폭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등 이후 미주 각지에서 군사훈련 풍조가 일기 시작하였다.483) 이러한 미주 한인사회의 군인양성운동은 소위 합방반대운동이 전개되면서부터 더욱 가열되었다.

 1910년 7월 일제의 ‘합방’소식이 전해지자,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와 하와이지방총회에서는 각기 새크라멘토(Sacramento)와 호놀룰루에 지방 대표자들을 소집하여 공동대회를 개최한 후 愛國同盟團과 大同共進團을 조직하고 9개조와 6개조의 항일운동방침을 결정하였다.

 북미지방총회에서 결성한 애국동맹단은 7월 4일 결의안에서 ①일본이 국제공약을 무시하고 한국을 강탈하는 사실을 명문하여, 한국과<相互條約>을 체결한 중국·러시아·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태리·오스트리아 등 9개국 정부에 조약상 의무를 요청하기로 함, ②한국황제에게 일본의 무리한 ‘합방’ 요구를 끝까지 거절할 것을 상소하고 일본황제에게 우리의 합방 반대의사를 통지함, ③국내동포들의 비참한 실정과 倭賊의 不義行動을 탐지하기 위해 국내에 연락기관을 설치함, ④국내 실정을 탐지하는 대로 선전문을 작성하여 유럽 각지의 유력한 언론기관에 발표하여 국제여론을 환기시키는 데 노력함, ⑤국제공법과 선전문 작성에 기능있는 법률사를 고빙하여 외교서류와 선전문 작성을 위탁하되, 외교서류와 선전문은 대한인국민회의 명의로 발행함, ⑥각 도시에 사람들이 많이 群集하는 節日을 이용하여 선전대회를 열고 때때로 대내 선전문을 발행하여 동포의 애국정신을 고취함, ⑦먼저 외교선전과 군사인재 양성사업에 착수함, ⑧애국동맹단 사업경비는 일반동포의 特捐으로 충당하며, 임원은 민중 公選으로 선출하여 사무를 掌理케 할 것을 천명하였다. 특히 국내에 비밀통신기관을 설치하여 애국동맹단원을 모집할 것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이에 따라 북미지방총회에서는 외교를 포함한 군인양성운동을 민족운동방략의 하나로 적극 채택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할 것을 주창하였다.

 또한 대동공진단은 6개조의 결의안을 통해 ①우리 민족의 의사가 아니고, 왜적이 강압적 수단으로 만든 한일합방을 절대 반대하기로 결의함, ②한일합방 반대운동에 관한 모든 정책을 북미지방총회 결의안에 위반됨이 없게 행동일치를 도모함, ③한국황제와 일본황제에게 통지하는 서류는 이미 북미지방총회가 작성한 서류에 연서하여 우리의 태도와 책임을 같이하기로 함, ④외교와 선전사업은 대한인국민회가 擔責하고, 군인양성사업은 대동공진단에 일임하기로 함, ⑤각 지방에 양성소를 설립하고, 청년 동포로 하여금 의무적 兵式訓練을 받게 함, ⑥일반 운동의 경비는 동포의 愛國特捐으로 충당하고, 대동공진단 임원은 민중공선으로 선택하기로 하였다.

 이 결의들에 의해 애국동맹단은 단장 崔正益, 외교원 尹炳求, 서기 李元植, 번역원 李大爲, 掌財 許承元, 회계 曺成學 등을 선출하였고, 대동공진단은 단장에 鄭元明, 재무에 安元奎, 서기에 李來洙, 외교원에 閔燦鎬를 선임하였다.

 7월 6일 애국동맹단과 대동공진단은 연서로 한국황제 앞으로 전보를 보내 ‘合邦’ 거절을 촉구하는 한편, 일본 외무성을 통해 일본황제와 ‘駐韓統監’ 테라우치에게도 전보를 보내 ‘합방’ 취소와 선전포고를 하였다. 또한 애국동맹단은 통고문을 통해 세계 각국에 일제의 무력적 한국강점을 비판하는 외교선전에 주력하는 동시에, 遠東地域에서 독립전쟁을 전개할 사관생도양성을 결의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애국동맹단과 대동공진단은<武藝獎勵文>을 발표하여 미주 한인의 무예정신을 고취하는 한편,≪體操要旨≫를 출판·分給하여 청년들의 군사훈련을 장려하였다. 이에 따라 1910년 5월 이미 대한인국민회 산하 클레몬트학생양성소에 군사훈련반을 조직하여 군사훈련을 전개한 것을 필두로 동년 6월에는 롬폭에 義勇訓練隊, 11월에는 캔자스(Kansas)에 少年兵學院, 12월에는 와이오밍(Wyming) 슈페리오(Superior)에 靑年兵學院이 조직되어 매일 저녁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등 군인양성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또한 하와이의 대동공진단은 하와이 각 지역에 軍人養成所를 조직하고 군사훈련을 시작하였다. 군인양성소 설립 후 석 달 후인 1910년 11월 대동공진단이 군인양성소를 大韓人國民會 하와이지방총회로 이관하자, 하와이지방총회는 練武部를 조직하여 독립군 양성훈련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1910년 11월부터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연무부에서는 하와이 각 지역에 다수의 한인들이 거주하는 곳과 한인청년들로 하여금 매일 저녁에 목총을 메고 군사훈련을 받게 하였다. 이때 군사훈련에 참가한 한인들은 약 200여 명에 달하였다.484) 이후 하와이지방총회 연무부의 군사훈련은 박용만의 초빙으로 전환기를 맞이하며 본격적인 군사학교 설립으로 이어졌다.

481)≪新韓民報≫, 1909년 6월 23일, 잡보<쏠렉에 학생양성소 경영>.
482)≪新韓民報≫, 1909년 7월 28일, 잡보<무기배양>·8월 4일, 기서<大呼國民>에 大視生(崔正益)은 “대전쟁 대분투를 시작하여 국민의 권리를 찾고 의무도 다 할 때에 만일 무예가 서투르면 암만 의식이 풍족하고 학식이 비상할 지라도 강한 적국의 대포 아래에 실패를 당할 터이니 불가불 군무는 연습하여야 되겠소”라고 하여 군인양성운동을 적극 표명하고 있다.
483)≪新韓民報≫, 1910년 5월 18일, 논설<병법연습의 풍조>·잡보<조련을 힘씀>및 6월 29일, 잡보<롬폭에 독립군>.

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서는 군인양성운동을 전개하고 있던 클레몬트 학생양성소, 네브라스카 한인소년병학교, 멕시코 숭무학교, 하와이 마우이섬 기릭구지방에≪체조제요≫란 책을 발송하는 등 군인양성운동을 지지하였다(≪新韓民報≫, 1910년 5월 25일, 회보<북미총회보>).
484)≪新韓民報≫, 1910년 7월 7일, 호외<謹告我愛國同志諸君>·<決議文>·<合邦反對會議事錄>·<委員會議事錄>;7월 13일, 논설<救國策在外交軍事>;11월 2일, 잡보<서페리오연무회>.

金元容, 앞의 책, 339∼34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