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2. 해외민족운동5) 일본(2) 191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1. 무단통치체제의 확립
          • 1) 총독지배체제의 형성
          • 2) 조선총독 지배하의 탄압기관
            • (1) 헌병경찰체제
            • (2) 사법기관
            • (3) 군대
        • 2. 식민지 수탈구조의 구축
          • 1) 토지조사사업과 토지수탈기반의 마련
            • (1) 토지조사사업의 전사
            • (2) 토지조사사업의 실시와 그 성격
            •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집적
          • 2) 수탈을 위한 농업정책과 한국농민의 고난
            • (1) 관권의 농사 개입
            • (2) 면화재배의 강요
            • (3) 식민지적 수탈의 강화
            • (4) 몰락 농민의 증가
            • (5) 한국농민의 저항
          • 3) 임야조사사업과 국유림의 창출
          • 4) 광업과 어업의 장악
            • (1) 광업의 장악
            • (2) 어장의 장악
          • 5) 금융·재정의 식민지적 재편
            • (1) 금융의 장악
            • (2) 재정의 재편
          • 6)<회사령>과 기업활동의 억압
            • (1) 한국강점 이전의 일본자본 침투
            • (2)<회사령>의 시행과 기업발흥의 억압
            • (3) 일본자본의 왕성한 침투
            • (4) 노동구조와 노동쟁의
          • 7) 교통·운수·통신의 지배
          • 8) 무역의 대일 종속
        • 3. 식민지 지배체제의 특질
          • 1) 일제의 조선침략과 식민주의
            • (1) 무단통치에 의한 지배체제 구축기(병합∼3·1독립운동)
            • (2) 회유정책에 의한 민족개량화기(3·1독립운동∼중일전쟁)
            • (3) 민족말살을 통한 전시강제동원기(중일전쟁∼패전)
          • 2) 조선 총독의 권력
          • 3) 식민지 통치구조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1. 국내민족운동
          • 1)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배경과 경향
            • (1) 배경
            • (2) 국내민족운동의 경향과 특징
          • 2) 의병계열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독립의군부
            • (2) 풍기광복단
            • (3) 민단조합
            • (4) 이증연의 비밀결사
          • 3) 계몽운동계열의 단체
            • (1) 기성볼단
            • (2) 조선국권회복단
            • (3) 조선산직장려계
            • (4) 단천 자립단
            • (5) 영주 대동상점
            • (6) 송죽회
            • (7) 애국창가집 편찬, 배포와 관련된 민족교육투쟁
          • 4) 혁명적 경향의 민족운동단체
            • (1) 대한광복회
            • (2) 선명당
            • (3) 흠치교의 비밀결사
            • (4) 청림교의 비밀결사
            • (5) 조선국민회
          • 5) 1910년대 국내민족운동의 성격
        • 2. 해외민족운동
          • 1) 만주
            • (1) 북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2) 서간도지역의 민족운동
            • (3) 북만 밀산부지역
          • 2) 러시아
            • (1) 러시아혁명 이전의 독립운동
            • (2) 러시아혁명 이후의 독립운동
          • 3) 중국 관내지역
            • (1) 한인의 이주와 한인사회의 형성
            • (2) 중국혁명세력과의 연대 구축
            • (3) 한인단체의 활동과 독립운동의 기반조성
          • 4) 미주
            • (1) 미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한인단체의 결성과정
            • (2) 통일연합기관 설치와 독립군기지 개척운동
            • (3) ‘합병’ 반대투쟁과 군인양성운동
            • (4) 국민국가 수립론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설립
          • 5) 일본
            • (1) 1910·20년대 재일 조선인의 상태
            • (2) 191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3) 2·8운동
            • (4) 192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Ⅲ. 3·1운동
        • 1. 3·1운동의 배경
          • 1)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국제정세
          • 2) 해방과 평등의 새로운 사조 등장
          • 3) 독립운동의 새 기운
          • 4) 국내 상황
            • (1) 식민지 지배의 압박과 고통
            • (2) 식민지 지배의 모순 격화와 민생 피폐
          • 5) 3·1운동의 태동
            • (1) 상해 신한청년단의 활동과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움직임
            • (2) 2·8독립선언
            • (3) 광무황제의 붕어와 인산
        • 2. 3·1운동의 전개
          • 1) 3·1운동의 초기 조직화
            • (1)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 (2)<독립선언서>준비
            • (3)<독립선언서>의 배포와 최후의 회담
          • 2) 3·1운동의 발발
            • (1)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2) 만세시위운동의 시작
            • (3) 국내의 만세시위운동
        • 3. 3·1운동의 해외 확산
          • 1) 중국 만주
            • (1) 북간도의 시위운동
            • (2) 서간도의 시위운동
          • 2) 러시아 연해주
            • (1) 러시아혁명과 연해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 (2) 파리 강화회의 대표파견
            • (3) 전로국내조선인회의
            • (4) 독립선언과 시위운동의 전개
            • (5) 국내진공 계획과 노인동맹단의 독립운동
          • 3) 미주
        • 4.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 1) 3·1운동에 대한 열강의 반응
            • (1) 중국
            • (2) 미국
            • (3) 영국
          • 2)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 (1)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 (2)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유학생 단체

 1911년 조선총독부의<교육령>에서는 전문교육의 시기상조를 거론했고 중등교육의 ‘최상’을 얘기했다. 이에 따라 전문학교가 설립된 것은 1916년으로 이 해에는 경성전수학교와 경성의학전문학교의 설립을 거론할 수 있다. 1917년 연희전문·세브란스의전이 사립으로 설립되었다. 따라서 1919년 시기 대학 교육을 받고자 하면 일본 유학을 불가피하게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537)

연도 단 체 명
1896 조선인일본유학생친목회(東京)
1906 재일본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東京)

재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東京)
1907 早稻田大學조선동창회(東京)

재일본동경대학유학생학회(東京)
1909 재일본대한장학회(東京)
1911 재일본조선유학생친목회(東京)
1912 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東京)
1914 재판조선인친목회(大阪)
1915 조선여자친목회(東京)

반도웅변회(東京), 조선학회(東京)

京都조선유학생회(京都)

京都조선유학생친목회(京都)
1916 동맹합자회(大阪)
1917 東京노동동지회(東京)

호남친목회(東京)
1918 합동회재단(大阪)
1919 조선인兵庫간친회(兵庫)

조선인저금회(大阪)

<표>일본지역 조선인단체 결성 상황

(姜徹,≪在日朝鮮人史年表≫(雄山閣, 1983), 10 ∼38쪽;정혜경,≪일제하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연구-오사카지방을 중심으로-≫(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9) 참조).

 대한제국 시기부터 조선인 유학생들은 단체를 조직해 조직활동을 전개했는데, 1905년 이후 주요한 단체를 들면, 在日本東京朝鮮基督敎靑年會·大韓興學會·在日本朝鮮留學生親睦會·東京朝鮮留學生學友會·在阪朝鮮人親睦會·京都朝鮮留學生親睦會·東京女子親睦會·東亞同盟會·朝鮮學會·結盟兄弟會·東京勞動同志會·東洋靑年同志會 등538)이 있었다.

 이들 재일유학생이 단체를 결성하고 기관지를 발행하기 시작한 것은 1895년 大朝鮮人日本留學生親睦會였다. 이후 재일유학생들의 단체는 새로운 내용을 가졌는데, 1910년대의 경우 그 내용이 반일로 귀결되어 갔다. 이 가운데 몇몇 주요 단체에 대해 살펴보자.

 경도조선유학생친목회는 1915년 1월 24일 김우영 주도로 20여 명의 유학생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활동을 시작해 2개월에 한번씩 모임을 가졌다. 재판조선인친목회는 강만형·정태·부남희·신태균·나경석 등이 주도했는데, 노동자의 구조를 외형상의 목적으로 내걸며 반일의식을 고취했다.539)

 동경여자친목회는 김필례·나혜석의 발기로 李光洙·전영택의 후원 아래 조직되어 재일여성계의 주도세력이 되었는데,540) 김마리아·황애시덕 등이 2·8운동에 적극 관여했던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541) 동아연맹회는 金明植·김도연·양원모·최팔용·전익지·홍진의 등이 활동했고, 이들은 전술한 재일단체를 지도하기도 했다.542) 조선학회는 이광수·신익희·김양수·장덕수·최두선·서춘·나용균·현상윤·전영택·김도연·백남훈 등이 활동했는데, 외형상으로는 조선에 대한 일반학술의 연구를 내걸었고, 내용상으로는 반일의식 고취를 선도했던 일은 잘 알려져 있다. 조선학회의 경우 회원 2인 이상의 보증이 있어야 입회가 가능했고, 공식적으로는 사무실을 운영하지 않았다. 이 단체의 구성원은 2·8운동을 주도했으며, 3·1운동을 일으키는 데 유력한 세력이 되었다.

 그런가하면 재일유학생들은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의 회관을 널리 사용했다. 즉 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를 비롯한 조직은 모임의 회장으로 이곳을 빈번히 사용했고, 따라서 이곳에 있던 재일본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이하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는 재일유학생운동의 메카와 같이 되었다.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는 1903년 창립된 皇城基督敎靑年會의 일본지역 조선인 조직으로 1906년 설립543)된 이후 반일투쟁의 구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2·8운동 이후는 거의 반년 이상을 옥중의 동지 구원에 전력했던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2·8운동과 3·1운동이 있던 1919년 시기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의 간부는 회장 피셔, 부회장 김준연, 간사 백남훈, 서기 장영규, 종교부장 임종순, 교육부장 김종필, 체육부장 원달호, 친접부장 박형병, 홍제부장 정래길 등이었다. 이러한 인적구성은 학우회의 주요 성원과 중복되기도 했다.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는 월례회를 계속했고, 1920년 10월에 가서는 55명의 신입회원을 맞이하면서 새롭게 조직을 정비할 수 있었다. 당시 청년회의 주요 사업은 기관지의 발행, 대중 강연의 개최, 조직의 정비, 회관 건립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는 2·8운동 주도세력의 구원활동을 담당했다. 2·8운동의 과정에서 주모자로 검거, 구속되어 형을 언도 받은 崔八鏞·徐椿·金度演·金喆壽·宋繼白·金尙德·白寬洙·崙昌錫·李琮根 등에 대해서는 구원활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2·8 관련자들이 검거되어 미결로 있는 동안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의 간사 白南薰은 침구와 사식을 옥에 들여 보냈고, 기금도 모집했다.

 이상과 같은 재일단체를 만들었던 유학생을 이광수는<東京雜信>에서 세가지로 분류했다. 첫째, 세계대세와 현대문명을 일부분은 이해하고 또 전부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둘째 세계와 현대문명을 모르고 관리로 출세할 것만을 생각하는 사람, 셋째 남이 유학하니 나도 유학한다고 하는 사람이었다.

 1910년대 당시 재일유학생 내부에서는 국권회복을 부르짖으며 비분강개를 털어놓는 사람이 절대 다수는 아니었다. 이러한 사람이 본격적으로 늘어난 것은 1917년 후반부터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를 생각할 수 있는데, 국제정세의 변화 가운데 러시아혁명의 성공, 그리고 일본 내 1918년 8월 쌀소동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재일유학생들은 본격적인 반일투쟁을 준비했다. 그 투쟁은 1919년 2월 8일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듯이 1919년 2·8운동을 내용적으로 주도한 세력은 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이하 학우회)였다. 학우회는 대한흥학회의 후신으로, 1911년 조선유학생친목회가 결성되었고, 이것이 다음해 3월 해산당하자, 유학생들은 종래의 도별 유학생 구락부를 기초로 하여 1912년 10월 학우회 조직에 성공했던 것이다. 이 회는 재일유학생이 조직한 단체 중 세력이 가장 컸으며, 처음 유학간 학생들은 반드시 이 회에 가입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 그리고 학우회 회원간에 교제를 하지 않는 자는 ‘일본의 개’로 취급받았다.544)

 학우회는 임시총회 및 웅변회, 졸업생 축하회, 신도래학생환영회, 운동회 등을 통하여 배일사상을 고취했고, 아울러 기관지≪학지광≫을 발간하여 유학생 뿐만 아니라 국내 학생에게도 신사상과 반일사상을 고취했다.

 창립 이후 1919년 2·8시기까지 학우회의 정치적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중심적으로 운영에 참가하였던 인물을 열거하면, 제1그룹은 안재홍·신익희·백남훈·정노식·장덕수·현상윤·송진우·김성수·주종건·최두선·신석우 등이었다. 제2그룹은 2·8선언의 서명자들인 최팔용·김도연·이광수·김철수·백관수·윤창석·이종근·송계백·최근우·김상덕·서춘 등이었다.

 특히 2·8운동이 일어나기 1년 전에는 더욱 운동단체로의 조직이 강화되고 활동에 있어서도 내용성을 채워갔다. 1918년 2월 10일 정기총회 당시 역원들은 회장에 이공영, 총무에 이춘숙, 편집부장에 최팔용, 서무부장에 김안식, 운동부장에 이종근, 문서부장에 이세화, 그리고 평의원에는 윤창만·노익근·최팔용·성원경·서춘·민병세·김도연·김철수·이종근·고지영 등을 임명했다. 이후 이들의 상당수가 2·8운동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학우회에 망라된 유학생들은 1918년 4월 3일 운동회에서 조선지도를 그려놓고 한글로 단군의 소유라 하고, 단군의 기상이란 가장행렬에서는 을지문덕·정몽주·이순신·논개 등을 등장시키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1918년 10월 26일 학우회 주최의 신도래학생환영회에서 김준연·김철수·백남규 등은 한결같이 민족의식을 강조하는 연설을 했으며, 11월 10일 반도웅변회에서는 이춘균·민영길 등이, 16일의 조선학회 강연회에서는 노익근이 시종일관 독립의식을 고취했다. 또한 같은해 12월 22일 학우회 편집부 주최의 연합웅변회에서는 계인상·김한근·성세풍·이병화·김환·김상덕·서춘 등이 민족자결론을 피력했다. 물론 여기에는 조선의 자주독립이 전제되어 있었다. 그리고 11월 30일 각급 학교 연합웅변회에서도 김범수·이응수·최원순·안성호 등이 시사문제를 언급하고 자주독립을 위한 민족자결론을 피력했다.

 이렇게 학우회는 다양한 형태의 집회를 통해 조선독립을 대중적으로 선전하고 조직의 강화를 도모했으며, 조선독립을 갈망하는 대중적 열기를 응집시켜 나갔다.

537) 조선총독부 학무국,≪조선교육요람≫, 111∼118쪽.
538)<朝鮮人槪況>, 대정 5·7·9년(朴慶植 編,≪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1, 三一書房, 1975).
539)<朝鮮人槪況>, 대정 5년(朴慶植 編,≪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1, 三一書房, 1975), 49쪽.
540) 박정애,<1910∼1920년대 초반 여자일본유학생 연구>(숙대 석사논문, 1999), 27쪽.
541) 長久保宏人,<二·八獨立宣言への道-1910年代後半の在日朝鮮人留學生運動->(≪福大史學≫), 26∼30쪽.
542)<朝鮮人槪況>, 대정 7년(朴慶植 編,≪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1, 三一書房, 1975), 67쪽.
543) 와이.유.엔,<在日本東京朝鮮基督敎靑年會略史>(≪使命≫10, 1936), 93쪽.
544) 김인덕, 앞의 글.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