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4) 물산장려운동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2)1920년대 후반기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청년회 운동

 앞서 본 것처럼 1920년의 초기 문화운동은 ‘신문화건설’을 주창하였다. 그리고 신문화건설의 방법론으로서 제시된 것은 신교육보급·수양·풍속개량·농촌개량의 네 가지였다. 이러한 주장들은 1921년 경부터 본격 대두한 실력양성론과 함께 이후 ‘문화운동’의 주요 슬로건이 되었다. 여기서 수양이 강조된 것은 사회의 개조를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개인의 개조, 즉 수양이 필요하다는 논리 위에서였다. 풍속개량은 구관습개혁으로 표현되기도 했는데, 여기서 구관습은 관혼상제, 반상의 관습과 의식, 조혼, 의복, 지방관념, 무조건적인 노인숭배관념, 가족주의, 노동천시풍조 등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농촌개량은 농촌에서의 교육·산업·도덕·관습 등 모든 분야에 걸친 개량을 의미했다.

 이와 같은 문화운동의 주된 실행기관으로 설정된 것은 청년회였다. 청년회는 3·1운동 이전에도 비록 소수이지만 존재했었다. 그러나 1919년 말부터 1921년 사이 전국 각지에서 청년회 설립 붐이 일어나 청년회는 엄청난 수로 증가하였다.<표 1>은 전체 사회단체 가운데 청년회가 차지한 비중과 그 급격한 증가추세를 잘 보여준다.

연도 정치

사회
노동 소작

인회
청년회 종교

청년회
금주 수양 사교 부인회 산업 교육
1920

1921

1922
11

18

19
33

90

81
0

3

23
251

446

488
98

226

271
46

71

75
25

126

84
1

201

146
12

15

29
83

189

195
19

64

114

<표 1>1920년대 초 각종 사회단체 현황

*<조선인단체조사비교표>(≪조선치안상황≫, 1922년), 179∼180쪽.

 <표 1>에서 보는 청년회 외에도 수양·사교·금주 등의 단체도 사실은 청년회와 성격을 거의 같이하는 단체였다. 당시 청년회는 ‘청년구락부’·‘청년수양회’ 등의 각종 명칭으로 조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종교단체 안에도 엡웟청년회 등 청년회에 포함될 수 있는 것들이 많았다. 종교계의 청년회를 제외하더라도 이 시기 설립된 청년회는 약 500∼600개에 달하였다.

 각 도별 청년회의 분포는<표 2>와 같다. 여기서 보면 황해도와 전남·경남북의 청년회 수가 다른 도에 비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연 도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황해 평북 평남 강원 함북 함남
1920

1921

1922
2

22

14
10

10

12
13

17

22
24

30

13
28

44

84
20

49

54
29

58

66
44

78

91
21

14

13
28

33

39
15

15

24
11

57

28
6

19

28
251

446

488

<표 2>각 도별 청년회 분포상황

*≪조선치안상황≫(1922), 179쪽.

 이 시기 조직된 청년회는 대체로 이른바 ‘유지청년’들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일부 청년회는 3·1운동에 참여한 청년들이 주도한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들 청년회 가운데 일부는 겉으로는 ‘수양’을 내걸고 속으로는 대중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평안남도 지사는 1921년 4월 도지사회의에서 “작년 3·4월 경부터 종교에 관계된 청년회 및 보통청년회가 앞을 다투어 각지에서 설립되어 작년 말 즈음에는 본도 내에 124개 단체, 회원 1만 3,088명을 헤아리게 되었다. 그 가운데 온건한 단체는 겨우 27개에 지나지 않고 대개 겉으로는 청년의 품성향상을 목적으로 한다고 말하고 있으나 이면은 모두 불온한 것이다. 그 단체의 牛耳를 잡고 있는 자 가운데 다수는 위험인물 혹은 전과자들로서 자주 강연회 등을 열어 기교한 언사를 농하여 인심을 미혹하게 하였다. 그런데 근래는 민심이 안정됨에 따라서 불온분자의 청년회는 점차 해산하고 지금은 선량한 것이 남아있는 실정이다”고 말하였다.011) 또 일부 청년회는 독립운동을 위해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연락을 취하려 하다가 적발된 경우도 있었다. 평안북도 회천군 신풍면의 청년회가 그러한 예였다.012)

 당시의 청년회들이 내면적으로는 민족의식 고취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할지라도, 그들은 외면적으로는 대부분 ‘문화운동’의 취지에 따라 수양·농촌개량·풍속개량 등을 주요 사업으로 설정하였다. 즉 ① 수양을 위한 지·덕·체의 함양, ② 풍기의 개선, 즉 교풍, ③ 실업의 장려, ④ 공공사업의 지원 등을 설립목적으로 내걸고 있었다. 특히 ‘유지청년’들이 주도하던 청년회는 ‘민족의식’ 고취보다는 ‘문화운동’에 더 관심이 많았다. 당시 청년회를 적극 후원, 지도하고 있던≪동아일보≫도 청년회의 목적이 신사회의 건설(사회의 혁신), 지식을 천하에 구함, 일치단결, 德·義의 존중, 신체건강, 산업의 진흥, 세계문화에의 공헌 등에 두어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013)

 이같은 취지에 따라 당시 청년회는 주요 사업으로서 지·덕·체의 함양을 위한 신문·잡지의 구독 열람, 강연회·토론회·야학의 개최, 運動會·遠足會 등의 개최, 민풍개선 사업, 농촌개량사업 등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사업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사업은 강연회·토론회·야학·운동회 등이었다. 강연회와 토론회는 ‘문화운동’의 취지를 설명하고, 대중들의 의식을 깨우치려는 가장 중요한 장으로서 활용되었다. 물론 부분적으로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장으로도 활용되었을 것이다.

 전국 각지에서 청년회가 우후죽순처럼 설립되기 시작하자≪동아일보≫는 곧 각지 청년회의 연합을 제창하고 나섰고, 1920년 6월 28일 서울에서 각계 인사 53인이 모인 가운데 ‘전조선청년회연합회’가 발기되었다. 청년회연합회는 그 주의로서 “吾人은 세계개조의 기운에 순응하여 各人의 天賦한 생명을 창달하며 민족의 고유한 生榮을 발휘”할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리고 7가지 강령을 내놓았는데 그것은 사회를 혁신함, 지식을 널리 구함, 건전한 사상으로 단결함, 德義를 존중함, 건강을 증진함, 산업을 진흥함, 세계문화에 공헌함 등이었다.014) 청년회연합회는 뒷날 이에 대해 설명하면서 위의 ‘사회를 혁신함’이란 구습·폐습의 개혁을 의미하며, ‘건전한 사상으로 단결함’이란 인격수양·지식교환·문화발전주의를 중심으로 단결하며, 정치적 의미는 추호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015)

 1920년 12월 2일 조선청년회연합회는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창립 당시 이 회에는 모두 224개 청년회가 회원단체로 참여하였다. 창립대회 직후의 간담회에서 安廓·張德秀·李秉祚 등이 “우리 청년회는 오직 수양을 목적하는 것이 제일주의이니 신중하야 他에 간여치 않는 범위 내에서 인격을 自成하기를 노력”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연합회의 수양단체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하였다.016)

 그러나 청년회운동은 1921년 초에 들어서면서 주춤하기 시작하여 점차 그 활동이 침체상태로 들어갔다. 각 단체는 통상회가 열리는 날 출석자가 전 회원의 3분의 1도 되지 않아 개회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늘어갔고, 회비 수납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같은 활동 부진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주도층에 있었다. 당시 청년회를 이끈 주도층은 이른바 ‘유지청년’들로서 그들은 청년운동에 대한 확고한 전망이나 의지도 없이 분위기에 휩쓸린 지식청년들이거나, 아니면 청년회장 등 명예를 탐낸 지방유지들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假志士 假紳士’로 비판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청년회가 다시 활성화된 것은 1923년 봄 각지의 청년회에서 혁신운동이 일어나고, 그들이 그해 3월 말 서울청년회의 주도하에 열린 조선청년당대회의 깃발 아래 모이면서부터였다. 조선청년당대회에 참여한 청년회는 모두 94개 단체였는데, 이들은 이 대회 이후 점차 청년회의 운동방향을 사회주의운동쪽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였다. 그해 4월 초에 열린 조선청년회연합회의 4회 총회에 참여한 청년회가 겨우 35개 단체에 지나지 않았던 것은 당시 청년회운동의 추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같은 청년회운동의 방향전환은 이 시기 전개되고 있던 민립대학기성운동과 물산장려운동의 지방조직이 무너진 것을 의미하였다. 청년회운동은 이제 실력양성·수양·구습개량 등의 ‘문화운동’에서 벗어나 사상운동, 노동·농민운동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었다.

011) 朝鮮總督府,≪道知事會議速記錄≫(1921. 4), 44쪽.
012)≪동아일보≫, 1921년 5월 26일,<독립을 목적한 청년회원>.
013)≪동아일보≫, 1920년 7월 9일, 논설<청년회연합에 대하야 각지 同會에 更告하노라>.
014)≪동아일보≫, 1920년 7월 16일.
015) 吳祥根,<聯合會와 主義 綱領>(≪我聲≫1, 1921. 3), 16∼21쪽.
016)<聯合會 彙報>, 위의 책, 9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