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Ⅰ. 한국사의 바른 이해2. 한국사와 세계사

민족 문화의 이해

우리 조상들은 유구한 역사를 거치면서 슬기를 발휘하고 노력을 기울여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우리 문화는 다른 어느 민족의 그것과도 구별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보편적 가치를 추구해 온 문화이다.

선사 시대에는 아시아의 북방 문화와 연계되는 문화를 이룩하였고, 그 후 중국 문화와 깊은 연관을 맺으면서 독자적인 고대 문화를 발전시켰다. 고려 시대에는 불교를 정신적 이념으로 채택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유교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문화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불교와 유교는 외래 사상을 그대로 들여온 것이 아니라, 이를 한국화하고 토착화시킴으로써 한국 사상으로서의 개성을 확립하였다. 즉, 우리 조상들은 불교와 유교를 소화하여 우리 것으로 만들었다. 튼튼한 전통 문화의 기반 위에서 선진적 외래 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민족 문화 발전의 열쇠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민족 문화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안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민족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민족 문화를 보존함과 아울러 이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려는 자세를 가져야 하겠다.

흔히 현대를 세계화 시대라고 한다. 이는 정보 통신 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점점 세계는 긴밀해지고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세계화 시대의 역사 의식은 안으로 민족 주체성을 견지하되, 밖으로는 외부 세계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개방적 민족주의에 기초해야 한다. 내 것만이 최고라는 배타적 민족주의도, 내 것을 버리고 무조건 외래의 문화만 추종하는 것도 모두 세계화 시대에는 버려야 할 닫힌 사고이다.

아울러 세계화 시대의 시대적 요청은 인류 사회의 평화와 복리 증진 등 인류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려는 진취적 역사 정신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도움글

우리 나라 불교와 유교의 특수성

한국 불교는 현세 구복적이고 호국적인 성향이 남달리 강하며, 한국 유교는 삼강오륜의 덕목 중에서도 충, 효, 의가 강조되었다. 이는 우리 조상이 가족 질서에 대한 헌신과 국가 수호, 그리고 사회 정의 실현에 특별한 애정을 지녔음을 보여 주는 것이며,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비타협적이고 배타적 경향이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는 중국의 유학이 인(仁)을 중심 개념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관용을 존중하는 것과 대비된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