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Ⅲ. 통치 구조와 정치 활동2. 중세의 정치

심화 과정

중세 사회의 성립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의 통일은 단순한 왕조 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대 사회에서 중세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고려는 정치적, 문화적, 사상적으로 신라 사회에 비하여 질적으로 변화, 발전된 사회이기 때문이다. 고려는 우선 사회를 이끌어 가는 지배 세력이 교체되어 폐쇄적인 사회가 보다 개방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하여 정치와 사회를 이끌어 가는 이념도 변화하게 되었으며, 문화의 폭과 질이 크게 높아져 중세 문화를 성립시켰다.

한편, 고려에서는 강렬한 민족 의식이 국가 사회를 이끌어 나갔다. 이러한 민족 의식은 외세의 간섭 없이 민족의 통일을 이룩하였다는 자신감과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기 위한 북진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방 유목 민족과 항쟁하면서 더욱 성장하였다.

1.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을 중세 사회의 성립으로 보는 이유를 분석해 보자.

2. 고려가 외세의 간섭 없이 자주적으로 민족의 통일을 이룩할 수 있었던 당시 국제 정세를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원의 간섭과 고려의 개혁

① 원 간섭기에 고려는 사회⋅경제적 모순의 심화와 이에 따른 백성의 저항에 대응하여 개혁을 추진하였다. 충선왕은 토지 제도와 수취 제도에서 발생한 폐단을 시정하려 하였다. 그러나 아직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세력이 성장하지 못하였으며, 원의 간섭을 인정한 상태에서 개혁을 통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강화하려 한 국왕의 태도 등으로 인하여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충목왕 때에도 권세가들의 경제 기반을 약화시키려는 개혁이 추진되었으나, 역시 권문세족의 반발과 원의 간섭으로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공민왕 즉위 이후에도 원의 간섭은 여전하였고, 친원파 역시 건재하였다. 공민왕은 친원파를 관직에 기용하지 않는 등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이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현실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였다. 때마침 원에서 기 황후의 아들이 황태자에 봉해지자, 이러한 추세는 더욱 심해졌다. 이를 계기로 기철의 권력이 공민왕을 압도할 정도로 커졌고, 그의 일족과 친원파의 정치적 지위가 크게 높아졌다.

1. 충선왕충목왕의 개혁이 실패한 원인을 살펴보자.

2. 공민왕의 개혁이 성공할 수 없었던 국내의 정치 상황을 추론해 보자.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