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단원 1. 원시 시대의 생활

Ⅲ. 고조선의 사회

우리 민족의 원시 생활

아득한 옛날 우리 민족은 대륙 북방을 거쳐서 만주 지방으로 이동해 왔다. 우리들의 풍습에 만주 지방⋅몽고 지방⋅화뻬이 지방과 공통되는 점이 있는 것은 그 까닭이다.

인종을 나누는 방법에 의하면 우리 민족은 원시 퉁구스족에 속하며, 그 한 갈래인 대한족이다. 만주 지방에 들어오면서 목축 생활로부터 농업 생활로 바뀌고, 또 이 때가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변천하던 과정이라고 생각된다. 만주 지방과 함경 북도에서 구석기가 약간 발견되기는 하였지만, 한반도 안에서는 주로 발달된 마제 석기(磨製石器)가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우리 민족이 남만주 평야와 한반도 부근에 널리 퍼져 살게 된 시기는 이미 신석기 시대로 들어온 때라고 할 수 있다.

만주에서 발굴된 토기   

농업을 하는 정착 생활에 들어가면서 바닷가에 사는 사람과 평야에 사는 사람과 또는 산골에서 사는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서로 달라지고, 풍습이나 성격에도 차이가 생겨났다.

이 때에는 아직 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같이 이동해 온 집단이 한 곳에 모여서 살았는데, 주로 핏줄기로 얽혀진 씨족 사회를 이루었다.

우리 겨레는 동시에 우리 땅에 들어온 것이 아니라 오랜 동안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한반도로 들어와서 제각기 살기에 알맞는 곳에 자리잡고 살았다.

씨족 사회가 우리들에게 남겨준 유물로는 고인돌과 선돌, 그리고 해안 지방의 조개묻이가 있다. 연모로는 돌로 만든 도끼⋅칼⋅창⋅송곳⋅화살촉 등이 있으며, 동물의 뼈로 만든 것도 발견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항아리⋅병⋅접시와 같은 토기인데, 빗살무늬 토기나 무늬 없는 토기 등은 다른 지방의 문화와 비교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빗살무늬 토기   
고인돌   

건국 이념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역사가 오래된 민족에는 건국 이념이 있다. 민족 신화는 단일 민족에게 단결심을 주고 공동의 조상에 대한 애착심을 갖게 하는 까닭에 세계 어느 민족이든지 자기들의 시조를 자랑한다. 우리 나라 단군의 건국 설화는 곧 우리의 시조 이념이다. 기록에 의하면 단군은 대동강 부근에 나라를 세우고 이름을 조선이라 하였고, 가까이 있는 씨족을 포섭하여 차츰 넓은 땅을 차지하고 농업도 발달시켜서 오랜 세월을 평안하게 지냈다고 한다.

고조선이 계속되는 동안은 제정 일치(祭政一致)의 시대로서 단군은 정치를 맡아 보는 동시에 제사도 받드는 어른이었다. 그 후 중국 문화의 영향도 받아 대동강 일대는 만주와 한반도에서 으뜸 가는 문화를 가지게 되었다.

고조선의 변천

작은 무리로 된 씨족들이 모여서 부족 국가로 발전시켰다. 부족 국가에서는 다스리는 사람이 있고 사회 규칙이나 제도가 생겨났는데, 죄를 지은 자에 대하여는 여덟 조목의 금법(禁法)으로써 매우 엄하게 다스려서, 이 때부터 정치와 제사는 차차 분리하게 되었다.

하천 유역에 자리잡은 고조선은 농업으로 출발하였다. 성격이 결백하여 깨끗한 흰 옷을 입기 좋아하는 민족이었으며, 농업의 발달뿐 아니라, 이 때에는 이미 누에치기도 하였다고 하니 중국 대륙과의 문화 교류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차 세력이 자라난 고조선은, 한 때 랴오허 강(遼河)에 이르는 넓은 땅을 지배하고 반도 안에서 으뜸 가는 부족 국가가 되었으나 B.C. 2세기에 이르러 위만(衛滿)이 나라를 차지하고 약 90년 동안 고조선을 지배하였다. 위만은 나라 이름을 그대로 조선이라고 불렀고 문화나 풍습도 그대로 이어 받았으나, 그 후 B.C. 108년에 이르러 중국에서 일어난 한(漢) 나라에 눌려 고조선은 무너지게 되었다.

다른 부족 국가들

대동강 유역에서 고조선이 훌륭한 문화를 이룩하고 있을 때, 북쪽에는 부여(夫餘)와 고구려(高句麗)가 일어나 고조선에 못지 않은 큰 부족 국가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중국과 가까와서 그 영향을 직접 받았으며, 중국 역사책에도 그들의 생활 모습이 기록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쑹화 강(松花江) 유역에 있던 부여와, 만포진 건너에 있던 고구려는 서로의 사회 풍습이 거의 비슷하였으나, 부여는 농업을 주로 하였고, 고구려는 수렵을 더 많이 하므로 성격이 용맹스러워 한(漢) 나라 세력을 차차 몰아내고 큰 나라로 자라났다.

동쪽 함경도 해안에는 옥저(沃沮)가 있었고, 강원도 북쪽에는 동예(東濊)가 부족 국가를 이루었다. 이들도 모두가 농업을 주로 하는 정착 생활을 하였으나, 세력이 강하지를 못하여 고구려에 눌려 지내는 형편으로 소금이나 생선을 바쳐 가며 평화를 유지하고 살았다.

남쪽 지방에는 진한(辰韓)⋅마한(馬韓)⋅변한(弁韓)이 각각 서쪽⋅동쪽⋅남쪽의 지역을 차지하였는데, 이들은 작은 마을들이 모여 이루어진 부족 국가의 연맹체(聯盟體)였다.

여러 부족 국가   

이 시대의 풍습

이 시대의 여러 가지 풍습 중 어떤 것은 오늘날까지도 우리들의 생활 속에 전해 내려온다. 가을이 되면 부족 국가에서 한결같이 추수 감사절을 지냈는데, 부족에 따라 동맹(東盟), 무천(舞天) 또는 영고(迎鼓)라고 불렀다. 이 시대에는 제사 지내는 것과 정치하는 일을 함께 중히 여겼는데, 삼한에서는 제사 지내는 장소를 소도(蘇塗)라고 하여 방울과 북을 단 큰 나무를 중심으로 신단(神壇)을 세우고 제사를 올렸다.

경제 생활이 발달되면서 상호(上戶)와 하호(下戶)가 구별되고 법률도 더 엄격하여져 살인자는 죽이고 도둑질하는 자는 12배의 물건을 배상시켰다.

이들 여러 나라에서는 오곡을 두루 심고 누에치기도 하였으며, 남쪽에서는 철이 생산되어 왜국에까지 팔았다. 북쪽에서는 귀틀집이라는 집을 짓고 온돌방도 만들고 살았으며, 남쪽에서는 움집을 많이 지었다. 의복은 곳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재료는 대개 베(貊布)를 사용하였고, 상투를 트는 습관이 있었다.

고조선 시대의 귀틀집 도   
온돌 자리(함경도 지방)   

우리 민족은 여러 개의 부족 국가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같은 핏줄기였으므로 사회의 제도나 풍습에는 큰 차이가 없어 비교적 사이 좋게 지냈다. 대동강 유역은 한때 이민족이 자주 침범하였으나 여러 부족들이 한결같이 단결하여 이를 물리칠 수 있었다는 것은 동족 의식이 강하였기 때문이다.

《주요 용어》

퉁구스족, 씨족 사회, 부족 사회, 부족 연맹, 고인돌, 선돌, 조개묻이, 건국 이념, 여덟 조목의 금법, 위만, 영고, 무천, 동맹, 소도

◇ 연습 문제 ◇

1. 고조선의 생활 풍습은 어떠하였는가?

2. 다른 나라의 건국 이념을 알아 보고 우리 나라의 건국 이념과 비교하여 보자.

◇ 학습 활동 ◇

2학년이 되면서 처음으로 세계의 역사를 배우기 시작하여 이제 첫 단원을 끝냈다. 사람들이 처음으로 문화를 이루기까지에는 많은 고생을 하였으며, 그 고생을 이겨낸 민족이 먼저 문화를 발달시켰음을 알았다.

원시 시대의 문화를 배우고 나서 우리는 비로소 할 일이 많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원시 시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활동을 하여 보자.

1. 이웃에 계신 노인들에게 여쭈어 우리 고장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나 고유한 풍속 등을 모아 발표회를 가져 보자.
2. 우리 고장의 문화재를 조사하고 그러한 문화재들은 어떤 역사를 지니고 있는가를 알아 보자.
3. 우리 나라 여러 고장에 있는 원시 문화의 유적을 조사하여 보자. 또 그 물건들은 어떤 필요성에 의해서 만들어졌는가를 연구해 보자.
4. 박물관에 찾아가 기왓장⋅비석 조각⋅부싯돌⋅석기⋅토기 등 원시 문화의 유물을 실지로 보고, 그것들이 사용되었던 대강의 연대를 알아 보자.
5. 다음에 관한 그림이나 사진을 모아 전시회나 발표회를 가지자.
   ① 고인돌, 조개묻이, 선돌, 무늬 있는 토기, 귀틀집
   ② 영고, 동맹, 무천, 소도.
6. 도서관에 찾아가 일찌기 원시 문화가 일어났던 세계 여러 고장에 대하여 알아 보고, 그들의 풍습이나 문화재도 조사해 보자.

이와 꼭 같은 방법으로 다른 나라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다. 우리 나라보다 먼저 문화가 일어난 문명 발상지에 대한 사진을 신문이나 잡지에서 오려 붙이는 것도 재미 있는 일이다.

이와 같은 활동은 중학생에게 매우 알맞는 학습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역사는 직접 눈⋅귀⋅손을 써서 공부하여야만 자기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학급에서 박물관을 만들 계획을 세워 보자. 교실의 벽에다가 간단한 선반을 매고, 우리가 모아 온 기왓장⋅옛날 글씨⋅그림 그 밖의 역사적인 문화재를 모아 둔다. 이것은 일년만 되면 굉장히 많이 쌓여서 우리 학교의 자랑거리가 될 것이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