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Ⅰ. 우리 나라 역사의 시작

1. 선사 시대의 생활

〔학습 개요〕

우리 나라의 선사 문화는 요서 지방, 만주,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등 각 문화의 단계를 고루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구석기 시대는 약 70만 년 이전에 시작되었고, 신석기 시대는 서기전 6000년경부터 시작되었다.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은 뗀석기이며, 신석기 시대의 유물은 간석기와 빗살무늬 토기이다. 신석기인들은 주로 물가에 살면서 고기잡이를 하거나 식물의 열매를 따 먹거나 짐승을 사냥하며 생활하였으며, 농경 생활도 시작하였다. 이러한 신석기 문화의 발달로 청동기 문화가 이룩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다.

학습 문제

1. 우리 나라 구석기,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은 무엇을 가지고 추측해 볼 수 있는가?

2. 우리 나라 구석기,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은 무엇인가?

3.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생활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우리의 생활 터전

동아시아 지역의 구석기 시대는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구석기 문화가 진행되는 동안, 지구에는 여러 차례의 추운 빙하기와 따뜻한 간빙기가 번갈아 나타났다. 이러한 자연 환경의 변화는 인간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빙하기에는 지구 북반부의 일부가 빙하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높이는 지금보다 훨씬 낮았다. 그러므로 당시에는 중국 대륙과 한반도, 일본 열도, 타이완 등이 모두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다.

그 후, 해수면의 상승과 지각 변동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로,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은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로써 오늘날 한국인의 주된 생활 무대인 한반도는, 북쪽으로는 대륙과 연결되고, 동쪽과 서쪽으로는 바다와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쪽으로는 대한 해협을 건너 일본과 마주하게 되었다.

약 15~10만 년 전의 동아시아   

동아시아 지역은 일찍이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들의 생활 터전이 되었다. 우리 나라의 선사 문화는 이러한 자연 환경에서 독자적인 문화로 만들어져 갔다.

구석기 시대의 생활

인류가 최초로 뗀석기와 골각기 등의 도구를 만들어 사용한 시기를 구석기 시대라고 한다. 구석기 시대는 석기를 다듬은 정도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고 있는데, 우리 나라의 구석기 시대도 마찬가지이다.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사람이 살았던 구석기 시대는 대체로 약 70만 년 이전에 시작하였으며, 그 후 단계적인 발전을 하였다.

구석기 문화의 유물은 함북 웅기 굴포리,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충남 공주 석장리, 경기도 연천 전곡리, 충북 단양 수양개 등의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구석기인은 단순한 뗀석기를 사용하다가 후기로 내려오면서 쓰임새에 따라 여러 가지 새로운 것을 만들어 썼다. 대체로, 사냥에는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등을 사용하고, 조리에는 긁개, 밀개, 자르개 등을 사용하였으며, 연장으로는 돌마치, 새기개 등을 사용하였다. 구석기인들은 이들 도구를 이용하여 짐승과 물고기를 잡아먹고, 식물의 열매나 뿌리를 채집해 먹었으며, 주로 동굴에서 살았다.

주먹도끼   

이러한 구석기 시대에는, 사람들이 어울려 살면서 모든 생활을 공동으로 하였다. 또, 구석기인들은 먹을 것들이 풍부해지기를 비는 뜻에서 예술품을 만들었는데, 그러한 사이에 신앙의 의미도 깨닫게 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우리 나라의 신석기 시대는 서기전 6000년경부터 시작되었는데, 토기의 모양과 무늬의 변화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고 있다.

토기로는 이른 민무늬 토기와 덧무늬 토기가, 이어서 빗살무늬 토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빗살무늬 토기는 그릇의 표면에 짧거나 긴 선 무늬를 거듭 새겼고, 바닥은 둥글거나 뾰족하게 만들었다. 그 후, 빗살무늬 토기가 변화하여 물결, 곡선 등의 무늬가 새겨진 토기로 변하였으며, 그릇의 바닥도 판판해졌다.

덧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   

한편, 신석기 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여러 가지 형태와 종류의 간석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러한 간석기와 토기는 신석기 시대를 특징짓는 유물이다.

여러 종류의 간석기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평북 의주 미송리, 강원도 양양 오산리, 서울 암사동, 부산 동삼동 등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석기 시대의 유적은 한반도의 거의 전 지역에 고루 퍼져 있으며, 특히 큰 강가나 바닷가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선사 시대의 유적   

신석기 시대의 생활

우리 나라의 신석기인들은 강가나 바닷가에 살면서 그물 또는 뼈낚시를 가지고 고기잡이를 하거나 식물의 열매나 뿌리를 채집하는 한편, 돌로 만든 화살촉이나 창 등의 간석기를 가지고 사냥을 하면서 생활하였다.

한편,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서는 새로이 농경 생활도 하기 시작하였다. 신석기인들은 돌괭이로 땅을 일구어 조, 피 등을 재배하였으며, 갈판에 곡식을 갈아서 먹기도 하였다.

그리고 신석기인들은 농경과 더불어 멧돼지와 같은 동물을 길들여 집에서 기르기도 하였다. 또, 이들은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지어 입었으며, 땅을 둥글게 파고 그 위에 세운 움집에서 살았다. 이와 같이 하여, 신석기인들은 점차로 한 곳에 머물러 살게 되었다.

신석기 시대 주거지 복원 모형(서울 암사동)   

신석기 시대의 사회는 무리 사회에서 발전하여, 같은 핏줄의 씨족을 바탕으로 부족 사회를 이루고 있었다. 이 사회에는 경험이 많은 지도자로서 부족장이 있었다. 그는 권력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부족원들과 함께 주로 생산에 관련된 일을 회의를 통하여 결정하였다.

이 때의 사람들은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해, 달, 산, 강, 동물, 식물 등에 영혼이 깃들여 있다고 믿는 자연 숭배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또, 이들은 특정 동물을 자기 부족의 수호신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예술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학습 정리 ◇

1. 우리 나라의 구석기 시대는 각지의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70만 년 이전에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신석기 시대는 서기전 6000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를 대표하는 유물은 간석기와 빗살무늬 토기이다.

3. 구석기인들은 이동 생활을 하면서 양식을 채집하였으나, 신석기인들은 점차로 정착 생활을 하면서 양식을 생산하게 되었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