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태조(太祖)-선조(宣祖)정종조(定宗朝)

정종 2년(1399)

다음 해(1400) 봄 2월에 왕이 태상왕께 아뢰어 정안군(靖安君, 태종)을 왕세자로 책봉하시고 세자부(世子府, 세자의 궁[東宮]에 두었던 관아)를 인수부(仁壽府)라 하셨다.

여름 4월에 경군관 12패(京軍官十二牌)1)를 교대로 숙직시키는 법을 정하였으며, 모든 절제사(節制使)가 보유한 사병을 혁파하였다. 찬성사(贊成事) 하륜(河崙)에게 명하여 관제를 개정하였는데,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의정부(議政府)로, 중추원(中樞院)을 삼군부(三軍府)로, 좌⋅우복야(左右僕射)를 좌우사(左右使)로, 중추원 승지(中樞院承旨)를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로 고쳤다. 예문관(藝文館)에 대학사(大學士)와 학사(學士)를 두고, 종실(宗室)의 기친(期親)2)과 대공친(大功親)3)을 군(君)으로 봉하여, 부마(駙馬, 왕의 사위)와 함께 직임(職任)을 맡지 못하도록 하였다.

6월에 태상왕을 위한 궁(宮)과 [담당 관청인] 부(府)를 설치하였는데 궁을 덕수(德壽)라 하고, 부를 승녕(承寧)이라고 이름하였다. 환조(桓祖, 태조의 아버지)의 진전(眞殿, 왕의 초상화를 모신 전각)에 계성전(啓聖殿)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호부(虎符)4)를 만들어 안팎으로 병사를 동원할 때 사용하였다.

가을 9월에 왕께서 덕수궁(德壽宮)으로 나아가 [태상왕께] 장수를 기원하며 술잔을 올리셨다, 태상왕께서 시를 지어, “나이는 비록 70이지만 마음은 서로 통하는구나.”라고 읊으시니, 왕께서 “밤이 이미 삼경인데 흥은 끝이 없사옵니다.”라고 화답하였다. 제주(濟州)의 백백 태자(伯伯太子)5)가 환관을 파견하여 좋은 말 3필과 금가락지를 바쳤다. 유구국(琉球國)의 왕 찰도(察度)는 사신을 파견하여 토산품을 바쳤으며 그 세자 무령(武寧)은 예물을 바쳤다.

겨울 11월에 왕께서 왕세자에게 선위(禪位)하셨다. 세자가 즉위하시고 선왕을 높여 상왕(上王)이라 하고, 부를 공안(恭安)이라 하셨고, 중궁(中宮, 왕후)의 부는 인녕(仁寧)이라 하셨다.

1)서울에 머물며 도성을 방비하던 경군(京軍) 조직의 하나.
2)상을 당하였을 때 만 1년 동안 상복을 입는 친족.
3)상을 당하였을 때 9개월 동안 상복을 입는 친족.
4)구리로 호랑이의 모양을 본떠 만든 군대 동원의 표지.
5)원문에는 제주백(濟州伯)의 태자(太子)로 되어 있으나, 제주(濟州)의 백백 태자(伯伯太子)로 바로잡는다. 백백 태자는 고려 말, 조선 초에 제주를 지배하던 호족(豪族)의 추장을 말한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