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이규보

제목 이규보
한자명 李奎報
유형
시대 고려 시대
관련국가 고려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1168~1241,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관료.

[내용]

본관은 황려(黃驪)이고, 아버지 호부낭중(戶部郞中) 이윤수(李允綏)와 어머니 금양군인(金壤郡人) 김씨(金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14세 때 사학(私學)의 하나인 성명재(誠明齋)의 하과(夏課)에서 시를 빨리 지어 선배 문사로부터 기이한 인재라 불렸다. 사마시(司馬試)에 네 차례 낙방한 후 1189년(명종 19)에 수석으로 합격하였으며, 이듬해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였다.

이규보는 급제 후 바로 관직에 들어가지 못하였다. 1199년(신종 2) 당시 무신 집권자인 최충헌(崔忠獻)을 찬양하는 시를 쓴 후에야 전주사록(全州司錄)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동료의 비방을 받아 1년 4개월 만에 파직되었다. 1202년(신종 5) 병마녹사 겸 수제(兵馬錄事兼修製)로 자원하여 당시 거셌던 동경 반란(東京反亂)을 진압하는 데 참여하였다.

1207년(희종 3) 최충헌에 의해 권보직한림(權補直翰林)으로 발탁,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1219년(고종 6)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지방관의 죄를 묵인했다는 이유로 지방관으로 좌천되었다. 1220년 다시 중앙 관직으로 복직하였으나, 1230년(고종 17) 팔관회(八關會) 행사에서 잘못을 저질러 섬으로 유배되었다. 1232년 비서성판사(祕書省判事)로 승진하였고, 여러 관직을 거쳐 1237년(고종 24) 문하시랑평장사 감수국사 태자대보(門下侍郞平章事監修國事太子大保)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무신 집권기에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외교 문서와 제례를 위한 기원문 등을 도맡아 작성하였으며, 다양한 감흥을 시문으로 읊은 문장가였다. 문집으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이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과 시 형식으로 된 「동명왕편(東明王篇)」 등이 있다.

[의의]

이규보는 무신 집권층에게 협력했던 대표적 문인 관료로, 당대의 사회와 문화, 학문 경향을 알 수 있는 다양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 관련자료

ㆍ이규보(李奎報)
ㆍ백운거사(白雲居士)
ㆍ인저(仁氐)
ㆍ춘경(春卿)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