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6조

제목 6조
한자명 六曹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6부(六部), 6관(六官)
별칭•이칭

[정의]

조선 시대 국가 행정을 담당했던 이조(吏曹), 호조(戶曹), 예조(禮曹), 병조(兵曹), 형조(刑曹), 공조(工曹)를 총칭하는 말.

[내용]

행정 실무를 여섯 개의 부로 나누어 분담하던 체제는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였다. 유학 경전인 『주례(周禮)』에서도 6개의 부가 행정 실무를 분담하던 관료 체제가 등장, 이상적인 관료제의 형태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6부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고,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6부를 6조로 명칭을 바꾸고 그 위상이 더욱 강화되었다.

6조 중 이조는 인사와 관련된 일을, 호조는 재정과 관련된 일, 예조는 외교와 교육 및 과거에 관련된 일, 병조는 군사와 관련된 일, 형조는 사법과 관련된 일, 공조는 토목과 건설, 수공업에 관련된 일을 총괄하였다. 중국의 당나라나 고려의 경우는 이조, 병조, 호조, 형조, 예조, 공조 순으로 서열을 정했으나, 문치주의에 입각한 조선은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순으로 바꾸었다. 또 앞서 언급한 주례의 체제를 모방하여 이조는 천관(天官), 호조는 지관(地官), 예조는 춘관(春官), 병조는 하관(夏官), 형조는 추관(秋官), 공조는 동관(冬官)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6조에는 장관인 정2품의 판서, 부장관격인 종2품의 참판, 정3품의 참의를 각각 1명씩 두었고,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정5품의 정랑, 정6품의 좌랑을 각각 3명씩 두었다. 사무가 많은 병조와 형조에는 관원을 더 두기도 하였다. 6조는 조선 건국 때부터 조선 후기까지 행정 업무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다가 1894년 갑오개혁 당시 명칭과 직제가 변경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관련자료

ㆍ6조(六曹)
ㆍ육조(六曹)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