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무오사화

제목 무오사화
한자명 戊午士禍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조선에서 발생한 첫 번째 사화(士禍)로 1498년(연산군 4)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의 사초(史草)에 불손한 내용이 담겨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 발생했던 정치적 사건.

[내용]

무오사화는 『성종실록』의 편찬 과정에서 김일손의 사초에 세조(世祖, 재위 1455~1468)와 관련된 불경한 내용이 적혀 있다는 사실이 폭로된 것을 시작하여, 이후 김일손과 교류했던 청요직 인사들의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이 붕당을 결성한 행위로 인식되며 확대되었다. 김일손의 사초 가운데 문제가 된 부분은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수록한 일이었는데, 「조의제문」은 항우(項羽)에게 죽은 초나라 회왕(懷王), 즉 의제(義帝)를 단종(短宗, 재위 1452~1455)에 비유하여 세조의 찬탈을 풍자하는 내용이었다. 김종직이 제자들과 함께 붕당을 결성해 역심(逆心)을 품었던 것으로 해석되며 사건이 확대되었다.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문제 삼았던 것은 이극돈(李克墩)과 유자광(柳子光)이었다. 실록청 당상관이었던 이극돈은 김일손의 사초에 자신의 비행이 기록된 것을 보고 삭제를 요구하였으나 김일손은 거절하였다. 이에 이극돈은 유자광에게 의논하였으며, 유자광은 노사신(盧思愼)⋅윤필상(尹弼商)⋅한치형(韓致亨) 등과 모의하여 김일손의 사초에 문제가 있음을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에게 고발하였다. 유자광은 무오사화의 전개 과정에서 김일손과 김종직의 연결점을 부각시켜 이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서 탄핵했다. 그 결과 이미 고인이 된 김종직은 대역죄로 부관참시형(剖棺斬屍刑)에 처해졌고, 김일손⋅권오복(權五福)⋅권경유(權景裕)⋅이목(李穆)⋅허반(許磐) 등 사초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사람들은 능지처참(凌遲處斬)을 당하였다. 이 외에도 김종직의 제자로 분류된 사람들이 유배형에 처해지거나 관직에서 쫓겨났다.

무오사화는 성종(成宗, 재위 1469~1494) 대 이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던 사림 세력이 훈구 세력과의 충돌 속에서 나타난 정치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즉위 초부터 대간(臺諫)들과 대립했던 연산군이 사초 문제를 이용해 언론을 탄압하며 정치적 입지를 확대한 사건이기도 했다.

▶ 관련자료

ㆍ무오사화(戊午史禍)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