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고려 시대

광군

제목 광군
한자명 光軍
유형
시대 고려 시대
관련국가 고려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고려 초 설치되었던 지방 군사 조직.

[내용]

947년(정종 2)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조직한 지방 군사 조직이다. 거란에 포로로 잡혀가 그곳에서 벼슬을 하였던 최광윤(崔光胤)이 거란의 침입 계획을 고려 정부에 알렸다. 이를 계기로 광군을 조직하였는데, 그 수가 30만 명에 달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중앙 정부가 지방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제로는 지방 호족들이 지방 단위별로 규합하여 자율적으로 편성한 농민군이었다. 따라서 광군은 상비군이라기보다 예비군의 성격이었을 것이다.

전국의 광군 조직은 개경(開京)에 설치된 광군사(光軍司)가 관할하였는데, 지방 실권자인 호족이 실제 지휘권을 행사하고, 광군사는 이들 호족을 통하여 광군을 통할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광군사는 광군도감(光軍都監)으로 변경되었다가 1011년(현종 2)에 다시 광군사가 되었다. 현종(顯宗, 재위 1009∼1031) 대 지방 제도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1012년에서 1018년(현종 9) 사이에 광군은 주현군 가운데 일품군으로 개편되어 중앙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데, 전투보다는 사원⋅궁궐⋅축성 등 각종 공역에 동원되었으며 광군사가 이를 직접 관장하였다.

[의의]

지방 단위별로 구성되고 호족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되었던 광군은 현종 대에 지방 통치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주현군 중 일품군으로 개편되어 광군사를 통한 체계적인 통제와 관리를 받게 되었다.

▶ 관련자료

ㆍ광군(光軍)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