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조선 시대

저화

제목 저화
한자명 楮貨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저전(楮錢), 저폐(楮幣)
별칭•이칭

[정의]

조선 시대 국가에서 발행하였던 지폐.

[내용]

우리나라는 중국과 달리 민간 유통에서 화폐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고려 시대 몇 차례 화폐 발행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 건국 이후 태종(太宗, 재위 1400~1418) 대에 본격적으로 화폐 사용이 추진되어 저화가 발행되었다. 저화 발행의 표면적 이유는 유통의 편의를 위한다는 것이지만, 실제 이유는 저화와 민간의 쌀을 바꾸어 나라의 미곡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저화 1장을 5승포(五升布) 1필, 쌀 2말의 가치로 책정하여 발행하고, 민간에서 활발하게 사용하던 포(布)를 교환 수단으로 삼는 것을 금지하였다.

국가에서는 저화 유통을 위해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였는데, 표시된 가격보다 싸게 쌀과 저화를 바꾸어 주고 원하는 백성에게는 저화를 다시 쌀로 바꾸어 주었다. 관료들의 녹봉에도 저화를 포함시켰고, 죄를 지어 벌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저화를 받고 벌을 면제해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저화는 기존 포(布)와는 달리 그 자체로는 아무런 사용 가치가 없었기 때문에 가치 보존이란 측면에서 신뢰를 받기가 어려웠다. 또한 국가의 본래 목적이던 미곡 확보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에는 저화를 미곡으로 바꾸어 주는 것을 폐지하였기 때문에 저화에 대한 신뢰는 더욱 회복하기 어려워졌다. 이리하여 상인과 백성들이 저화를 통한 상거래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민간에 풀린 저화는 가치가 급락하여 세종(世宗, 재위 1418~1450) 대에 이르면 저화 1장이 쌀 1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국가에서는 저화를 계속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으나 결국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16세기에 이르면 저화는 민간 유통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 관련자료

ㆍ저화(楮貨)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