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조선 시대

추사체

제목 추사체
한자명 秋史體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이자 학자, 서화가인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글씨체.

[내용]

김정희의 글씨체는 ‘추사(秋史)’라는 그의 호를 따라 추사체(秋史體)라고 한다. 김정희는 성리학이 시대적 과제를 더 이상 해결할 수 없었던 19세기, 청조고증학이라는 새로운 사상과 문화를 수용하여 새로운 시대를 준비했던 선각자이다. 그의 관심은 경사(經史)는 물론이고 금석학(金石學)과 지리학, 시문서화(詩文書畵)에 이르기까지 문화 전반에 걸쳐 있었으며 그의 학문과 예술은 한 시대의 사조를 바꿀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1809년(순조 9), 24세의 김정희는 아버지 김노경과 함께 청나라 사행에 자제군관의 자격으로 동참하였다. 이때 당대 최고의 석학인 옹방강(翁方綱)과 완원(阮元)을 만나 고증학의 진수를 공부하게 되었다. 이들로부터 시문서화에 관련된 많은 가르침과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스승 옹방강으로부터 청조고증학의 골수(骨髓)라 할 수 있는 금석학에 대해 남다른 지도를 받았다. 금석문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김정희는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김정희는 높은 정신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서화불분론(書畵不分論)에 입각하여 회화적 조형성을 함축한 글씨와 서예의 법식에 충실한 그림을 추구하였다.

김정희는 정쟁(政爭)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1840년(헌종 6)부터 1848년(헌종 14)까지 9년 동안 제주도 유배 생활을 하게 되는데, 유배를 전후하여 글씨에 엄청난 변화가 나타났다. 유배 전에 당당하고 윤택하던 글씨체는 군더더기와 기름기를 모두 빼버린 듯한 원초적인 모습으로 변했다. 흔히 추사체라고 말하는 글씨가 유배 기간 중에 완성된 것이다.

추사체는 한 개인의 서체로만 머물지 않고 서파군(書派群)을 형성하여 조선 후기 서단(書壇)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도 그의 제자 중 한 명이다.

▶ 관련자료

ㆍ추사체(秋史體)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