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6위

제목 6위
한자명 六衛
유형
시대 고려 시대
관련국가 고려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고려 전기에 국가 중요 행사의 경비, 수도의 치안, 국왕의 시종과 의장, 궁성문 방비 등을 담당했던 6개의 중앙군 부대.

[내용]

고려 시대에 좌우위(左右衛)⋅신호위(神虎衛)⋅흥위위(興威衛)⋅금오위(金吾衛)⋅천우위(千牛衛)⋅감문위(監門衛) 등의 중앙군 부대를 통칭하는 말로, 2군과 함께 8위(八衛)로 불리기도 하였다. 6위는 대체로 995년(성종 14)경 기존의 중앙군 조직을 제도적으로 정비하면서 편제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6위는 전체 42령(領) 규모의 약 4만 2000명으로 편성되었으며, 이 가운데 좌우위와 신호위, 흥위위의 3위가 32령 규모로 약 70%를 차지하였다. 이들 3위는 6위 병력의 주축을 이루어, 국왕 행차를 호위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일 등 국가 중요 행사의 경비를 담당하였다. 또한 전투 중일 때는 출정과 방어를 맡았고, 비전투 시기에는 각종 공역을 담당하였다고 한다. 3위 외에 금오위는 수도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 역할을, 천우위는 국왕을 시종하는 의장대 역할을 맡았으며, 감문위는 궁성 안팎의 여러 문을 지키는 일을 하였다. 6위의 구성원은 군인전(軍人田)을 지급받는 직업 군인층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대다수는 지방에서 순번에 따라 교대로 올라오는 번상군(番上軍)들로 편성되었다.

몽골 항쟁기 이후 13세기 후반에 이르면 6위는 거의 유명무실해진다. 군인층의 기반이 되었던 군인전이 침탈당하고, 무신 정권의 사병 조직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6위의 역할을 대신한 부대는 삼별초(三別抄)를 포함한 별초군이었는데, 반란을 일으켰다가 해체되었다. 고려 말에는 대내외적으로 여러 군사적 위협이 계속되어, 광범위한 농민층을 기반으로 많은 군호를 확보하려고 하였으며 여러 차례 지휘 체계를 개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조선 초 양인 개병제(良人皆兵制)의 수립으로 계승되었다.

▶ 관련자료

ㆍ6위(六衛)
ㆍ6위제(六衛制)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