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개경

제목 개경
한자명 開京
유형
시대 고려 시대
관련국가 고려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고려의 수도.

[내용]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의 송악산(松嶽山)이 주산으로 서쪽의 오공산(蜈蚣山), 남쪽의 용수산(龍首山)으로 이어지는 분지에 자리 잡고 있다. 서쪽의 예성강(禮成江)은 바다로 이어지는 개경의 관문으로, 국제 무역항 벽란도(碧瀾渡)도 이곳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고려를 건국한 태조(太祖, 재위 918∼943) 왕건(王建, 877~943)이 조상 대대로 살아온 지역으로 신라 때부터 송악(松岳)으로 불렸으며, 왕건의 아버지 왕융(王隆)의 건의에 따라 궁예(弓裔, ?~918)가 잠시 도읍으로 삼은 적이 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궁예는 철원(鐵原)으로 도읍을 옮겼다. 918년 철원에서 즉위한 왕건은 이듬해인 919년(태조 2) 도읍을 송악 남쪽으로 정하여 고려의 수도로 삼았다. 태조는 송악을 중심으로 개성군 등 5개 지역을 묶어 개주(開州)라고 하였다. 이와 함께 양경 혹은 삼경(三京) 체제를 마련하여, 서경(西京)과 동경(東京), 남경(南京) 등에 개경의 역할을 보완하는 기능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232년(고종 19) 몽골이 침입하자 무신 집권자였던 최우(崔瑀)가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이후 1270년(원종 11) 환도할 때까지 수도로서 기능하지 못하였다.

개경의 주요 시설은 여러 시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송악산 밑에 법궁인 본궐(本闕)이 있었으며, 본궐을 둘러싼 궁성과 그 주위를 둘러싼 4.7km 규모의 황성(皇城)이 있었다. 수도 전체를 아우르는 나성(羅城)은 1029년(현종 20)에 완성되었는데, 길이는 약 23km였다. 나성 내부는 동⋅서⋅남⋅북⋅중의 5부로 나뉘고, 각 부는 방(坊)으로, 그 하위는 리(里)로 나뉘어 있었다. 나성 외부의 일정 범위 지역까지는 4교(四郊)로 편성되었다. 불교 사원은 태조 대에 10개 사찰이 세워졌으며, 이후에도 여러 사찰이 나성 내외에 건설되었다. 종묘와 사직 같은 유교 제사 시설은 10세기 후반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에 건설되었다.

고려 중기부터는 개경의 지덕이 쇠약해졌으니 이곳을 쉬어 주고 다른 곳을 찾아야 한다는 풍수설이 유행하였다. 서경이나 남경으로의 천도설이 나오기도 하였고, 개경 주변에 궁궐을 새로 짓거나, 한양(漢陽)이나 장단(長湍) 등지로 국왕이 행차하여 몇 달 동안 머무르는 순주를 하기도 하였다.

고려를 뒤이은 조선이 1394년(조선 태조 3)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개경은 경(京)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그 대신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가 설치되었다가 세종(世宗, 재위 1418~1450) 대 부(府)로 편제하고 유수(留守)를 두었다. 1945년 광복 후 잠시 남한에 속하여 경기도 개성시가 되었으나, 1953년 휴전 협정 후 북한 행정 구역에 속하여 황해북도 개성특급시가 되었다.

▶ 관련자료

ㆍ개경(開京)
ㆍ개성(開城)
ㆍ상경(上京)
ㆍ송경(松京)
ㆍ송도(松都)
ㆍ송악(松岳)
ㆍ중경(中京)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