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공론

제목 공론
한자명 公論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공의(公議)
별칭•이칭

[정의]

절대적으로 공정하면서도 공평하며 지극히 타당한 논의.

[내용]

공론에 대한 설명은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사림파(士林派) 내부에서 일정한 합의에 도달한 논의’로 설명되어 왔다. 이 외에도 공론을 ‘하늘의 이치를 구현하는 논의’ 혹은 ‘누구나 긍정할 수 있는 공정한 논의’로 설명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절대적으로 공정⋅공평하면서 공적으로 지극히 타당한 논의’로 설명하기도 한다.

공론에 대해 언급한 기록은 조선 전기의 자료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공론이란 용어가 보다 중요하게 언급되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던 것은 성종(成宗, 재위 1469~1494)의 재위기부터였다. 성종의 재위 이전에도 공론이 언급되기는 했지만 중요성과 위상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성종의 재위기에는 대간(臺諫)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공론에 대한 언급 자체가 크게 증가했다. 특히 대간들은 자신들을 ‘공론의 소재처’로 자임했다. 공론의 명분을 대간들이 가지게 되었던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간들은 자신들의 위상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왕의 역할을 이전 시기보다 제한할 수 있게 되었다.

▶ 관련자료

ㆍ공론(公論)
ㆍ공의(公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