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초계문신제

제목 초계문신제
한자명 抄啓文臣制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37세 이하의 연소한 관리를 재교육하기 위해 규장각 내에 만든 제도.

[내용]

정조는 자신의 정치적 친위 세력을 양성할 목적으로 학문 기관인 규장각을 설립하였다. 규장각 요직인 제학(提學)과 직제학은 홍문관 및 예문관의 당상관 중에 이조(吏曹)에서 후보자를 올리면 왕이 직접 임명하였다. 정조는 각신(閣臣)을 임용하여 친위 세력을 구축한 데 이어서 지속적으로 친위 세력을 양성하기 위해 1781년(정조 5) 초계문신 제도를 실시하였다.

초계문신 제도는 과거에 급제한 참상관(參上官)⋅참하관(參下官) 가운데 37세 이하 문신들을 선발해 40세가 될 때까지 재교육하는 것이다. 이때 규장각 각신들이 교육과 시험을 전담하였다. 초계문신의 교육 과정은 경전류(經典類)를 강론하는 시강(試講)과 시강을 바탕으로 제술문을 짓는 시제(試製)로 나뉜다. 이들은 유교 경전이 갖고 있는 원래의 깊은 뜻을 깊이 있게 탐구하여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통치 질서를 바로 세우려는 정조의 뜻에 부합하여야 했다.

1781년(정조 5) 처음 시작된 초계문신 선발은 정조가 사망하는 1800년(정조 24)까지 10회에 걸쳐 실시되었고 이때 선발된 인원은 총 138명이다. 초계문신 중 각신으로 진출한 사람은 18명이며, 정조 사후 초계문신을 거쳐간 인재들이 19세기의 주요 인물로 등장했다.

정조는 초계문신 교육 성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장려책을 마련했으며, 여러 가지 특권도 주었다. 또 정조는 초계문신 교육에 대단한 열성을 기울이며 그들의 사기를 진작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몸소 시험장에 나와 시험 과정을 살피고 급제자를 정하는 친시(親試)였다. 이때 초계문신들이 작성한 시무(時務)에 관한 계책을 담은 책문(策問)이 상당수에 이른다.

▶ 관련자료

ㆍ초계문신 제도(抄啓文臣制度)
ㆍ초계문신(抄啓文臣)
ㆍ초계문신제(抄啓文臣制)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