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조선 의용군

제목 조선 의용군
한자명 朝鮮義勇軍
유형
시대 근대
관련국가 중국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1942년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華北支隊)를 개편한 조선 독립 동맹의 항일 독립군.

[내용]

1938년 10월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우한(武漢)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의 항일 무장 부대로 조선 의용대(朝鮮義勇隊)가 창설되었다. 조선 의용대는 후베이성과 후난성(湖南省)의 전선에서 장제스(蔣介石)가 위원장으로 있던 중국 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으며 항일 선전 공작 업무를 맡았다. 이 부대의 일부 대원은 1939년 최창익(崔昌益)을 따라 중국 공산당의 근거지인 옌안(延安)으로 갔다. 이들과 옌안에 있던 한인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하여 1941년 1월 ‘화북조선청년연합회’가 결성되었다. 또 1941년 6월 화베이(華北)의 중국 국민당 지구에서 활동하던 조선 의용대의 주력 부대는 중국 군사위원회의 동의 없이 중국 공산당 팔로군 타이항 산(太行山) 지구로 이동했다. 그 이유는 이들 가운데 사회주의 성향을 가진 이들이 많았고, 국민당 지구에서 벌어지는 반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 두 세력이 모여 1941년 7월 7일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가 결성되었다. 지대장은 박효삼(朴孝三)이었다. 그 뒤 화북지대는 타이항 산 일대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여러 차례 전투를 치렀다.

1942년 5월 충칭(重慶)에 있던 조선 의용대 본부가 임시 정부의 광복군으로 편입되자, 7월 10일 화북조선청년연합회는 ‘조선 독립 동맹’으로, 화북지대는 ‘조선 의용군 화북지대’로 개편했다. 이로써 조선 의용군은 조선 독립 동맹의 군대가 되었는데, 1943년 1월 이후에는 중국 팔로군 소속으로 편입되었다. 조선 의용군은 화베이 지역 각지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팔로군과 협력해 일본군 점령 지구에 잠입하거나 전선에 접근해 선전⋅첩보활동을 했다. 또 중국인의 항전 의식을 일깨우는 전람회를 개최하고 민중의 팔로군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냈다. 1942년 11월 화북조선청년혁명학교를 열어 군사⋅정치 교육을 실시하여 간부를 양성했고, 척박한 토지에 밭을 일궈 농산물을 자급자족하는 생산 활동도 전개했다. 1943년 6월에는 팔로군과 함께 타이항 산 곳곳에서 일본군 침공에 대한 반격을 전개해 용맹을 떨쳤다.

조선 의용군은 1943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옌안으로 근거지를 이동하여 옌안 근교 뤄자핑(羅家坪)에 머물렀다. 조선 의용군은 1944년부터 화베이 지역의 도시와 농촌, 그리고 만주 일대의 일본군 점령 지역에서 조직 결성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고, 그 결과 여러 도시에 독립 동맹의 거점이 마련되었다. 이리하여 의용군과 독립 동맹의 존재가 널리 알려졌으며, 많은 조선인 청년들이 의용군에 입대했다. 또 이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1944년 9월 화북조선청년군사정치간부학교(태항산군정학교), 10월 조선군정학교 산동분교, 1945년 2월 연안 조선군사정치학교(교장 김두봉, 부교장 박일우, 학도대장 박효삼) 등을 개교하여 독립운동의 간부를 양성하였는데, 1945년 5월에는 그 수가 총 850여 명에 달했다.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만주 일대에서 일본과 전투를 벌이자, 팔로군 총사령관 주더(朱德)는 조선 의용군(총사령 무정)에게 둥베이(東北)의 만주 지역으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이 명령에 따라 옌안 및 중국 각지에 있던 의용군 부대들이 만주로 들어갔다. 일본이 패망한 뒤 조선 의용군은 북한으로 진입하려 했으나, 의용군이 북한에서 주도권을 장악할 것을 우려한 소련군이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이후 1945년 12월에 무정과 최창익, 한빈 등 고위 간부진과 대원 100여 명은 개인 자격으로 북한으로 들어갔다. 만주에 남은 이들은 각지에서 동포들을 모병해 부대를 증강하고 현지 한인 동포를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 이들은 중국 국공 내전을 거치면서 3개 사단급 병력으로 급성장하였다. 1949년 5월 중국 공산당의 마오쩌뚱(毛澤東)은 김일성의 중공군 소속 한인 병사들의 귀국 요청을 허가하였고, 1949년 10월부터 1950년 4월까지 약 5만여 명 규모의 중공군 소속 한국인이 북한에 도착하였다. 6⋅25 직후 남침한 북한군 보병 21개 연대 중 10개 연대가 중공군 출신 한인 부대일 정도로 북한군의 주축을 이루었다.

▶ 관련자료

ㆍ조선 의용군(朝鮮義勇軍)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