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개념용어

임노동자

제목 임노동자
한자명 賃勞動者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고공(雇工), 임금 노동자(賃金勞動者)
별칭•이칭

[정의]

노동력을 제공하는 대가로 임금을 받아 살아가는 근로자.

[내용]

조선 시대 국가는 백성들이 토지를 근거로 생산 활동을 하고 생활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다. 농업을 본업(本業)으로 하여 농사를 짓지 않고 떠돌아다니거나 상업에 종사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경계하고 있었다. 당대의 주요 산업이 농업이었고 생산 인구가 토지에서 이탈할 경우 납세액의 부족에 따라 국가도 유지되기 힘들었기 때문에 농민이 토지에 긴박(緊縛)되어 안정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국가를 이상으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 농민들이 토지에서 이탈하여 자영농이 아닌 농업 노동자, 상업 혹은 광업(鑛業)에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는 대가로 살아가는 노동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을 일컬어 임노동자라고 하는데, 다른 말로 고공(雇工)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농업에 종사하며 품삯을 받아 살아가기도 하고 도성 근처에 모여들어 세곡(稅穀)을 하역(荷役)하여 생활을 영위하기도 했다. 양란 이후 도성 밖으로 거주지가 늘어난 것은 이렇게 토지에서 유리(遊離)된 백성들이 서울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광산의 노동자로 유입되어 일정한 거주지 없이 광산이 있는 지역을 떠도는 유리민도 점차 증가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이 토지에서 유리된 주요한 원인은 토지 소유의 불균형 문제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의]

임노동자의 존재는 봉건적 사회 질서를 흔드는 요소로 조선 후기 사회가 조선 초기의 체제로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 관련자료

ㆍ고공(雇工)
ㆍ권세가나 부잣집에서 노동
ㆍ임금 노동자(賃金勞動者)
ㆍ임노동자(賃勞動者)
ㆍ품팔이꾼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