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개념용어

대동아 공영권

제목 대동아 공영권
한자명 大東亞共榮圈
유형
시대 근대
관련국가 일본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중일 전쟁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제가 아시아 대륙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세운 정치 구호.

[내용]

중일 전쟁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38년 11월,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내각은 일본과 만주국, 중국의 선린 우호(善隣友好)와 공동 방공(共同防共), 경제 제휴를 표방한 ‘동아 신질서’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은 구미 제국주의와 공산주의 모두를 배격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중국의 장제스(蔣介石)에 비판적인 왕징웨이(汪兆銘)을 포섭해 중국의 항일 통일 전선을 붕괴시켜 일본을 중심으로 만주와 몽골, 중국을 묶어서 일본 중심의 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삼았다.

그 뒤 1940년 7월 성립된 제2차 고노에 내각의 외무대신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는 담화문에서 당면한 외교 방침을 “황도(皇道)의 대정신에 근거하여 우선 일본과 만주, 지나(중국)를 하나로 하는 대동아 공영권의 확립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밝혔다. 이때 일본의 기본 국책은 일만지(日滿支)를 ‘동아 신질서’의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남양(南洋)을 추가해 자급자족 경제를 확립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일본 정부는 1940년 9월 독일, 이탈리아와 3국 동맹을 체결하고, 1941년 4월에는 소련과 중립 조약을 체결하면서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일대의 점령을 목표로 하는 남진(南進) 정책을 추진했다. 1941년 11월의 「남방 점령지 행정 실시 요령」에 따르면 대동아 공영권은 점령지를 통해 군사 전략 물자 등 자원을 원활하게 조달하면서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이 분명히 드러난다. 이와 같이 대동아 공영권은 일본을 중심으로 하여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일대에 자급자족적인 경제권을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41년 12월 진주만 침공으로 시작된 아시아⋅태평양 전쟁 이후로 대동아 공영권의 범위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국한되지 않고 호주와 뉴질랜드 등 남태평양 일대까지 포함되었다. 1943년 5월 일본 내각에서는 일본을 맹주로 한 대동아 공영권의 성과를 세계에 과시하기 위해 대동아 회의를 도쿄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그러나 그 해 11월 5~6일에 개최된 회의에는 중국 왕징웨이 정부와 태국, 만주국, 필리핀, 미얀마 등 일본이 점령한 지역의 괴뢰 정권 대표들만 참가했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서양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하여 동아시아를 지키기 위한 전쟁’, 그리고 새로운 세계 질서를 수립하기 위한 전쟁이라고 주장했다. 대동아 공영권은 바로 이를 뒷받침하는 구호였다. 서구로부터 아시아 민족을 해방시키고 공존공영한다는 명분이 제시되었지만, 실상은 식민지와 피점령국의 자원과 노동력을 수탈하려는 의도가 담긴 슬로건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일제가 서구 열강을 대신하여 아시아에서 맹주가 되려 했던 꿈은 일본의 패망과 각지 민족 해방 운동의 고양 속에 무너졌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