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단체

남인

제목 남인
한자명 南人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오인(午人)
별칭•이칭

[정의]

조선 후기 붕당 정치 심화에 따라 동인에서 분파된 정파(政派).

[내용]

1. 붕당 정치 속 남인의 발생

조선 시대는 성리학적 소양을 갖춘 사림(士林)이 정권을 잡은 이후 지역적 토대와 학문적 경향에 따른 정치적 견해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정파가 성립하였다. 선조(宣祖, 재위 1567~1608) 대 초반 형성되었던 동인과 서인 중 동인은 이후 남인과 북인으로,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었다.

동인은 상대적으로 강경한 입장의 신진 관료들이 많이 포진하고 있었다. 선조 대 초반 정국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동인 세력이었다. 동인은 서인이 훈척(勳戚)과 가깝다는 이유로 강경하게 공격하는 경우가 많았고, 동인 내부에서도 강경파와 온건파의 분열이 존재하여 이후 분당(分黨)을 예고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事)가 발생했다. 기축옥사는 정여립(鄭汝立)이 역모를 도모했다는 혐의로 정여립과 관련된 인물들을 일망타진했던 사건이다. 문제는 역모의 진상은 모호하였고, 이 과정에서 너무나 많은 이들이 희생되었다는 점이다. 이들은 대개 동인 중에서 강경파가 많았던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제자들이었다. 같은 동인이면서도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들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다. 조식과 서경덕의 제자들은 서인의 공세를 막아 주지 않았던 이황의 제자들과 함께할 수 없었다. 결국 조식과 서경덕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북인이, 이황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남인이 생겨났다.

광해군(光海君, 재위 1608~1623) 집권 시기에 북인이 정권을 잡았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북인은 완전히 정계에서 축출되었고, 인조반정을 주도한 서인과 이에 동조한 남인이 전형적인 붕당 정치를 실현하였다.

2. 서인과 남인의 붕당 정치

남인은 서인과 현종(顯宗, 재위 1659~1674) 대에 2차에 걸쳐 국왕의 지위에 대한 견해 차이로 예송 논쟁을 벌였다. 왕권의 우월한 지위를 인정한 남인은 첫 번째 예송 논쟁에서 패배하였으며, 두 번째 예송 논쟁에서 승리하였다. 서인과 첨예하게 대립했던 남인은 숙종(肅宗, 재위 1674~1720) 초반 주도권을 잡았지만 숙종의 주도로 이루어진 경신환국을 통해 주도권은 서인 정권으로 넘어갔다. 장희빈이 왕비가 되면서 기사환국이 일어나 남인은 다시 주도권을 잡았지만, 이후 갑술환국으로 다시 서인이 정권을 잡았다. 다만 영조와 정조의 탕평 정치를 통하여 남인의 일부가 다시 정계에 진출할 수 있었다.

3. 남인의 성격

남인은 영남 지역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고, 퇴계 이황을 종장(宗匠)으로 하였다. 이후 서울⋅경기 지역으로 남인들의 활동 범위가 넓어졌는데, 영남 지역의 남인들이 이황의 학문을 심화시켰다면 근기(近畿) 지역 남인들은 다양한 학문으로 현실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근기 남인은 한당유학(漢唐儒學), 북인의 학풍 등 정통 성리학과는 다른 학문을 절충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사고를 확장시켜 조선 후기 많은 실학자를 배출하였다.

▶ 관련자료

ㆍ남인(南人)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