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제도

관료전

제목 관료전
한자명 官僚田
유형
시대 통일 신라와 발해
관련국가 통일 신라
유의어 직전(職田)
별칭•이칭

[정의]

통일 신라 시대에 관리에게 직무(職務) 수행 대가로 지급한 땅으로, 소유권을 주지 않고 농지의 세금을 수취할 수 있는 권한을 지급한 농지.

[내용]

원래 신라에서는 귀족 관리에게 직무를 수행하는 대가로 녹읍(祿邑)을 지급하였다. 녹읍은 고을 단위로 지급되었는데, 그 고을의 농지에서 수취해야 하는 세금을 관리가 거두어 사용하였으며, 아울러 해당 고을의 백성들을 노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권한도 주어졌다. 따라서 녹읍은 귀족 관리에게 일정한 경제적 이익을 주는 데 그치지 않고, 백성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배력도 행사할 수 있어 귀족들의 사적인 경제 기반이 되었다.

통일 후 왕권을 강화하는 정책을 펴면서 귀족의 힘이 약화되었다. 그리하여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는 왕과 그를 보좌하는 관료를 중심으로 하는 권력 구조와 정치 제도가 마련되어 갔다. 이러한 체제 전환과 제도 정비는 신문왕(神文王, 재위 681~692) 대에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일환으로 687년(신라 신문왕 7년) 문무 관리들에게 관직의 높낮이에 따라 차등을 두어 관료전(官僚田)을 나누어 주었다. 즉 녹읍제를 대신하는 관리 급여 제도가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689년(신라 신문왕 9년)에는 녹읍의 폐지와 함께 일정량의 곡물을 급여로 지급하는 제도도 마련하였다.

관료전은 고을 단위로 지급된 녹읍과 달리 일정한 면적의 농지를 지급하고, 농지에서 세금을 수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만 주어졌다. 일정한 경제적 이익만 취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녹읍제가 시행되던 때와 달리 백성에 대한 관리의 사적 지배가 약화되었고, 백성들은 국가의 공적 통치를 받는 공민(公民)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결국 관료전은 통일 신라 시대에 왕권이 강화되면서 이루어진 정치 제도의 정비를 뒷받침하는 관리 급여 제도였다.

▶ 관련자료

ㆍ관료전(官僚田)
ㆍ직전(職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